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부"(으)로 총 3,82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힘을 실어줬다. 로키아르카이오타는 세포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었기 때문에 세포 내부에도 막 구조를 가진 다른 소기관이 있었을 것이다.최근에 발표된 유전자 분석 결과는 후기 가설을 더 강력하게 지지한다. 진핵생물의 유전자에는 적지 않은 원핵생물의 DNA가 들어가 있는데, 미토콘드리아 ... ...
- [Career] “궁금증이 내 연구의 원동력”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데 5일이면 충분하다고 해보죠. 반대로 좋은 호텔을 세우는 데는 5년도 모자랄 겁니다. 내부 인테리어, 전기 배선 등 고려해야 될 것이 무척 많죠. 처음에 유비퀴틴을 연구할 때는 혼자 호텔을 짓는 기분이었습니다. 연구하는 사람이 없었기 때문에 외롭고 막막했죠. 그러나 이제는 제가 뼈대를 쌓은 ... ...
- [Career] 소리까지 듣는 피부를 아시나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얇게 만들면 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소자를 늘어나게 하는 건 전혀 다른 문제다. 소자의 내부 구조를 특수하게 만들어야 한다.얇은 전자피부 안에 각종 기기를 삽입해야 하는 것도 난제다. 고 교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바꿔주는 회로, 그 신호를 스마트폰으로 볼 수 있게 해주는 무선통신 ... ...
- [News & Issue] ‘풀풀’ 여름 하수도 냄새… 문제는 정화조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황화수소 농도를 1ppm 이하로 줄일 수 있다. 정화조 내부뿐만 아니라 생활하수가 하수관 내부에서 흐를 때의 악취까지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현재 경기 성남, 경기 고양, 서울 등 100개 지점에 설치돼 있는데, 앞으로는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는 모두 설치할 예정이다.다른 ... ...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있는 로봇의 단자에 꽂아주었다.“얘기 들어줘서 고마워요.”윤정이 가고 나서 로봇은 내부 매뉴얼을 찾기 위해 부단히 애를 썼다. 실험체가 데이트 도중 하드웨어에 위해를 가할 수 있는 가능성은 있었지만, 이런 식으로 하드웨어에 영향을 미치는 가능성은 매뉴얼에 기록되어 있지 않았다. 로봇은 ... ...
- INTRO. 진화 이끈 작은거인 미토콘드리아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막간공간(내막과 외막의 사이 공간)으로 퍼낸다. 그 결과 막간공간은 (+) 전하로, 내부막은 (-)전하를 띠어 전위차가 생긴다. 전위차를 만들 때 발생하는 활성산소는 노화와 퇴행성 질환의 주범으로 꼽힌다(4파트).4단계 양성자는 에너지를 싣고막 사이의 전위차 때문에 양성자는 미토콘드리아 ... ...
- [과학뉴스] 가상현실과 외골격 로봇을 결합하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4월 19일 유튜브를 통해 공개했다. ‘액손수트(AxonSuit)’란 이름의 전신수트는 압축공기로 내부의 압력을 조절해 착용자에게 압력을 전달하고, 냉각수로 온도감각을 재현한다. ‘액손스테이션(AxonStation)’이라는 외골격로봇은 팔다리를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어, 절벽을 오르는 등 3차원 공간에서 ...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따라 생성되는 원자핵도 다양해진다. 여기서 새로운 원소가 만들어질 수도 있고, 핵 내부의 구조를 볼 기회도 생긴다.미래창조과학부 주도로 구축 중인 한국형 중이온가속기 라온은 ‘온라인동위원소분리장치(ISOL)’와 ‘비행파쇄동위원소분리장치(IF)’를 동시에 이용해 희귀한 원자핵을 만들어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스마트폰 같은 장비들은 두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를 통해 점점 더 우리 신체 내부로 들어올 것이며, 우리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는 사실조차 알아차리지 못한 채 다양한 기계ㆍ전자 장비와 결합하게 될 것이다. 유전자 조작을 통해 신체, 지능, 감성적 능력을 바꾸거나 향상시키고자 한다면, ... ...
- [Tech & Fun] 국제원자력기구 환경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연구소와 차이가 납니다. 일단 해변과 10m도 떨어져 있지 않습니다. 게다가 생태연구실 내부엔 수조 수십 개가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이렇습니다. IAEA-EL에서는 해양의 다양한 오염원(방사성물질, 유기독성물질, 중금속 등)이 해양생물에 미치는 영향 등을 추적 관찰합니다. 오염원이 ... ...
이전9495969798991001011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