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
단
진영
블록
통
편
대
d라이브러리
"
권
"(으)로 총 1,145건 검색되었습니다.
농약 대신에 논거미로 농사짓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할 수 있다. 사실 일반 사람들이 거미에 관심을 가져도 이를 충족시켜줄만한 책한
권
없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물론 거미도감이 있다지만 이는 일반 사람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책은 아니다. 최근 일반인들이 부담없이 볼 수 있는 나비책들이 나오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한국거미연구소 ... ...
「간이 인공위성」으로 부각되는 무인비행선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이 비행선을 정밀도가 높은 지상관측시스템에도 이용할 예정이다.그러나 성층
권
은 온도가 낮고 태양빛도 지상에 비해 강렬하기 때문에 열악한 환경에서 견딜 수 있는 기낭 재료의 개발이 시급하다. 또 며칠마다 뜨고 내릴 수 없으므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지상 ... ...
과학엘리트 12인의 삶과보람 「그래서 나는 실험실 불을 끌 수 없었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가졌지만 입시경쟁에 지친 젊은이들에게 힘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젊은날의 우연과 한
권
의 책이 인생에 얼마나 큰 전환점이 될 수 있는가를 체험했기에 이 책이 더욱 소중하게 느껴진다 ... ...
신약개발로 각광받는 세계의 전통약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수치법 등이 기재돼 있다.1559년(선조 29년) 어의 허준이 선조의 명을 받아 동의보감 25
권
을 편찬했다. 이 책에는 도합 5백26종의 생약이 수록돼 있고 아울러 채집 건조 수치 복용법 등을 적어 놓았다. 동의보감은 백과전서격 원전으로서 임상의약가들이 반드시 지녀야 할 한의서이며 현대과학적으로 ... ...
쓰레기 속에서 진주 찾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범위는 특허법에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발명가로 성공하려면 특허
권
에 관한 책을 한
권
쯤 필독해 두는 것도 잊어서는 안되겠다. 손발 역할 뒤집은 자전거 발명대국으로 불리는 일본의 발명가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아이디어 창출법으로 꼽는 것은 역전의 발상이다. 즉 모양 크기 성질 방향 ... ...
한반도의 철기시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다루던 사람들이 부를 장악하고
권
력의 핵심부에 있을 때 그들을 칭하는 이름이라고
권
교수는 설명했다.금속학자도 과거 우리 철의 제철법을 완벽하게 복원하는 일에 무관심하기는 마찬가지. 다만 한국과학기술원(KIST) 최주 박사팀이 유일하게 이 문제에 관심을 갖고 KIST 실험실 한 켠에 약식으로 ... ...
다니엘 부어스틴 「발견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1984년 부어스틴(Daniel Boorstin)의 '발견자들'(Discoverers)이 랜덤 하우스에서 출간되자 마자 독서계의 커다란 화제를 모으기 시작한 이유로는 저자가 정치 ... 재미있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이 작품은 1988년 범양사 출판부에서 2
권
으로 나눠 펴냈는데 이성범씨가 우리말로 옮겼다 ... ...
아이작 아시모프 「파운데이션」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요즘 외국의 과학소설들이 여럿 소개되었다. 그것들 가운데 추천할 만한 작품들은 톨킨의 '반지 전쟁' 허버트의 '듄' 아시모프의 '로봇'과 '파운데이션'으로, 모 ... 이 작품은 지난해에 현대정보문화사에서 아홉
권
으로 나눠 펴냈다. 최서래, 김옥수 두 분이 옮겼고
권
마다 3백 쪽 안팎이다 ... ...
(1) 인간 오감(五感)을 기계에 이식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CD롬으로 만들어졌고, 웅진미디어에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을, 동아출판사에선 32
권
짜리 백과사전이 각각 CD롬으로 출판할 예정이다.이제 몇년후면 우리 주변에서 멀티미디어 제품을 일상적으로 대하게 될 듯하다. 학교 연구소에서 금융기관 및 관공서에 이르기까지 멀티미디어가 사용됨으로써 ... ...
아시모프의 삶과 꿈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SF 로봇 '노비 '(Norby) 시리즈는 두 사람이 같이 쓴 것이다. SF 최고상 휴고와 네뷸러 석
권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아시모프는 우리나라에 알려진 것처럼 교양과학 저술가이기보다는 본질적으로 SF작가다. 1920년대에서 1940년대에 걸치는 SF의 황금시대에 성장해 과학소설을 일약 질적으로 승화시킨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