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죄수복
임의
시체 입히는 옷
의지
욕구
자유
마의
d라이브러리
"
수의
"(으)로 총 1,543건 검색되었습니다.
줄어드는 북극해의 얼음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자기의 의지로 강하게 혹은 약하게 하거나 멈추게 하는 등의 제어를 할 수 없는 불
수의
활동(不隨意活動)들이다 세균 · 곰팡이 · 바이러스 등 미생물을 취급할 때 생기는 감염재해(感梁災害) 생물재해라고도 한다미생물 실험실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연구대상인 병원(病源) 미생물(세균 · 바이러스 · ... ...
2. 정자 없이 수정하는 난자 처녀생식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년 4월 ‘네이처’는 한국 생명공학벤처기업 마크로젠과 일본 도쿄농대 고노 도모히로 교
수의
공동연구팀이 쥐에서 난자만으로 새끼를 태어나게 한 연구결과를 실었다. 연구팀은 쥐에서 덜 자란 난자를 채취한 다음 유전자를 조작해 각인 현상이 일어난 정자의 유전자처럼 ‘변장’시켰다. 이를 ... ...
오존 구멍 회복이 늦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글리시드에스테르)를 생성하는 반응 다리걸친고분자 속의 다리걸침하고 있는 구조단위
수의
전체구조단위수에 대한 비율 지도투영도법(地圖投影圖法)의 하나 다면체도법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중엽에 걸쳐 각국의 지형도(地形圖)에 많이 이용되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도 예전의 5만분의 1 지도는 ... ...
생명을 살리는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VSV)라는 이 RNA 바이러스는 가축에서 전염병을 일으키며 복제 능력이 우수해 많은
수의
암세포를 공격할 수 있다. 효과 좋은 유전자 운반체바이러스는 직접 질병을 치료할 뿐만 아니라 치료를 위해 유전자를 몸 안으로 실어나르는 운반체로 쓸 수도 있다. DNA나 짧은 RNA 조각 같은 유전물질을 몸 ... ...
2005년 과학계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증거들이 잇따라 나오면서 이를 무시해 온 미국 정치인들마저 관심을 갖게 됐다. 심해
수의
온난화, 허리케인의 증가, 극지 빙하의 감소, 철새의 이동경로 변화 등 기후변화는 점점 더 인류의 심각한 재앙이 되고 있다.09_세포의 신호 전달 규명세포가 주변 환경에서 들어오는 신호에 반응하는 ... ...
잃어버린 줄기세포의 희망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정명희 교수)를 꾸려 지난해 11월 본격 제기된 윤리문제부터 최근 진위논란까지 황 교
수의
모든 연구에 대해 진상 규명에 나서 23일 중간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세계 최초의 획기적 연구 성과로 세상을 뒤흔든, 그 화려했던 논문이 다시 한번 세상을 뒤흔들며 추락하고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과학적 ... ...
아주 특별한 숫자 1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9호
1이 여러 번 반복되어 만들어지는 11, 111, 1111…을 ‘1의 반복수’라고 부른다.어떤
수의
제곱(²)은 그 수를 두 번 곱하라는 뜻이다. 따라서 11의 제곱(11²)은 11×11을 의미한다.!(팩토리알)은 그 수부터 1까지의 자연수를 모두 곱하라는 기호다. 예를 들면 3!(3팩토리알)=3×2×1이고 7!(7팩토리알)=7×6×5× . ...
뇌는 블랙박스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3만개 유전자가 성장시기별로 발현해 부분을 이루고 전체를 만든 구성체로 10의 12제곱
수의
신경세포가 10의 15제곱개 연접(서로 맞닿은 곳)을 통해 작동한다. 이를 보면 뇌는 한 덩어리의 블랙박스라고 취급하기에는 부분별로 개성이 뚜렷한 유기체 덩어리다. 지금은 뇌영상 기술이 발전해 뇌를 여러 ... ...
황우석 줄기세포, 줄기 꺾이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빛바랠 수 있다.황 교수팀은 11월 23~24일경 입장을 발표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는 “황 교
수의
입장을 들어보고 나서 그래도 의혹이 해소되지 않는다면 별도 조사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진실의 ‘입’은 어떤 얘기를 할까 ... ...
질병 없는 세상, 더 이상 꿈이 아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졸업●198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임상
수의
학 박사●1984~1986년 일본 홋카이도대학
수의
학부 연구원●1986년~현재 서울대학교 교수●1997년 서울대학교 동물병원 원장 역임●1999년 국내 첫 복제소‘영롱이’탄생●1999년 올해의 과학자상 수상●2000년 과학기술진흥공로로 홍조근정훈장 수여●2001년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