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작
행동
실행
몸짓
액션
작용
d라이브러리
"
작동
"(으)로 총 2,671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science] 카톡 정말 믿어도 될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내가 주고받은 메시지는 과연 안전할까. 실시간 감시 가능할까?우선 카카오톡이 어떻게
작동
하는지 살펴보자. 카카오톡으로 메시지를 보내면 통신망을 통해 카카오톡 서버에 도착한다. 서버는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송한다.만일 누군가가 통신망을 장악하고 카카오톡 서버로 가는 데이터를 ... ...
[life & tech] “이제 발가락 안 자를 거죠?”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인식해 개체를 자동식별하는 기술이다. 명암이나 표정, 포즈에 상관없이 프로그램이
작동
한다. 심지어 나뭇가지나 잎, 다른 동물에 얼굴 일부가 가려도 문제없다. 보안이나 범죄자 추적을 위해 개발됐던 생체인식 기술이 생태연구로 넘어가 동물식별에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다음 장 참조)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연구하는 것이나 본질은 같다. 안타깝게도 우리는 뇌의 회로가 정확하게 어떻게
작동
하는지를 잘 모르고 있다. 이 때문에 각종 뇌질환에 대해 명확한 치료 방법을 갖고 있는 게 거의 없다. 고령화 시대에 특히 노인성 뇌질환이 사회에 미치는 파장은 막대하다. 하지만 바꿔 말하면 비즈니스 측면에서 ... ...
[knowledge] 야생담배의 매력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메뚜기가 아니라 만두카임을 알아낸다. 그래서 니코틴 합성을 줄이고 다른 방어기작을
작동
시킨다. 대표적인 것이 만두카를 먹는 곤충, 즉 만두카의 천적을 부르는 일이다. 바로 큰 눈을 가진 노린재과의 곤충(Big-eyed bugs)이다.▲야영지에서 쓰는 전기 대부분은 세 개의 태양전지판에서 얻는다. ... ...
[과학뉴스] 물에 햇빛 쪼이니 수소가 펑펑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새로운 촉매를 이용하면 물에서 수소 대신 전기에너지도 직접 얻을 수 있어 물만으로
작동
되는 가전기기, 자동차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이번 연구는 글로벌프런티어사업단 멀티스케일 에너지시스템 연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화학 분야 권위지 ‘앙게반테 케미’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표하고 있다. 인간병사를 엄호하는 이 전투로봇은 현재는 인간병사가 원격으로 제어하고
작동
범위도 약 800m로 제한돼 있지만, 인공지능이 발전함에 따라 언제고 ‘터미네이터’처럼 치명적인 로봇으로 변신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영국 셰필드대 로봇인공지능학과 노엘 샤키 교수는 비판의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들어 국내 한 통신사가 개발한 ‘지브로(ZiBro)’는 무선주파수 인식시스템과 블루투스로
작동
해 반려동물의 실종을 막아 준다.이뿐만 아니라 고속도로 하이패스나 홈 CCTV 등 상용화된 사물인터넷 사례는 많다.미래에는 달려오는 자동차의 브레이크를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신발 덕분에 신호등이 ... ...
INTRO. 우주관광 올해 처음 떠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그만큼 믿을 수 있다는 얘기! 지구로 돌아와 착륙할 때는 ‘반동추진엔진’이
작동
한다. 마치 헬리콥터처럼 지구 어디에도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고 바로 재사용이 가능하다. 드래곤V2, 펠컨헤비로켓에 실려 발사 2차 추진체로 지구 궤도에 진입 태양광 패널로 전기 보충 ISS에 도킹 드래곤V2 캡슐만 ... ...
100m달리기 10초벽 깨려면 큰허리근 키우고 중력을 역이용하라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숫자는 십진법에 맞춰진 자의적 기준이라는 것이다. 신경과 근육이 모두 이상적으로
작동
한다면 0.075초의 반응시간이 가능하다는 주장도 있다. 일부 선수들은 연습에서 반응시간이 0.1초보다 빨라 실전에서는 일부러 반응속도를 늦추는 경우도 있다. 그래도 당분간 0.1초라는 기준은 변하지 않을 테니 ... ...
‘녹색 화성’에선 누에가 맛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흔적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받은 녀석이다. 하지만 먼지폭풍으로 태양전지가
작동
되지 않아 10여 년 간 방치돼 있었다. 수리해 사용하면 아이스브레이커(Icebreaker)로 코어를 얻는 것보다 화성의 지질 탐사 및 바이오돔 건설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임무를 마치고 거주시설로 복귀했다. 다른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