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맑음
밝음
투명도
광휘
명료
명석
순수
뉴스
"
투명
"(으)로 총 1,621건 검색되었습니다.
日 '선형입자가속기' 유치 포기 선언… 차세대 가속기 프로젝트 난관
동아사이언스
l
2019.03.11
기대됐던 국제선형가속기(ILC) 프로젝트가 일본 정부의 유치 포기 선언으로 미래가 불
투명
해졌다. 일본 정부가 이달 7일 성명을 내고 국제선형가속기(ILC)를 유치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고 밝혔다. ILC는 20㎞ 길이의 선형 입자 가속장치로 기본입자인 전자와 양전자를 충돌시켜 새로운 물질을 찾는 ... ...
꿈의 물질 그래핀 생산 '양과 질' 두 마리 토끼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0
벌집 구조로 결합된 2차원 물질인 그래핀은 전기전도성과 열 전도성이 뛰어나고
투명
해 꿈의 나노물질로 여겨진다. 그래핀을 제조하는 기법은 크게 두 가지다. 2006년에 발표된 탄화규소에서 자연 성장시키는 방법과 2008년에 발표된 금속 위에서 화학 기상 증착법(CVD)를 이용하는 것이다. 문제는 두 ... ...
'불면의 밤' 보내면 뇌에 무슨 일이?
연합뉴스
l
2019.03.08
고른 실험 대상은 제브라피시다. 이 물고기는 치어일 때 뼛속까지 들여다보일 만큼
투명
하고, 잠도 인간처럼 밤에 잔다. 인간과 일부 동물의 적혈구는 예외지만 그 밖의 모든 세포에는 DNA가 있다. DNA는 생기는 시점부터 바로 손상되기 시작한다. 손상의 원인은 각종 산화물, 태양광 등 부지기수며 ... ...
계명대 학부생 태양전지 저가 제작기술 개발
2019.03.08
"이 기술을 이용하면 공정비용과 공정시간을 줄이는 것뿐 아니라 태양광 전지가 반
투명
해지는 속성도 얻을 수 있어 태양광 전지를 유리창이나 건물 외벽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 ...
물고기도 '거울 테스트' 통과했다
과학동아
l
2019.03.08
발견하고 이를 없애기 위해 자신의 몸을 바닥에 긁는 행동을 보였다. 거울이 없을 때나,
투명
한 잉크로 점을 찍어 거울에 점이 비치지 않을 때에는 이런 행동을 하지 않았다. 연구에 참여한 알렉스 조던 독일 막스플랑크 조류연구소 연구원은 “청줄청소놀래기가 거울 테스트의 모든 단계를 ... ...
바이오·수소 혁신성장과 기초연구에 20조...3월 5G 상용화는 불
투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3.07
7일 문미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이 2019년 과기정통부 업무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가 올해 처음 연 20조 원을 넘어선 정부 연구개발(R&D)비를 지속적으로 늘려 기초연구를 지원하고, 혁신성장을 이끌 수소기술과 바이오 등에 집중 투자한다는 전략을 내놨다. 세계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 날개의 등장은 필승 전략이었다
2019.03.06
지니고 있는 나비, 나방은 한 무리다. 벌목(Hymenoptera)의 'Hymeno'는 반
투명
한 막, 막처럼 반
투명
한 날개를 가진 곤충을 벌목이라 한다. 워낙 강한 놈이다 보니 벌을 따라하는 모방이 많은데 특히 벌과 파리를 구별하는 일이 쉽지는 않다. 그러나 학명의 뜻만 잘 이해하면 척 보고 알 수 있다. 말벌 ... ...
뼈 속에 혈관 있다?
과학동아
l
2019.03.06
발견했다. 이를 이상하게 여긴 연구팀은 신남산에틸이라는 화학물질을 이용해 다리뼈를
투명
하게 만든 뒤, 시트광 형광 현미경 기법(LSFM)과 X선 현미경으로 다리뼈를 관찰했다. 그 결과 다리뼈 피층을 통과하는 수백 개의 혈관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를 ‘경피혈관(TCVs·Trans-Cortical Vessels)’이라고 ... ...
몰디브 호텔의 개방형 화장실
팝뉴스
l
2019.03.06
있다. 그런데 외부에서도 볼 수 있다는 점이 문제다. 화장실의 뻥 뚫려 있어서 – 혹은
투명
유리창으로 막혀 있어서 – 사람의 사적인 행위를 전혀 가려주지 않는다. 해외 네티즌 중 다수는 저런 화장실은 이용하기 힘들 것 같다고 말하지만, 소수는 아주 특별한 경험일 것 같다면서 호기심을 ... ...
퇴행성 뇌질환 치료하는 신경세포 대량 생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콜라겐 섬유를 볼 수 있다. 아래는 이번 연구에서 제작한 콜라겐 젤. 아래가 비칠 정도로
투명
하다. 사진제공 한국뇌연구원 연구팀은 가로세로 1cm 공간 위에서 1.5g을 견디는 강도부터 15g을 견디는 강도까지 젤을 만든 뒤 역분화줄기세포를 배양했다. 5일간 배양하자 신경줄기세포가 됐다. 이후 이를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