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유리"(으)로 총 992건 검색되었습니다.
- 따끔따끔 찝찝 여름의 적을 이기자!어린이과학동아 l20070629
- 곳의 깊이와 지형을 미리 알아보고 노는 것이 좋아요. 물의 흐름이 갑자기 바뀌거나 빨라지는 곳도 위험하니 주의! 바닥의 뾰족한 유리 조각이나 돌을 밟아 다칠 때도 많으니 아쿠아 슈즈를 신고 노는 것도 좋답니다. 바다나 강은 갑자기 깊어지는 곳이 많으니 구명조끼를 입고 노는 건 어때요? 수영을 좀 할 줄 안다고 자만하지 말고 가슴 밑의 깊이까지만 ...
- 2080년 나의 지구를 돌려줘(2)어린이과학동아 l20070430
- 지구인들이 지구온난화의 무서움을 몰랐기 때문이구나. 지구온난화는 온실효과로 지구의 평균기온이 올라가는 현상이야. 온실 유리가 열을 온실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하듯 온실기체가 지구의 열을 우주로 나가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지. 온실기체는 바로 이산화탄소, 메탄가스, 질소화합물, 수증기 등이야. 이 기체들이 지구가 내보내는 열에너지를 대기 중에 붙 ...
- 세상을 창조하는 디자이너(1)어린이과학동아 l20070131
- 만든 전구를 쓰는 사람들은 100년이 넘게 고정관념을 깨지 못했다. 에디슨을 너무 숭배해서일까? 사람들은 전구는 항상 둥글어야 하고 유리로 만들어야 한다는‘굳은’믿음을 갖고 있었다. 미국의 조명 회사‘이프더랩’의 디자이너들은 그 믿음을 와장창 깨버렸다. 그들이 만든‘씨라이트’란 전구는 종이처럼 얇다. 게다가 접거나 감을 수도 있다. 덕분에 벽이 ...
- 우주로 이사 가는 날! (2)어린이과학동아 l20070111
- 정착촌을 위해 밀폐된 인공 지구를 만들어 실험에 들어갔다. 이것이 바로 바이오스피어2다. 미국 애리조나 주에 만든 바이오스피어2는 유리로 밀폐된 1만 3000㎢의 공간으로, 거주구역, 농업구역, 자연구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또 열대우림, 사바나, 습지대, 바다, 사막의 다섯 가지 생물권도 만들어 지구 생태계를 그대로 본뜨고자 했다. 여기에 8명 ...
- 요람을 벗어나, 우주로!어린이과학동아 l20061214
- 선구자 치올코프스키는 이렇게 말했다.“ 지구는 인류의 요람이다. 하지만 언제까지나 요람에서 살 수만은 없다.”유리 가가린이 인류 최초로 우주비행에 성공한 지 어언 50년. 마침내 대한민국 최초의 우주비행사가 결정될 날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여기서 선발된 두 명의 우주비행사 후보는 1년 동안 러시아에서 우주적응 훈련을 받은 후 2008년 4월발사 ...
- 2006 최고의 과학 발명품어린이과학동아 l20061213
- 달라붙는 도마뱀 로봇 스티키봇 어떠한 벽에도 달라붙을 수 있는 도마뱀. 비결은 발바닥에 달려 있는 흡반. 이 흡반의 원리를 이용해 유리벽도 달라붙을 수 있는 도마뱀 로봇 ‘스티키봇’이 탄생했다. 미국 스탠퍼드 공대생 김상배 씨가 발명한 스티키봇은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서 많은 일을 할 수 있다. 노약자와 부상자여, 내게 오라! 캐스트워커 ...
- 화산섬에서 과학과 놀다어린이과학동아 l20061128
- 구리는 전류가 잘 통하는 도체고요. 하지만 아주 센 전류라면 가능합니다. 큰 유리판을 향해 100만 볼트의 벼락을 만들어 쏘자 전류가 유리를 통과했어요. 벼락 치는 날 자동차 안은 안전할까요? 금속은 전류를 잘 통하는 도체이기 때문에 위험할것 같다고요? 이 궁금증도 실험으로 확인했어요. 자동차에 벼락이 치면 전하가 금속 표면에만 흐 ...
- 역사를 바꾼 무기의 과학 (1)어린이과학동아 l20060914
- 이제까지 소수의 기술자들만 만들던 무기가 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되면서 무기산업이 발전합니다. 무기가 많을수록 전쟁에 유리했기 때문에 빠르게 많은 무기를 만드는 공장이 개발되고 엄청난 수의 무기들이 쏟아지기 시작합니다. {tIMG_c11} 하늘을 정복한 자, 누가 이기리오 {bIMG_r12}1903년 미국의 라이트 형제는 세계 최초로 비행기를 ...
- 분자는 움직이는 거야!어린이과학동아 l20060913
- 기체가 액체로, 액체가 고체로 상태 변화할 때는 부피가 감소한다. 그러나 예외가 있다. 물병을 냉장고에 넣어 두면 물이 얼면서 유리가 깨진다. 액체 상태인 물이 고체 상태인 얼음이 되면서 부피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물이 얼음이 되면 원래 부피의 10% 정도 커지는데 500㎖짜리 생수를 얼리면 부피가 550㎖로 늘어난다. 발 없는 냄새가 천리 간 ...
- 여기는 화성, 지구 나와라!어린이과학동아 l20060830
- 해요. 그러나 아직 확실한 증거는 아니에요. 우리가 직접 생명체를 찾을 수는 없지만 연관된 재미있는 실험을 해 볼 수 있었어요. 유리병에 물과 규산소다액을 채운 뒤에 황산구리, 염화니켈, 염화망간, 염화코발트 등을 넣었어요. 얼마나 예쁘게 결정이 자라던지. 친구들은 저마다 마귀할머니가 사는 성, 깨끗한 바다 산호초, 산발한 머리를 닮았다며 야단 ...
이전949596979899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