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론"(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 [필즈상 미리보기] 알레시오 피갈리, 허준이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받아도 수긍이 가지만 못 받아도 이상할 건 없다는 겁니다. 피갈리 교수가 최적 운송이론 분야에서는 엄청난 성과를 내고 있는 건 인정하지만, 수학계 전체로 봤을 때는 아직 부족하다는 거지요. 하 교수는 “한 번 더 기회가 있는 만큼 랜덤 행렬 연구와 같은 성과가 또 나온다면 다음 번에는 필즈상 ... ...
- Intro. 수학으로 보여주는 보이지 않는 우주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오늘날 우리는 관측 기술의 눈부신 발전 덕에 저 멀리 보이는 은하뿐만 아니라, 우주가 탄생한 지 얼마 안 됐을 때 남긴 흔적까지 볼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우주에 대해 잘 알고 ... 것Part 2. [27%] 미지의 물질, 암흑물질Part 3. [68%] 미지의 힘, 암흑에너지Part 4. [?] 모든 것의 이론이 있을까 ... ...
- Part 1. [5%] 우리가 아는 것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우주 전체에 있는 물질 중 우리가 알고 있는 건 겨우 5%다. 빛은 우리가 매일 보기 때문에 아주 많을 것 같지만, 우주 전체로 봤을 때 1%에도 한참 못 미치는 미미한 양밖에 ... 아는 것Part 2. [27%] 미지의 물질, 암흑물질Part 3. [68%] 미지의 힘, 암흑에너지Part 4. [?] 모든 것의 이론이 있을까 ... ...
- Part 4. [?] 모든 것의 이론이 있을까?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앞서 살펴본 것처럼 오늘날의 우주론은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라는 개념을 도입한 수학 모형으로 우주를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두 개념 모두 실체가 발견되지 않았다. ... 아는 것Part 2. [27%] 미지의 물질, 암흑물질Part 3. [68%] 미지의 힘, 암흑에너지Part 4. [?] 모든 것의 이론이 있을까 ... ...
- [Culture] 해피 화이트데이를 기원하며♥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선택을 하다 보면 모두 자신의 선택을 바꾸지 않는 평형 상태에 도달하게 됩니다. 게임 이론에서는 이를 ‘내시 균형’이라고 하죠. 이 상황에서는 상대를 고르는 데 걸리는 시간을 늘리는 쪽으로 평형을 이루게 됩니다. 많은 이들이 결혼 상대를 찾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과학적인 이유가 있었던 ... ...
- Part 1. 암호화폐는 ‘진짜 돈’이 될 수 있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각자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장부의 복사본에 새로운 거래 기록을 추가하도록 돼 있다. 이론적으로는 그럴싸하게 들리지만, 실제로 분산 환경에서 공정한 방식으로 하나의 구성원을 선택하고 합의하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만약 이를 가능하게 만드는 알고리즘이 개발됐다고 가정해보자. 이 경우 ... ...
- [인터뷰] UNIST 신입생 대표 김윤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실험이나 과정을 통해 이런 이론이 나오게 됐는지, 이론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등 이론 자체를 분석하는 일에 집중했습니다.” 실컷 노는 것도 필요학원 대신 얻은 여유 시간에 공부만 한 것은 아니었다. 실컷 노는 일에도 집중했다. “사실 공부를 하는 시간의 총량은 오히려 줄어들었다고 ... ...
- [신학기 특별기획] 영재학교·특목고·자사고 합격 전략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융합적 사고력을 평가하는 문제를 출제하는 경우도 있는 만큼 면접 전 중학교 과정의 이론을 검토하면서 배운 내용을 정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에는 인성, 커뮤니케이션 능력, 논리력 등 다각적인 평가가 가능한 면접을 진행하는 학교가 증가하는 추세다. 따라서 자신이 지원하는 학교가 어떤 ... ...
- [과학뉴스] 빨리 오고, 예측 빗나가고 올해 독감, 왜 이리 독한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어떤 조합을 이루는지에 따라 ‘H1N1’ ‘H3N1’ 등 A형 바이러스의 유형이 결정된다. 이론적으로는 A형 바이러스의 종류가 144개다. B형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간단한데, 바이러스의 최초 검출 지역의 이름을 따 ‘빅토리아형’과 ‘야마가타형’ 2가지로 구분한다. 인류가 독감에 치명타를 입었던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가면 모두 원자로 이뤄졌다. 양자역학은 이런 미시세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미시세계에서는 전자가 입자와 파동의 이중성을 갖고 있다. 이 책은 김상욱 부산대 물리교육과 교수가 1년 간 과학동아에 ‘양자역학 좀 아는 척’이라는 코너를 연재한 뒤 여기에 살을 붙인 것이다. ... ...
이전9495969798991001011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