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뉴스
"
미생물
"(으)로 총 1,554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생물
공장에서 포도향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0
생산하는 공정을 개발했다. 메틸 안트라닐산 생산 과정. KAIST 제공 연구팀은
미생물
유전자 조작으로 포도당으로부터 메틸안트라닐산을 생산했다. 메틸안트라닐산의 전구체인 안트라닐산을 생산하는 경로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을 조작해 고효율로 안트라닐산을 생산한 것이다. 그런 뒤 독성을 ... ...
독도 해양
미생물
에서 항암 효과 신물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5.20
“독도에는 1만2000여종의 다양한 해양
미생물
이 존재하는 만큼 앞으로도 독도 해양
미생물
로부터 질병 치료 효과가 있는 신물질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숲속 생태계가 변하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8
‘네이처’는 녹음이 가득한 숲의 모습을 16일 표지로 실었다. 숲 속 나무 뿌리에는
미생물
공생체가 서식한다. 공생체는 식물 내에 서식하는 타종의 생물군을 뜻하는 말로, 숲 생태계 기능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식물의 영양분 및 탄소 흡수와 기후변화 대처 능력에 대한 영향을 준다. 어떤 ... ...
먹이 못 먹은 펭귄 똥에서 생존의 비결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7
생산해 펭귄의 면역력을 높이고 체내에 지방을 축적하게 한다”며 “이 같은 장내
미생물
특성은 혹독한 남극의 환경에서 단식이라는 극단적 스트레스 상황을 맞더라도 이에 적응하기 위한 것”이라고 추정했다. 깃갈이 단식 전(왼쪽) 젠투펭귄의 똥에는 크릴을 섭취한 잔해가 남아있는 반면, ... ...
홍합접착제부터 조류로 만든 건물벽까지, 슬기로운 바다생물 이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5.17
채취하는 환경에 따라 단백질의 품질이 다를 수 있다"며 "홍합 단백질 유전자를 가진
미생물
을 사용하면 일정한 품질의 홍합 단백질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현재 홍합 접착제의 접착력을 조절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광합성부터 지질, 전분까지 팔방미인 조류 독일의 ... ...
'우드와이드웹' 연결고리 뿌리곰팡이 수목 공생 첫 지도 나와
연합뉴스
l
2019.05.17
논문을 본 스탠퍼드대학 생물학과의 카비르 피이 조교수가 각 수종과 공생관계에 있는
미생물
분포도를 만들 것을 제안하고, 이후 200여명의 과학자가 참여해 지도를 완성했다. 브라이언 스타이딩어 제공 연구팀은 다양한 공생관계 중 참나무와 소나무 등의 뿌리 외부에서 서식하는 외생균근균 ... ...
식중독·파상풍균 검출 쉬워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3
화학 분야 국제학술지 '앙게반테 케미' 4월 25일자에 발표됐다. 그람양성균은 1884년부터
미생물
학 분야에서 사용돼 온 세균 염색법인 ‘그람염색법’으로 염색했을 때 보라색으로 나타나는 세균이다. 같은 염색 시 붉은색으로 염색되는 ‘그람음성균’과는 대비되는 독특한 세포막 구조를 갖고 있는 ... ...
천리안 1호 해양관측 데이터로 ‘한반도 지구온난화 영향’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0
온실가스 농도를 낮춘다. 식물성 플랑크톤이 1차로 생산한 유기물은 해양 표층에서
미생물
에 의해 분해돼 이산화탄소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거나 심해저로 운반한다. 유 센터장은 “지구는 육지, 해양, 대기가 서로 밀접하게 상호작용 하는 행성 시스템”이라며 “특히 지구가 당면한 가장 큰 문제인 ... ...
도시의 나무, 빨리 크고 빨리 죽는다는데…
동아사이언스
l
2019.05.09
오염물질은 식물의 대사산물로 이용돼 일부는 제거되고 일부는 뿌리로 이동해 토양
미생물
의 영양원으로 쓰인다.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나무 3000만 그루를 도심에 심을 경우 노후 경유차 6만4000대가 1년간 내뿜는 먼지를 줄일 수 있다. 국내에서도 도심에 나무를 심는 다양한 사업들이 진행되고 ... ...
어린시절 무심코 먹은 항생제가 거식증·폭식증 유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6
심리학과 박사후연구원은 "항생제가 병원균뿐 아니라 유익한 균까지 죽이면서 장내
미생물
생태계를 뒤엎은 결과로 추측된다"며 "뇌와 소화기관 사이의 신경계에 영향을 줘 결국 식욕이나 식이행위를 조절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전적 또는 정신적인 원인으로 발병한다는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