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학"(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 IT기술을 즐기며 세상을 바꾼다과학동아 l2011년 12호
- 판서 정도는 돼야 하지 않았겠는가? ‘총, 균, 쇠’로 1998년 퓰리쳐상을 수상한 진화생물학자 제레드 다이아몬드는 이 책에서 “수많은 발명품은 모두 필요에 의해 발명됐다고 착각하기 쉽지만 사실 대부분은 단지 호기심 많거나, 이것저것 주물럭거리는 일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만들었다”고 ... ...
- 내가 제안한 실험을 진짜 우주에서?!과학동아 l2011년 11호
-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실행하는 프로젝트를 연다. 개인 혹은 팀으로 참여할 수 있다. 생물학·물리학과 관련된 실험 과제, 가설 설정, 우주의 극미중력 내에서 실험하는 방법, 예상 결과를 간단한 설명을 포함한 2분 내외의 동영상으로 제작해 ‘유튜브 스페이스랩(www.youtube.com/SpaceLab)’에 올리면 ... ...
- 一石二鳥(일석이조)란 이런 것!과학동아 l2011년 11호
- 9월 18일 ‘네이처 분자 및 구조생물학’ 지에 흥미로운 논문이 실렸다. 비디오 게이머들이 ‘폴딧(foldit)’이라는 온라인게임으로 10여 년 동안 난제였던 단백질 구조를 밝혀냈다는 것이다. 이 단백질은 원숭이에게 에이즈(AIDS)와 같은 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효소다. 이 소식이 알려지자 게임 ... ...
- 살인 물고기의 평화로운 대화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발견됐다. 벨기에 리게대의 에릭 파멘티어 박사팀은 이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실험생물학저널’ 11월호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붉은배 피라냐의 소리를 듣기 위해 수중 마이크를 설치하고 행동과 소리를 관찰했다. 물고기는 보통 구애를 위해 소리를 냈지만 피라냐는 달랐다. 파멘티어 박사는 ... ...
- 머리에 인공지능, 가슴엔 분자엔진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시절, ‘사람이 만드는 기계가 나노 크기가 될 수는 없을까’라는 의문을 재료공학과 생물학, 에너지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해결하고 있다. 드렉슬러는 충분히 만들 수 있으며 심지어 유전자처럼 자기 복제하는 기계도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그가 생각하는 자기 복제 기계는 ... ...
- Part 3. 노벨 생리의학상 - “ 병원균이 침입했다” 경보기 발견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생리의학상도 면역학계에서 나왔다. 룩셈부르크 출신인 율레스 호프만 프랑스 분자세포생물학연구소 교수, 미국의 브루스 보이틀러 스크립스 연구소 유전학과 교수, 캐나다의 랠프 슈타인만 박사(미국 록펠러 의대 교수였다)다. 호프만 교수는 초파리를 이용해 선천성 면역(innate immune)을 밝혀냈다. ... ...
- “한·중·일은 하나의 인류”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대답은 간단명료했다.“전공 외에 다른 분야에도 관심을 기울였기 때문이에요. 당시에는 생물학이 모든 곳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던 시기거든요. 제겐 그게 인류의 기원이었죠.”인류 기원 밝힌 ‘미토콘드리아 이브’25년 전인 1986년, 칸 교수가 미국 UC 버클리 유전학과에 재직할 때였다. 인류의 ... ...
- 우리는 개를 이해하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재미가 있다.‘동물과 인간 사이’는 좀더 ‘야생’에 가까운 지식을 주는 책이다. 인지생물학자인 저자가 ‘동물들은 무엇을 알고 어떻게 사고하나’라는, 과학적이면서도 철학적인 질문의 답을 찾는 과정을 모았다. 늑대나 까마귀, 침팬지, 미어캣 등 동물들을 집요하게 관찰하는 과정은 우리와 ...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과학동아 l2011년 10호
- 가능해지면서 반도체, 초전도체, 레이저, MRI 등 여러 분야에 응용됐다. 현대 화학과 분자생물학 등 새로운 연구 분야도 가능해졌다.초미시세계의 궁극적인 단위 물질, 즉 쿼크와 이보다도 작은 초끈에 대한 탐구도 이어지고 있다. 양자역학과 반대로 상대론적 중력이론, 즉상대성이론은 처음부터 ... ...
- 인간단백질 백과사전 만든다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연구를 시작할 수 있다. 마침 루디 에버솔드 스위스 취리히공대 교수가 이끄는 ‘생물학/질병 기반 단백질사업’도 같이 추진하기로 돼 단백질 백과사전을 만드는 일은 시너지 효과를 얻게 될 전망이다.한국은 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의 유종신 박사팀이 11번 염색체를 맡고, 백 교수팀이 13번 ... ...
이전9495969798991001011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