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장"(으)로 총 4,725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고양이의, 고양이에 의한, 고양이를 위한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전염이 아주 잘되는 신종 전염병이었던 것입니다. 당시 쥐에 대한 기록이 없는 것도 이 주장을 뒷받침합니다.흑사병에 대해 좀 더 잘 알았더라면, 고양이와 쥐 사이가 지금보다는 좋지 않았을까요?옛날 사람들은 고양이를 싫어했다?“고양이는 인간과 멀어질수록 더 좋아!” 삽입곡 ‘때가 될 ... ...
- [Tech & Fun] 내 몸을 이루는 미생물에 관심을 가져보세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치열하다. 그러나 저자는 “인간 몸의 90%를 차지하는 미생물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2012년 인간 미생물군 유전체 프로젝트의 제1단계 결과가 발표된 뒤, 현대의 다양한 질병을 가진 사람들에게서 공통적으로 특정 미생물군의 부재가 관찰되고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미생물총 구성이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연구하는 미국의 물리학자 리 스몰린은 “시간은 실재하며, 미래를 만들어낸다”고 주장한다. 그는 시간이 현실의 능동적인 요소이며, 물리학의 법칙 자체가 시간에 따라 바뀔 거라고 제안했다. 과연 시간을 만들어내는, 그리고 우주를 만들어내는 가장 본질적인 실체는 무엇일까. 현대물리학의 ... ...
- [News & Issue] 과학인가 사기인가 연구신뢰 흔드는 재현성 논란(上)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따라 이 가설을 검증하려면 우선 영가설을 세워야 한다. 이 경우에는 영가설은 A가 주장하는 바가 옳지 않다는 것, 즉 ‘동전이 공평하다’ 라는 것이다. 그리고 실제로 동전을 네 번 던져봤는, 네 번 모두 앞면이 나왔다고 가정해 보자. 이제 유의확률을 계산할 차례다. 앞서 정의한 내용에 따라, ... ...
- [Knowledge] 인류세의 시작, 콜럼버스일까 핵폭탄일까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상승했으며, 탄소, 질소, 인 순환에 변동이 일어났기 때문에 인류세로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이 변화들이 서서히 일어난 것이 아니라, 지구역사상 유례없는 속도로 일어났고 현재도 진행 중이라고 했다.국내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남욱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4기지질연구실 책임연구원은 ...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관측로그와 학회발표 초록을 봤다고 의심했고, 오리츠 팀은 중요한 단서가 없었다고 주장해논란이 됐다.중력파, 이번엔 진짜다5년간의 업그레이드가 끝나갈 무렵인 작년 9월 14일, 어드밴스드 라이고의 8번째 엔지니어링가동 중이었다. 이 마지막 엔지니어링가동은 관측가동이 가능하도록 검출기 ... ...
- [Knowledge] 대의를 위한 희생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혁명을 주도하고 있다고 굳게 믿었다. 찰스 다윈은 자연 선택이 개체의 이득을 늘린다고 주장하는 ‘실수’를 저질렀다. 개체는 중요하지 않다. 개체의 소소한 이득은 종 전체의 생존이라는 위대한 이득에 언제나 밀려난다고 윈-에드워즈는 역설했다. 그의 책을 펼치면 진리를 전파한다는 사명감에 ... ...
- [Knowledge] 러닝 머신에 올라간 동물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할시 박사는 만약 동물이 스스로 운동을 한다면, 몹시 정밀하게 계산된 결과일 거라고 주장했다(박스 기사 참조). “인간은 에너지가 풍부한 음식을 끝없이 먹을 수 있기 때문에 고강도 운동을 아무리 많이 해도 번식에 무리가 없다. 그러나 동물들은 굶어 죽지 않으면서 포식자로부터 도망칠 수 있을 ... ...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싣고 있습니다. 고생물학계에서는 거의 정설이 됐지만 새의 조상이 공룡일 리 없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연구 결과만 봐도 새와 공룡은 공통점이 참 많은 것 같습니다. 새와 공룡 사이에 대한 다음 증거는 무엇이며, 그때 수학은 어떤 역할을 하게 될까요 ... ...
- [과학뉴스] #나는_연구_기생충입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건강 ․ 라이프과학자들이 이용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최근 ‘나는 연구 기생충입니다(IAmAResearchParasite)’라는 해시태그가 유행 중이다. 사건의 발단은 의학학술지 ‘ ... 공공성을 띠고 있으며, 연구자가 매번 원작자와 협의를 하는 것은 연구의 효율을 저해한다고 주장했다 ... ...
이전9495969798991001011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