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연 과학"(으)로 총 4,467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생태를 파악해 더 똑똑한 보호 전략을 세우려는 과학자도 있다. 고래 보호 활동을 하고 있는 미국의 ... 이동하는지 더 상세히 파악했고, 이 정보를 자연보호 단체와 공유했다.실제로 미국의 ‘자연보호협회’는 이 데이터를 활용해 ‘버드리턴’ 프로젝트를 시행했다. 빅데이터로 예측한 새들의 ... ...
- PART 2. 로봇의 도전, 가장 사람다운 표정 만들기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스토리와 상황에 맞는 표정을 짓기도 한다. 표정이 사람처럼 다양하고 자연스러울수록 가상세계도 훨씬 실감난다. 최근에는 로봇공학자들도 표정에 ... 사람과 친밀하게 소통하기 위해서다.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의 컴퓨터과학인공지능연구소(CSAIL)와 산업로봇제조사인 리싱크 로보틱스 연구팀은 ... ...
- PART 1. 수학자는 공동연구를 좋아해~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함께 연구해요!미국 텍사스주립대 수리과학과 이선영 교수저는 컴퓨터 계산을 통해 편미분방정식을 푸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어요. 편미분방정식은 자연과학과 공학, 의료공학 등 많은 분야의 수리모델링을 위해 쓰입니다. 이 때문에 저와 함께 연구하는 사람들은 수학자뿐 아니라 기계공학자와 ... ...
- [과학뉴스] 30년 핵융합 난제, 한국 연구진이 풀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학계가 30년간 풀지 못했던 난제에 대해 국내 과학자들이 새로운 해석을 내놨다. 박현거 UNIST 자연과학부 교수와 윤건수 포스텍 첨단원자력공학부 교수팀은 자기장에서 생겨난 난류가 ‘핵융합 플라즈마 경계면 불안정성 현상’을 억제하는 원리를 밝혀냈다고 9월 8일 밝혔다.태양에서는 핵융합이 ... ...
- [Knowledge] 혈연이 아닌데 ‘혈연 선택’이라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보지 못한 학술지들을 들춰봤다. 꽤 흥미로운 일이 벌어져 있었다. 모든 과학 분야를 다루는 최고의 학술지 ‘네이처’가 진화생물학을 한결 따사로운 ... 몸 안에 들어 있는 자신의 복제본만 콕콕 집어서 도와주는 셈이므로 자연 선택될 수 있다. 1976년에 리처드 도킨스는 개체로 하여금 녹색 수염이 ...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것이다.이탕 장은 소수 가운데 차이가 n(1부터 7000만까지 가능한 자연수)인 소수쌍이 무한히 많다는 것을 증명했다. 쌍둥이 소수 추측은 소수 ... 수 있는 한국판 폴리매스 프로젝트를 기획 중이다. 대한수학회, 국가수리과학연구소와 함께 2017년 1월부터 매달 함께 풀 좋은 문제를 인터넷에 공개할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세워진 기둥 사이에 적용된다. 주춧돌의 표면을 매끈하게 다듬지 않고 자연 상태의 모양 그대로를 쓰고, 기둥의 아랫부분을 주춧돌의 표면에 꼭 맞게 ... 지진이 발생하고 난 뒤에, 전조현상은 아니었을지 추정하는 것이라 과학적인 근거가 부족하다. 지진을 앞두고 독특한 모양의 구름, 이른바 ... ...
- [Career] "머리카락보다 작은 소재의 활약을 기대하세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떠오른다. 하지만 김병수 UNIST 자연과학부교수의 방은 달랐다. 수많은 ... 들을 수 있었다. 김병수 UNIST 자연과학부 교수는 수요일마다 공을 차는 아마추어 축구선수다. 대학시절에는 득점왕을 차지했던 뛰어난 공격수였다. 공 하나로 소통하는 축구의 미덕을 닮아서일까. 그의 고분자 나노소재 ...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받았다. 유럽식품안전청(EFSA)은 두 차례에 걸친 과학 자문단의 논문 검토 결과, 실험 설계부터 결과 ... 유전자를 전달할 가능성이 내재돼 있다. 자연에 없는 식물을 만든다는 이유로 많은 이들이 GMO에 대해 근거 없는 두려움을 갖는데, 과학적으로 면밀히 따져보면 관행육종 방법으로 생산된 식물에도 ... ...
- [News & Issue] 이산화탄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이것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현실이 아니다.과학자들은 기술로 이를 극복하려 한다. ...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광합성이다. 하지만 자연적인 광합성으로는 현재의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해결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렀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생물을 개량해 대규모의 광합성 시스템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 ...
이전9495969798991001011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