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식물사연] 열대 숲 속의 샹들리에 산호히비스커스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전시기획운영실장으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나는 가드너입니다’ ‘식물의 위로’ ‘미국 정원의 발견’ ‘가드너의 일’이 있고, ‘세상을 바꾼 식물이야기 100’ ‘식물: 대백과사전’ ‘가드닝: 정원의 역사’ 등을 번역했다. (※이달의 식물사연은 이번호를 끝으로 연재를 마칩니다. 그동안 ... ...
- [기획] ‘가라앉지 않는 배’ 타이타닉 어쩌다 가라앉았나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타이타닉호 탑승 인원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700명 정도만 탈출할 수 있었습니다.2020년 미국의 천문학자 밀라 진코바는 타이타닉호 출항 당시 발생한 지자기폭풍●을 빙산 충돌 원인으로 지목하기도 했습니다. 타이타닉호 항해 도중 발생했던 강력했던 지자기폭풍의 영향으로 내부에 설치된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한국과 미국 박스오피스 상위 20위 안에 드는 영화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한 결과, 미국보다 한국 영화에서 편향성이 컸죠. 이런 일이 왜 발생하는지를 영상에서 확인하세요! 제주도 풍력발전기가 멈춘 이유는? 조회수 : 3만 회채널명 : 이오 IO (구독자 수 : 19만 명)제주도는 옛적부터 바람이 심하게 ... ...
- [특집] 책의 신전, 도서관의 비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건축학과 교수는 수직공간을 활용한 어린이 도서관(왼쪽 위 사진)을 디자인해 2021년 미국건축가협회상을 수상했어요. 존홍 교수는 “키가 작은 어린이들은 뭐든지 올려다봐야 할 때가 많은데, 도서관에서만큼은 같은 눈높이에서 바라보거나 위에서 내려다보며 책과 친해지고 다른 사람과 자유롭게 ... ...
- [숫자뉴스] 1만 년 전 매머드, 다시 살아나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오래전 지구상에서 사라진 동물이 힘차게 뛰노는 모습을 다시 볼 수 있을까요? 미국 로스앤젤레스 자연사박물관 연구팀은 빙하시대★에 살았으나 인간의 지나친 사냥과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멸종한 동물을 증강현실(AR)★로 되살리는 데 성공했어요. 지금으로부터 약 1만 년 전인 빙하시대에는 ... ...
- [수학자의 세계로] 수학자의 세계로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것을 가장 느끼게 해 주는 분야예요. 그게 최고의 매력이었어요. Q. 어떤 계기로 미국 미시간대학교 대학원으로 옮기게 되신 건가요? A. 2010년 미시간대로부터 아직 학술지에 게재된 건 아니지만 ‘리드의 추측’을 푼 내용을 발표해달라는 제안을 받았어요. 책에서 보던 유명한 수학자들이 ... ...
- [스승이 말하는 허준이 교수] 겸손하고 따뜻하지만, 연구 앞에서는 밤잠 설치는 완벽주의자수학동아 l2022년 08호
- 20년간 지켜본 허 교수는 누구보다 수학에 뛰어난 재능을 가졌습니다. 필자는 서울대, 미국 예일대학교, 스탠퍼드대에서 학생들을 가르쳤고, 여러 명의 필즈상 수상자를 만났습니다. 그 중 허 교수의 집중력과 재능은 단연 최고 수준입니다. 허 교수는 연구도 뛰어나지만 완벽한 강연과 수려한 ... ...
- 조합론 난제를 대수기하학 도구로 해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하지만 당시 미국 텍사스대학교 오스틴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있던 에릭 카츠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교수가 인터넷에서 논문을 읽고 연락해 몇 달간 공동연구를 하게 됐는데, 이때 표수가 0이 아닌 체 위에서 표현된 행렬에서도 같은 추측을 증명합니다. 1년 전만 해도 거짓이라고 여겼던 ... ...
- [필즈상 인터뷰 ➌] 제임스 메이나드 교수 “모든 큰 돌파구는 그 문제를 오랫동안 고민한 후에 나와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앞으로 ‘리만 가설’에도 도전해 보고 싶어요. Q. 교수님과 비슷한 시기에 이탕 장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산타바바라 교수는 연속한 두 소수 의 간격을 7000만까지로 줄였어요. 기분이 어땠나요? 정말 흥분했어요. 같은 연구가 같은 시기에 큰 발전이 일어나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니까요. 또 장 ... ...
- [천상] 수학자들의 존경받는 스승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방송국 신호가 집으로 어떻게 전달되는지 궁금했어요. 그래서 전자공학을 배우려고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에 입학했지요. 하지만 MIT 입학 첫날 도서관에 갔는데 생각보다 수학 관련 책이 많아서 놀랐어요! 제가 ‘전자공학의 원리’라고 이름 붙인 것이 사실은 수학이라는 것을 ... ...
이전9495969798991001011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