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머리"(으)로 총 4,258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세계의 바다를 가를 무인선박을 개발합니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안에 들어간 어뢰의 동체는 진공 막 속에 있게 되는 것이죠. 어뢰에서 물에 닿는 건 앞머리의 일부밖에 없습니다.김다민 속도의 차이가 엄청날 것 같습니다.김낙완 기존 어뢰는 최고 속도가 시속 50km 정도입니다. 초공동어뢰는 최고 시속 360km까지 낼 수 있습니다.김다민 최근 조선업이 불황이다 보니 ... ...
- [소프트웨어] 경기 안산해양중학교 합치고 나누는 SW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여기에 SW를 덧입히자 학생들이 더욱 다양하고 창의적인 발명품을 만들게 됐다. 머리로만 생각했던 아이디어를 SW가 실현시켜줬기 때문이다.“재작년에 한 학생이 넘어지지 않는 휠체어라는 아이디어를 낸 적이 있습니다. 그때는 실제로 만들수가 없었지요. 그런데 SW선도학교가 된 뒤에 똑같은 ... ...
- [지식] 우리 집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눈으로 동시에 볼 수 있는 각도는 최대 150°예요.시야각은 동물에 따라 달라요. 동물마다 머리의 생김새, 눈동자의 모양이 달라 시야각도 다르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창문 밖에서 몰래 보고 있는 비둘기에게는 최고의 위치가 아니에요 ... ...
- [Tech & Fun] 초인적인 벼락치기, 성공 비법은…?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각 부위가 동작을 기억한다는 ‘기억의 편재화 이론’도 밝혀졌다”고 말했다. 말하자면 머리뿐만 아니라 팔다리 같은 온몸이 오감으로 기억하고 습관이 돼야, 그 분야의 ‘선수’가 된다는 얘기다. 운전을 잘하는 사람이 오랜만에 운전대를 잡아도 차를 잘 몰고, 김연아 선수가 동작을 하나하나 ... ...
- [과학뉴스] 새로운 공룡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그래픽으로 복원시켰어요. 그 결과, 사르미엔토사우루스는 몸집에 비해 뇌가 작아 머리가 좋진 않은 것으로 나타났어요. 반면 눈동자가 커서 시력이 좋고, 청각이 발달해 있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답니다.위트머 교수는 “이 공룡이 초기와 후기 티타노사우루스를 잇는 연결 고리가 될 것”이라고 ... ...
- [Editor’s note] 수학동아 폴리매스 프로젝트!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대한 편견이 있다면, 완전히 깨뜨려 버릴 기회입니다.혼자 가만히 앉아서 번득이는 머리로 문제를 풀 것 같은 수학자가 사실은 여러 사람과 어울려다니며 수다를 떨면서 연구한다는 반전을 보여주거든요.여러분도 수학자의 연구 방식을 배워 보면 어떨까요? 혼자서 문제집을 붙잡고 끙끙대는 것보다 ...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큰 사람과 짱구처럼 뒷머리만 큰 사람 중 누가 더 똑똑할까. 이건 우문이다. 지능은 머리 크기나 모양보다는 뇌 주름과 관련 있다. 그렇다면 뇌 주름이 많을수록 똑똑할까? 놀랍게도 그것도 아니다. 오히려 조현병 환자가 정상인보다 뇌 주름이 훨씬 많다. 지나치게 많은 주름은 병과 관련이 있을 수 ...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똑같은 치아를 가진 사람은 없다치아는 우리 몸에서 가장 단단한 조직이다. 특히 치아의 머리 부분인 치관을 둘러싼 에나멜질은 96% 이상이 무기질로 이뤄져 있어 쉽게 부패되지 않는다. 화재현장이나 오래된 무덤처럼 뼈가 보존되기 힘든 상황에서도 치아만큼은 온전히 수습되는 이유다. 오래 ... ...
- [Tech & Fun] 다른 이의 마음을 어떻게 읽을까과학동아 l2016년 10호
- 39, Jan 2013, No. 1, 3-16).공감은 마음으로만 하는 것?그렇다면 공감은 마음으로만 하는 걸까, 머리로도 할 수 있는 걸까. 예를 들어 주변 사람이 다쳤을 때에는 타인의 감정을 바로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좀 더 많은 생각을 필요로 하는 공감들도 있기 마련이다. 나와 성별이나 인종이 다른 사람들이 처한 ...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뜻이 ‘찌다’라는 뜻이 된 거지요.‘필 발(發)’은 걸어간다는 뜻의 ‘필발머리(癶)’ 부수와 ‘활 궁(弓)’, ‘몽둥이 수(殳)’를 합해 만든 한자예요. ‘걸어가서 활을 쏘고 몽둥이를 휘두르면 싸움이 일어난다’는 뜻에서 ‘일어나다⟶쏘다⟶피다’ 등의 여러 가지 의미로 쓰인답니다 ... ...
이전9495969798991001011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