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증
공헌
증정
기부
증여
공연
제시
d라이브러리
"
기여
"(으)로 총 1,693건 검색되었습니다.
IMT2000 그 환상과 현실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요구한 3개 규격을 추가, 어정쩡한 복수 표준안이 나오고 말았다. ‘세계 평화’에
기여
할 것이라는 소리까지 들었던 IMT2000이 국가간의 힘관계에 밀려 불구로 전락하는 순간이었다.사태가 이렇게 흐르자 몇몇 나라들이 IMT2000의 실효성에 의문을 표시했다. 지난 92년 ITU가 전세계 공통의 ... ...
디지털 시대의 정보창고 데이터 저장장치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저렴하면서 효과적으로 보관하는 일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디지털 시대를 여는데 크게
기여
했다. 디지털 분야의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하는 저장장치의 성능과 기능은 좋아지고, 가격은 오히려 더 저렴해졌으며, 제품 종류도 다양하다. 최근 많이 사용되는 디지털 ... ...
한국인 게놈지도 초안 6월 발표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더 분석할 예정”이라며 “아쉬운 점도 많지만 어려운 여건에서 우리나라가 이렇게나마
기여
할 수 있는데 의의를 둔다”고 말했다. 은 박사는 “컨소시엄에 참여하면서 연수 등 각종 교류를 통해 기술수준을 높일 수 있었다”며 “우리나라는 고전적인 육종 기술이 뛰어나므로 벼 게놈분석이 ... ...
돈 흐름에 감춰진 물리법칙 금융수학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요즘 외환위기가 다시 찾아오는 것은 아닌가 하는 우려의 소리가 높다. 국내 금융산업이 외부의 작은 변화에도 쉽게 흔들릴 정도로 취약하기 때문이다. 금융 ... 금융경쟁력 제고의 기초가 된다. 이 글을 읽은 독자가 금융수학에 대한 이해를 높여 이 분야 발전에
기여
할 수 있기를 바란다 ... ...
탁월한 리더십 발휘한 과학자 베스트5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따르는 그였다. 만일 그가 원했다면 훨씬 더 많은 세속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과학 발전에
기여
했을지 모른다.그러나 그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어떻게 보면 그렇게 할 수 없었다. 그는 세계인의 사랑을 받았지만 그 어느 나라, 어느 대학의 과학자도 아니었다. 그에게는 자신이 재량껏 운영할 수 있는 ... ...
PART 4. 프로펠러 달고 몸 속 누비는 생체기계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21세기가 얼마나 많은 놀라운 발전을 준비하고 있는지 기대가 크다. 이같은 첨단 연구에
기여
하기 위해서는 과학자와 공학자가 학문적 경계를 극복하고 서로 공동 연구하는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젊은 과학자들이 적합한 배경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하기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수적이다 ... ...
한국인 과학자 게놈프로젝트에
기여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한국은 인간게놈프로젝트에 공식적으로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일부 재미과학자들이 연구에 깊숙이 관여했고, 국내 과학자들도 개별적으로 연구에 참여했다.게놈프로젝트에 참여해온 재미 과학자들은 미국 캘리포니아공대(CalTech) 게놈연구소장 김웅진교수, 미 국립보건원 산하 국립생명공학정보 ... ...
Ⅰ.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밝힌 생명의 신비8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겨우 30% 정도 많음에도 불구하고 훨씬 복잡한 고등생물이라는 점에 이런 반복염기서열이
기여
하고 있다고 추측해보는 것이다. 3 유전자 보호하는 반복염기서열5천만년 전 활동 중단우리 인간은 애기장대(11%), 선충(7%) 또는 초파리(3%)보다 훨씬 많은 50% 정도의 반복염기서열을 가진다. 또한 놀랍게도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1 인간게놈프로젝트 성공시킨 주인공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소장인 설스톤박사도 게놈 연구자료를 세계 과학계에 무료로 제공하는 정책에 크게
기여
했다. 설스톤박사는 2000년 6월에 인간 유전자 초안을 공개하는 자리에서 “인간이 인간을 만들 수 있는 매뉴얼이 우리 손에 쥐어지는 역사적인 시간이다”라고 말했다.워싱턴대 게놈 센터 (genome.wustl.edu/gsc)1998년 ... ...
2001년 뜨는 멀티즌 지는 네티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확산 속도가 빨라서 익명성이 현실의 문제를 구석구석 파헤치는 참여민주주의 실현에
기여
하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네티즌은 대안정치의 가능성으로 사회적 기대를 받았다.지난해 5월 남편 J씨에게 상상을 초월하는 폭행을 당한 아내 K씨의 사연이 한 여성단체를 통해 사이버 공간에 알려지자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