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밤"(으)로 총 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SF 창작 강의도 병행하고 있다. 소설 ‘파수’, ‘세라페이온’, ‘발푸르기스의 밤’과 번역작으로는 ‘영원의 끝’ 외 다수가 있다.sohardplanet@hotmail.comSF단편 연재는 이번 호로 마칩니다.지금까지 사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 [매스미디어] 세이빙 산타 산타의 썰매를 지켜라!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시간차는 더 벌어질 수도 있다. 그러니 최대한 빨리, 부지런히 배달하면 크리스마스 하룻밤만에 산타의 임무를 완수할 수 있지 않을까?그런데, 이처럼 같은 상황을 놓고 동전의 앞뒤처럼 다르게 해석하는 논리 때문에 아리송해지는 독자들이 있을 것이다.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정반대가 되어 ... ...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식탁에 오른 갓 담근 김장 김치가 이젠 또 어떤 흐름에 따라 발전하게 될까. 기대되는 밤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김장, 글로벌하게 절이고 과학으로 버무리다PART1 김치를 만들고 나누는 문화 김장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 ...
- 과학동아 천문대 개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보고 싶은 마음과 우주를 보는 창만 가까이 있다면 언제든지 접할 수 있다. 어느 날 밤 문득 별이 그리워진다면 서울 중심에 있는 과학동아천문대를 찾아 보자. 용산 과학동아천문대 개관이 어떤 의미가 있나요?얼마 전 아이손 혜성 행사가 3일 만에 매진됐습니다. 그만큼 사람들이 별을 보고 ... ...
- Intro. 우주론의 역사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만들다.1826년하인리히 올버스가 올버스의 역설을 만들다. 별의 수가 유한하기 때문에 밤하늘이 어둡다는 것.1905년알버트 아인슈타인이 특수상대성이론 발표하다. 시간과 공간이 하나의 연속체가 되다.1915년아인슈타인이 일반상대성이론을 발표하다. 중력은 시공간을 휜다.1917년아인슈타인이 정적인 ... ...
- 아이손 혜성을 볼 수 있는 마지막 기회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지구가 아이손 혜성이 지나간 곳에 들어서면서 혜성의 부스러기가 수많은 별똥별로 변해 밤하늘을 수놓는다.지금까지 관측한 결과 아이손 혜성은 예상만큼 밝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하지만 혜성의 밝기를 예측하기는 매우 어렵다. 아이손 혜성이 태양을 가까이 지나가며 또 어떤 모습을 ... ...
-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3년 12호
- 비밀을 풀 수 있을까?고대로부터 인류는 우주를 이해하기 위해 수학적인 노력을 해왔다. 밤하늘에 떠 있는 별을 보며 우주를 상상했고, 나아가 별의 움직임에 어떤 규칙이 있는지 알아내고자 했다.요하네스 케플러(1571~1630)는 기하학을 통해 천체 궤도의 종류를 처음으로 알아낸 수학자이자 ... ...
- 초원의 시간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라베아 유수프의 요청 때문이었다.“네? 누굴 만나러 간다고요? 천재소년이요?”전날 밤, 라베아 유수프 박사의 말을 들은 윤희나가 큰 소리로 물었다.“하루면 돼요. 윤희나 씨, 일정을 그 이상 지연시킬 생각은 저도 물론 없어요. 다만 경로를 조금만 수정하자는 거예요. 특별히 봐야 할 곳이 정해져 ... ...
- 금융 IT 산업, 새 시대를 열다! (유시완 하나은행 정보전략본부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제한시간은 6분. 작은 오차도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신중에 또 신중을 기했다. 사실 평소 밤잠을 줄여가며 연습을 할 때, 원을 완성하면서 연필심 두께 때문에 오차가 생긴다는 걸 경험으로 알고 있었다. 그래서 원을 한 번에 그리지 않고, 치밀하게 1°씩 줄여가며 눈금을 표시한 다음 여러 차례에 ... ...
- ‘숙면이 보약’, 잠잘 때 뇌 속 독성물질 ‘대청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매일 밤 우리는 잠을 잔다. 사나운 맹수의 눈을 끊임없이 피하고 쉴 틈 없이 먹을 것을 구하러 다녀야 했던 아주 오랜 옛날부터 그랬다. 일생의 3분의 1을 잠을 자며 보내는 이유에 대해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연구해 왔지만, 그럴듯하게 정립된 이론은 아직까지 없었다. 생리학자들의 공통된 의견은 ... ...
이전9495969798991001011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