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축
구축
공사
건조
건립
설계
가설
뉴스
"
건설
"(으)로 총 2,287건 검색되었습니다.
5일 뒤 날씨까지 1시간 단위로 제공된다… 지진경보 5초로 더 짧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4
제공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로 부쩍 늘어난 배달업이나
건설
업 등 기상재해 영향이 큰 직업군을 선정하고 맞춤형 날씨정보와 날씨영향정보를 생산해 전달하는 체계를 마련한다. 기상청 공식 어플리케이션 ‘날씨알리미’ 푸시 알림 기능을 생활기상정보로 확대하고 ... ...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CEO 내려놓는 이유…'우주사업 집중하려고'
동아사이언스
l
2021.02.04
베이조스는 지난 2019년 달 착륙선 ‘블루문’을 공개하며 “우주로 가는 길을
건설
할 것”이라며 “놀라운 일이 벌어질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블루오리진은 현재 미국 앨라배마주 헌츠빌에 로켓 엔진 공장을 두고 있으며 NASA의 케네디우주센터 외곽에서 뉴글렌 조립을 위한 시설을 갖추고 ... ...
[과학게시판] ETRI,
건설
현장 안전사고 방지 통합관제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1.30
‘도로실증을 통한 스마트
건설
기술 개발’ 과제의 일환으로 진행되며, 양측은
건설
현장 재해율 25% 저감을 목표로 2025년까지 연구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다. ... ...
뉴욕~런던 4시간30분에 끊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6
제작 벤처인 에어리온이 2023년 초음속 여객기 AS2의 첫 생산을 위해 플로리다주에 대규모
건설
을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AS2는 8~12명을 태우고 뉴욕과 런던을 마하 1.4로 4시간 30분만에 주파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이는 기존 비행시간을 2시간 30분가량 단축한 것이다. AS2의 첫 비행은 2024년으로 ... ...
차세대 한국형발사체 목표 2029년 소행성 탐사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1.25
달탐사사업단장, 이병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인이동체연구실장, 신휴성 한국
건설
기술연구원 미래융합연구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패널토론이 끝난 후 한국물리학회, 대한전자공학회 등 기초 및 응용과학분야 학회장 및 관련 기관장도 온라인으로 참여해 우주탐사와 기초 및 응용과학의 연계 ... ...
스페이스X는 안 하는 공중 발사, 버진 오빗은 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1.25
로켓을 발사할 수 있다. 안재명 교수는 “지상 발사에 필요한 복잡하고 거대한 발사장을
건설
할 필요가 없다”며 “날씨의 영향도 덜 받는다”고 말했다. 버진 오빗은 론처원 서비스 가격을 1200만 달러(약 132억 원)로 책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지상 발사 서비스로 가장 앞선 스페이스X의 발사 ... ...
과학기술 정부출연연 6개 기관장 후보 3배수 확정
동아사이언스
l
2021.01.22
선임연구위원) - 이호신(미국 아이오와대 토목환경공학과 교수) - 정문경(한국
건설
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 서승일(한국철도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 조용현(한국철도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 한석윤(한국철도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 ...
[인사] 한국원자력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1.01.22
◇한국원자력연구원 ▽단장급 △수출용신형연구로실증사업단장 김민환 ▽부·센터장급 △수출용신형연구로실증사업단
건설
관리부장 류정수 △기술관리부장 김성훈 ...
겨울철 도로 블랙아이스 막으러 첨단기술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22
대비할 수 있다면 블랙아이스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데 착안한 장진환 한국
건설
기술연구원 인프라안전연구본부 수석연구원 연구팀은 블랙아이스 정보 수집 및 제공 기술을 개발하고 현재 테스트 중이다. 이 기술은 자동차 속도와 엔진의 분당회전수(RPM),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 ...
[표지로 읽는 과학] 역사 속으로 사라진 ‘아레시보 전파망원경’
동아사이언스
l
2021.01.17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은 1963년 푸에르토리코 아레시보 남쪽에 아레시보 천문대와 함께
건설
됐다. 반사판의 지름이 305m로 2016년 지름이 500m인 중국의 구면전파망원경(FAST)이 등장하기 전까지 단일 망원경 중에는 전 세계에서 크기가 가장 컸다.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은 주로 외계에서 오는 신호를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