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경관
예상
경치
미래상
희망
비전
관망
d라이브러리
"
전망
"(으)로 총 2,784건 검색되었습니다.
깨알보다 작은 마이크로 거울로 메가번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날아오는 미사일을 초고속으로 추적해 격추하는 국방 무기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했다.박일흥교수1985고려대 물리학과 석사1989미국 뉴저지주립대 물리학 박사2002년~현재이화여대 물리학과 부교수2006년~현재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연구단 MEMS 우주망원경 연구단 ... ...
과학으로 부활하는 매머드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10~20년 뒤에나 실현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슐스터 교수의 말은 조심스러운
전망
같지만 사실 굉장히 낙관적인 것 아닐까요? 게놈을 상당부분 해독했다지만 실제 복제까지 가는 길엔 수많은 장애물이 기다리고 있을 테니까요.➊ 지난해 미국 연구자들은 시베리아 동토에서 발견된 매머드의 ... ...
‘에코패션’ 시대 열렸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천연섬유 대열에 합류했다.2009년은 세계 천연섬유의 해에코패션 붐은 올해도 계속될
전망
이다.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는 지난해 말 해외 10개국의 연말시즌 구매동향을 분석해 만든 ‘미리 보는 2009년 소비트렌드’ 보고서에서 글로벌 소비 키워드로 ‘3E’, 즉 ‘실속’(Economical), ‘가치’ ... ...
[나노기술]마이크로입자 붙잡는 ‘나노밧줄’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자유로워진다. 연구자들은 이 기술을 약물전달시스템(DDS)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했다. 나노밧줄에 약물이 들어 있는 입자를 붙잡아 둔 채 투약한 뒤 밧줄이 서서히 풀리면 약물을 방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 ...
복제기술이 꽃피우는 바이오혁명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탐지견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는 현실에서 복제 탐지견이 큰 역할을 할
전망
이다. 그런데 과연 복제 동물은 건강에 문제가 없을까.“4월 24일은 스너피가 만 4살이 되는 날입니다. 지금까지 건강하게 지내고 있고 지난해에는 역시 복제 개인 보나 사이에 새끼도 낳았죠. 스너피를 보러 가실까요 ... ...
탐구력 갖춘 과학인재 양성의 샛별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전환됨에 따라 입시제도의 변화가 예상되며 경기북과학고의 인기는 더욱 높아질
전망
이다.경기북과학고는 학교장추천자, 경기도 수학·과학 경시대회, 올림피아드전형 등 특별전형에서 50명, 일반전형에서 50명을 선발한다. 학교장추천제로 경기북과학고에 진학하려는 학생은 내신성적과 함께 ... ...
별의 전령사, 갈릴레이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앞으로 허블우주망원경에 이은 차세대 우주망원경이 뜨고 30m급 지상 망원경이 들어설
전망
이다. 2009년 UN이 선정한 ‘세계 천문의 해’를 맞아 ‘우주로 향한 거대한 눈’ 망원경의 세계로 떠나보자.망원경이 우리 눈을 속이는 거 아냐? 망원경을 직접 제작해 맨눈에 보이지 않던 진짜 우주를 발견한 ... ...
휴머노이드와 사랑에 빠진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앞으로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는 수동보행과 능동보행을 통합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전망
입니다. 사람 몸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수록 로봇기술도 함께 발전하겠죠.”쿠오 교수는 KAIST 기계공학과 박수경 교수의 초청으로 2008년 11월부터 약 1달 동안 한국에 머물며 KAIST 학생들에게 생체역학을 ... ...
요즘 태양은 왜 민얼굴인가요?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중인 ‘한국형 태양전파폭발위치감지기’(K-SRBL)도 태양폭발의 비밀을 푸는 데 한몫할
전망
이다. 2009년 한국천문연구원에 설치될 예정인 이 장치는 태양에서 폭발이 일어날 때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관측해 폭발이 일어난 부분을 정확히 찾아낸다. 또 광학망원경으로는 볼 수 없는, 폭발이 일어날 때 ... ...
2009년 기축년(己丑年), 소를 생각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걱정을 할 필요가 없어진 셈이다. 관계자들은 5~6년 내에 복제 고기가 식탁에 오를 것으로
전망
했다.지난해 광우병 파동의 기억이 아직 생생한데 이제 복제소를 먹어야 하는 새로운 걱정이 생겼다. 이래저래 소는 우리 인간의 삶에서 떼어놓기 어려운 동물인가보다. 2009년 기축년엔 또 어떤 소와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