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적
훈공
공
성공
보람
수훈
한길
뉴스
"
공로
"(으)로 총 1,01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배아줄기세포 복제…생명공학 소용돌이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싶었지만 결국 큰 문제는 없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미탈리포프 교수팀은 그
공로
를 인정받아 ‘네이처’가 뽑은 올해 10대 과학계 인물로 선정되기도 했다. 배아줄기세포는 수정란이 분열하면서 만들어지는 가장 초기의 줄기세포로 근육은 물론 신경세포 등 몸을 이루는 어떤 세포로도 분화가 ... ...
네이처 선정 2013년 10대 과학자
동아사이언스
l
2013.12.22
걸쳐 미국시민자유연맹(ACLU) 편에서 인간 유전자를 특허에서 해방시키기 위해 싸운
공로
를 인정받았다. 시몬셀리의 도움으로 ACLU 변호사들은 법원에 인간 유전자가 특허대상이 안된다는 주장을 피력했고, 마침내 6월 13일 미국 대법원은 “인간의 유전자는 특허 대상이 아니다”라는 판결을 내렸다. ... ...
생명 과학의 역사를 송두리째 바꾼 주인공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2.22
같이 인류를 위협하는 질병을 물리치는 데 크게 기여한
공로
로 국제사회에서 ‘백신의 황제’, ‘아시아의 슈바이처’, ‘작은 거인’ 등으로 불릴 정도로 존경을 받았다. 그는 일찍이 사람들이 두려워하고 꺼리는 한센병 환자들을 돌보는 것을 시작으로 결핵과 천연두, 소아마비, 에이즈 등을 ... ...
‘천상의 입자’, 땅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19
힉스가 반응을 일으키는 모습의 상상도. -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제공 이러한
공로
를 기리듯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힉스 입자의 존재를 처음 예측한 피터 힉스 영국 에든버러대 교수와 모든 물질에 질량이 생기는 과정인 ‘힉스 메커니즘’을 제안한 프랑수아 앙글레르 벨기에 ... ...
김대식·장석복·서영준 교수 3人 한국과학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3.12.18
공로
를 인정받았다. 장석복 교수는 팔라듐 촉매를 매개로 하는 촉매반응을 개발한
공로
를 인정받았으며, 서영준 교수는 항산화 및 항염증 기능을 지닌 물질의 발암억제 효능을 규명한 점이 높게 평가됐다. 또 미래부와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젊은과학자상(공학분야) 수상자로 박정욱 연세대 ... ...
“3대 과학학술지 폭정”… 노벨상 셰크먼 교수 논문 게재 거부
동아일보
l
2013.12.11
말이 어떤 의미인지 구체적으로 밝히진 않았다. 세포의 물질운송 과정을 규명해 낸
공로
로 올해 노벨상을 받은 그는 1980년과 1990년 셀에 관련 논문을 게재하면서 세계 과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김기용 기자 kky@donga.com [화제의 뉴스] - 10대 용인 살인마 사형 구형 - 국군포로들의 ‘뜨거운 눈물’ - ... ...
줄기세포 키우면 신약 개발 속도 빨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29
분화가 끝난 체세포를 분화 이전 단계로 되돌리는 ‘유도만능줄기세포(iPS)’를 개발한
공로
로 지난해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국내 줄기세포 연구가 ‘황우석 논문 조작 사건’ 이후 주춤하는 동안 선진국들은 줄기세포 시장 선점을 위해 이처럼 치열하게 뛰고 있다. 이에 우리 ... ...
"좋은 연구 성과는 좋은 멘토를 만나야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13.11.29
좋은 연구 결과를 낼 수 있는 원동력에 대해 이렇게 답했다. 단백질 분해 과정을 밝힌
공로
로 2004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치에하노베르 교수는 1976년까지만 해도 의무장교로 군 복무를 마친 임상의였다. 임상의였던 그가 의과학자로 진로를 바꾼 것은 2004년 노벨상을 공동 수상한 아브람 헤르슈코 ... ...
서울대 이병호ㆍ최성현 교수, IEEE 펠로우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3.11.28
석사를 마친 뒤 미국 미시간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무선랜(WiFi) 기술 개발의
공로
를 인정받아 매우 이례적으로 40대 초반의 젊은 나이에 석학회원으로 선정됐다 ... ...
인류의 오만함을 어찌 모를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1.24
되는 것은 아닐까.” 물리학의 입지전적 여성 과학자 퀴리 부인과 함께 라듐을 발견한
공로
로 1903년 노벨상을 수상한 그녀의 남편 피에르 퀴리의 수상 소감이다. 퀴리 부부는 우라늄의 성질을 연구하다가 훨씬 강한 빛을 방출하는 원소를 발견했다. 방사능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고 결국 강력한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