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스페셜
"
세포
"(으)로 총 1,946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재감염 사망 사례 처음으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4
2에 대한 면역 기작. 폐를 통해 침투하는 바이러스는 증식을 통해 감염된
세포
밖으로 분출되며, 이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해 몸 안의 면역체계가 활성화된다. 선천성 면역계(위)는 병원체 침입초기에 활성화되며 우리 몸을 방어한다. 후천성 면역계(아래)는 선천성 면역계에 연이어 활성화되며, ... ...
"봉쇄 풀고 고위험군만 보호하자" '그레이트 배링턴 선언' 뭐길래
동아사이언스
l
2020.10.13
9에 대한 과학적 이해는 아직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사이먼 클라크 영국 레딩대
세포
생물학과 교수는 6일(현지시간) BBC와 인터뷰에서 "집단면역이 달성 가능할지 아직 불분명하다"며 "코로나19 감염 후 생성되는 면역력이 얼마나 지속되고 효과적일지도 모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스티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바이러스의 창 막는 박테리아의 방패
2020.10.13
만드는 것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파지에 감염된 박테리아의 인지질분해효소가 활성화돼
세포
막이 부실해져 결국 터지며 죽게 된다. 자신을 희생함으로써 내부의 파지가 더이상 퍼지지 않게 하는 자살 전략인 셈이다. 박테리아 방어체계 40여 가지나 되는 듯 최근 미국 하버드의대 연구팀은 ... ...
[코로나19 연구속보] 당신의 반려동물도 코로나19 감염에 취약하다
2020.10.13
거의 없다. 연구진은 동물 215종의 ACE-2 변이를 분석해 사스 코로나바이러스-2와 숙주
세포
간 안정적인 결합 여부를 조사하고 사스 코로나바이러스-2의 동물 감염 가능성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양(sheep)이나 멸종 위기에 처한 침팬지·고릴라·오랑우탄 등 일부 영장류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 ...
"코로나19 더는 없다"는 트럼프, 황제치료로 불리는 항체치료제는
동아사이언스
l
2020.10.12
단일클론항체를 섞어 쓰는 항체치료제로 개발된 게 특징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
세포
에 침투할 때 '손잡이' 역할을 하는 핵심 단백질을 스파이크 단백질이라고 한다. 리제네론은 이 단백질의 일부 구조와 결합하는 항체 수천 개를 조사해 가장 효과가 좋은 8개 발굴한 뒤 이 가운데 2개를 ... ...
'코로나19 항체 길어야 4개월 지속"
연합뉴스
l
2020.10.12
혈액에서 혈장을 분리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세포
와 결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세포
수용체 결합 부위(RBD·Receptor-binding domain)가 깔린 실험실용 플레이트에 발랐다. 이를 통해 혈장 속의 항체가 RBD와 어떻게 결합하는지를 관찰했다. 민감도는 IgG가 95%, IgA가 90%, IgM이 85%였다. 연구팀은 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코로나바이러스, 유연한 관절 달린 스파이크로 인체 침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1
스파이크 단백질이 여럿 결합해 감염 확률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 바이러스가
세포
에 다가가도 스파이크 단백질의 줄기가 유연하게 꺾이며 이를 방해하지 않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마치 실에 매달려있는 풍선 같은 구조”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스파이크 단백질의 구조를 분석하면서 ... ...
[표지로 읽는 과학]장기 재생의 꿈 앞당기는 미니장기 '오가노이드'
동아사이언스
l
2020.10.10
데에도 성공했다. 특히 그 가운데 하나인 레티노산 신호전달 경로는 줄기
세포
가 장 상피
세포
로 분화하도록 이끄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와 관련한 수용체(RXR)를 억제하는 물질을 사용해 생체 내에서 장 재생 기능을 촉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 이를 생쥐를 이용한 ... ...
낙태 반대론자 트럼프, 정작 낙태 배아
세포
서 얻은 코로나19 치료제 복용 후 극찬
동아사이언스
l
2020.10.09
“대통령이 이를 수용한 것은 모순이 아니다”며 “2019년 6월 이전에 존재한
세포
주를 이용해 만들어진 제품들은 선별 낙태된 인간 태아 조직 사용에 대한 행정부 정책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크리스퍼 혁명'은 지금도 진행중
2020.10.08
다우드나 교수는 거의 비슷한 시기(2013년 1~2월)에 크리스퍼를 사람
세포
에 적용해 사람
세포
의 DNA를 바꾸는 데 성공한 연구결과들을 발표했다. 이 연구들은 크리스퍼 유전자교정 연구의 붐을 일으켰다.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개념을 최초로 고안한 전문가 중 한 명인 비르기니우스 식스니스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