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몽상
드림
희망
포부
소원
소망
이상
뉴스
"
꿈
"(으)로 총 1,718건 검색되었습니다.
장애는 없다, 사우디의 초사실주의 화가
팝뉴스
l
2017.06.07
2011년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을 배우면서부터 초상화에 집중해왔다. 그는 자신의 병이
꿈
을 실현하는 데 장애가 된다고 생각해본 적이 한 번도 없다고 한다. 라칸의 말을 들어보자. “전 이제까지 1,000 점이 넘는 그림을 그려 판매했습니다. 미르카즈 전시회, 압둘 아지즈 전시회 등 수많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여우는 어떻게 개가 되었나
2017.06.06
직무로 너무 바빠 차일피일 미뤘다. 투르트는 30여년 만에 책을 냄으로써 벨라예프의
꿈
을 대신 이룬 셈이다. 한편 이해 3월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서기장에 오르며 개혁과 개방 정책을 폈지만 결국은 소련의 붕괴로 이어지면서 경제도 파탄 났다. 연구소에도 여파가 미쳐 연구비가 끊기면서 직원을 ... ...
[과학Dream_1화] 그렇게 만난 두 얼굴의 인도
동아사이언스
l
2017.06.02
지원해드립니다. 1여행 1드림 프로젝트에 동참하세요!” 여행 일정 중 일부를 할애해
꿈
을 전하는 봉사활동을 해 주실 분을 찾습니다. 어떤 형태라도 좋습니다! 봉사에 소요되는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과학드림 프로젝트에서 모인 후원금으로 여행비를 지원해 드립니다. ... ...
아이들에게 미래를 보여주기 위해...소프트웨어에 물든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17.05.30
물들다’는 2회를 맞이하면서 여러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나서서 만들어가고 지식과
꿈
을 공유하는 행사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느낌입니다. 참여하면서 모두들 조금씩 성장하고 있고요. 이런 문화 속에서 우리 아이들이 죽은 지식이 아니라 살아있는 미래의 역량을 익혀갈 수 있지 않을까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무로 지은 아파트에서 사는 시대 올까?
2017.05.30
서로 90도 방향으로 붙여 변형되려는 힘을 상쇄한 CLT가 등장하면서 대형 목조 건물의
꿈
이 현실이 되고 있다. 수 센티미터 두께의 널빤지를 90도 방향으로 엇갈리게 붙인 구조용집성판(CLT)의 등장으로 나무로 고층 건물을 지을 수 있게 됐다. 보통 널빤지를 홀수 개 붙이는데 바깥쪽 판의 나뭇결을 ... ...
“제발 인공지능 과장하지 마세요”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7.05.29
고객들의 충성도는 쭉쭉 올라갈 듯 과장하던 시절도 있었고, 소셜분석만 하면 그 동안
꿈
에도 몰랐던 새로운 통찰력을 얻을 수 있을 것처럼 홍보하기도 했다. 하지만 너무 큰 기대는 큰 실망을 불러왔다. CRM 전성기가 지나고 한 동안 CRM을 언급하면 안되는 분위기가 있었다. 대부분 실패했기 ... ...
인공지능 파파고 개발 현장을 방문하다
과학동아
l
2017.05.29
점을 바로 묻고 답을 들을 수 있어 매우 의미 있었다”고 말했다. 로봇공학자가
꿈
인 한상민(한광고등학교3학년) 학생은 “강연을 들으면서 인공지능을 로봇에 적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진로에 컴퓨터공학이라는 선택지가 하나 더 늘었다"고 말했다 ... ...
세계 여행 다니는 여성 조종사
팝뉴스
l
2017.05.28
인스타그램에 올려 인기가 높다. 에세르 악산 에르도건은 어릴 때부터 비행기 조종사가
꿈
이었다고 하며 워낙에 톰보이여서 F16 등 전투기 조종을 원해왔지만, 전쟁과 살상에는 반대하기에 여객기 조종사로 타협을 봤다고 한다. 그녀는 직업과 취향이 조화를 이루는 행복한 직장인이다. 돈을 벌면서 ... ...
운동의 효과, 갈비씨에서 건강 미녀로
팝뉴스
l
2017.05.26
화제가 되고 있다. 왼쪽은 2004년의 모습이다. 46kg이었다. 많은 여성들이 소망하는 ‘
꿈
의 몸무게’다. 그런데 전혀 매력적이지 않다. 심하게 날씬해서 병약해 보일 정도다. 오른쪽은 최근 모습으로 51kg이다. 단순히 지방만 늘어났다면 더 보기 싫었겠지만 운동으로 근육을 만든 덕분에 건강미가 ... ...
첫 과학기술전문사관 후보생, 장교로 임관… 국방연구소에서 군복무 중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7.05.26
박수재 소위(23)는 “제대 후에도 방위사업 전문가로서 국가안보에 일익을 담당하는 것이
꿈
”이라라고 소감을 밝혔다. 박진호 소위(23)도 “4차 산업혁명에 필요한 핵심기술 개발에 도전해 보고 싶다”고 말했다. 김헌수 국방부 전력정책관은 “과학기술을 통한 국방력강화의 필요성이 점점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