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상
image
그림
심상
형상
이메지
상
뉴스
"
이미지
"(으)로 총 8,640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화 속 주인공 시련에 가슴 저릿한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11
여자아이의 모습. 국내 연구진이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는 뇌 메커니즘을 발견했다. 게티
이미지
뱅크 국내 연구진이 뇌에서 타인의 고통을 느끼는 정서적 공감이 형성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공감 능력 장애와 사회성 관련 신경정신질환 치료 연구에 새로운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
[과기원NOW] 물 분자 3개의 '군무', 양성자 터널링 가속화 한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3.10
터널링으로 변화한 물 분자 삼각형의 STM
이미지
및 DFT 계산으로 재현한 물 분자 삼각형의 흡착 구조(왼쪽)와 물 분자의 회전으로 짧아진 수소 결합을 통해 활성화된 양성자 터널링 현상을 보여주는 모식도(오른쪽). UNIST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신형준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물 분자의 집단 ... ...
의정갈등 1년간 의학 연구 성과지표 감소…"내년 더 악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3.10
의정갈등이 시작된 지난해 한국 의학 연구 성과 지표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
이미지
뱅크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병원을 떠나고 한국 의학 연구 성과가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서 이뤄진 연구와 한국 기관이 주도한 국제공동연구가 모두 위축됐다. 이로운 ... ...
"위험 마다않는 소방관, 뇌종양 발생 위험도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5.03.10
가능성이 높은 직업군으로 뇌 건강에 대한 관리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소방관은 유전자 돌연변이의 영향으로 일반인보다 뇌암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관들의 뇌 건강을 지키기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엘리자베스 B. 클라우스 미국 ... ...
패혈증 염증 반응 관여 단백질 메커니즘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10
국내 연구진이 패혈증의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단백질 메커니즘을 찾아냈다. 게티
이미지
뱅크 국내 연구진이 패혈증의 염증 반응을 유발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염증 반응을 유발하는 핵심 요소로 당화된 단백질을 지목했다. 패혈증을 겪고 있는 환자의 혈액 내 단백질 변화가 면역 ... ...
초미세먼지, 무기력 넘어 우울증도 유발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10
노출되면 우울증 비슷한 행동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직경 2.5㎛(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미터) 이하의 먼지인 초미세먼지에 노출되면 우울증과 유사한 행동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이 실험적으로 규명됐다. 원주연세의료원은 이진희 연세대 원주의대 ... ...
비에 젖은 스마트폰 화면 터치 문제없다…KAIST, 압력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3.10
외부 간섭 없이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압력 센서'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KAIST 연구진이 물기가 묻은 스마트폰 화면과 같은 환경에서도 외부 간섭 없이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압력 센서'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KAIST는 윤준보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비가 오거나 ... ...
2차원 신소재 '맥신' 초정밀 3D프린팅으로 270배 얇게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3.10
3D 프린터가 맥신 잉크를 활용해 미세 구조물을 인쇄하고 있는 장면. 한국전기연구원 제공 2차원 신소재인 '맥신(MXene)'은 고효율 배터리나 전자기 차폐, 센서 등의 분야에 ... 98 KERI 연구팀이 개발한 3D 맥신 프린팅 연구결과가 실린 국제학술지 '스몰(Small)'의 표지
이미지
. 한국전기연구원 ... ...
유방암 진단서 AI 효과 입증…국내 대규모 연구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5.03.10
유방촬영술 AI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로 촬영한
이미지
. 루닛 제공. 인공지능(AI)을 이용하면 유방암 발견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점이 입증됐다. 국내 6개 대학병원에서 시행한 대규모 연구를 통해 AI의 임상적 효과가 검증됐다. 의료AI 기업 루닛은 유방촬영술 AI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 ...
갈변 억제 바나나 시판된다…"유전자교정 기술로 음식폐기물 줄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3.09
껍질과 과육에 갈색 반점이 늘어난다. 게티
이미지
뱅크 제공. 과학자들이 유전자 교정으로 갈변을 억제한 바나나를 개발했다. 바나나 소비기한을 늘려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바나나는 익을수록 갈색 반점이 생기는 갈변 현상이 일어난다. 갈변이 일어나는 과숙성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