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굵기
층
겹
굵음
두꺼움
밀집
뉴스
"
두께
"(으)로 총 1,144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래핀 따윈 버려! ‘포스포린 반도체’ 나왔다
2015.08.14
위해 포스포린 위에 흡착시켰다. - 포스텍 제공 국내 연구진이 흑린(黑燐)을 원자 한 층
두께
로 떼어 내 반도체 재료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처음 확인했다. 인(P)에 고온 고압을 가하면 흑린이 되고, 흑린 표면에서 몇 층을 떼어 내면 머리카락 굵기의 10만 분의 1 수준인 0.5nm(나노미터·1nm는 10억 ... ...
24시간 전기 만드는 ‘염분차 발전’ 기술 확보했다
2015.08.11
연구진은 압력지연삼투 방식에 쓰이는 지름 1㎜짜리 빨대 모양의 삼투막과 이를 10㎝
두께
로 묶은 모듈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염분차발전 뿐만 아니라 해수담수화와 정수기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정 연구원은 “자체 개발한 핵심 기술을 이용해 내년부터 ... ...
원하는 모양대로 만들 수 있는 신개념 리튬전지 개발
2015.08.11
노출시켜 단단하게 굳히는 단계를 거쳤다. 이렇게 만든 배터리는 머리카락만큼 얇은
두께
로 표면 위에 입혀도 충·방전이 가능했다. 더 많은 용량이 필요하면 넓은 면적에 입히거나 층층이 만들면 된다. 실험 결과 지름 5㎜ 막대 위에 반복해 감은 경우에도 성능이 유지됐으며 안정성 역시 기존 ... ...
레이저 쪼여 50배 빠른 초박막 반도체 개발
2015.08.07
양희준 연구위원.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원자 한 층
두께
의 신소재를 이용해 기존 초박막 반도체보다 속도가 50배 빠른 반도체 소자를 개발했다. 이영희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구조물리연구단장과 양희준 연구위원(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은 에너지 손실이 적고 속도가 빠른 ... ...
저장 용량은 수백 배, 동작 속도는 수천 배 빠른 메모리
2015.07.28
없었다. 연구팀은 중금속 위 자성체의
두께
를 조정하며 DMI를 측정한 결과 자성 물질의
두께
가 얇을수록 DMI가 커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유 교수는 “이론적으로만 존재했던 DMI 값을 정확히 구했다는 점에서 학문적으로 의미가 크다”면서 “기존 메모리에 비해 저장용량이 최대 수 백 ... ...
분. 자. 요. 리.
수학동아
l
2015.07.28
맛있게 내뿜었다. 가장 맛있는 캐비어 만드는 방정식 3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겔의
두께
만큼 중요한 것은 바로 점성이다. 점성이 너무 작으면 캐비어가 요리 위에서 너무 가볍게 굴러다닐 위험이 있고, 점성이 너무 크면 젤리처럼 상큼한 느낌을 주기 어렵기 때문이다. 캐비어의 점성은 겔과 그 ... ...
삼성이 원하는, 이런 게 진짜 도전 연구 ‘셋’
2015.07.24
중이다. 최근 실험 결과 복잡한 구조의 금속 박막을 20~3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두께
로 표면에 바르면 반사율이 5%까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 교수는 “빛을 모조리 흡수하는 표면을 만들고 빛에너지를 손실 없이 내부로 전달할 수 있다면 태양전지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을 ... ...
‘독한 놈들’ 인공 세포막으로 확인한다
2015.07.21
독성여부나 친환경성을 판단할 수 있어 주목받고 있다. 우리 몸의 세포는 머리카락
두께
의 약 2만 분의 1수준인 얇은 세포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 세포막을 통해 10조 개 이상의 세포들이 서로 통신하기 때문에 세포막은 인간의 생존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다. 연구팀은 인공세포막에 ... ...
전기 잘 통하는 ‘나노시트’ 얼음으로 만들었다
2015.07.07
실험 결과 폴리아닐린과 수산화이온의 반응 시간을 조절하는 방법을 통해 원하는
두께
를 가진 전도성 플라스틱 ‘나노시트’를 만들 수 있었다. 이 나노시트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기존에 보고된 폴리아닐린의 전도성보다 40배 이상 뛰어났을 뿐 아니라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 ...
두께
0.25nm, 진짜 세계에서 가장 얇은 반도체
2015.06.26
교수(사진)팀은 나노 물질로 만들 수 있는 한계치인 0.25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두께
의 초박막 반도체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현재 상용화된 가장 얇은 반도체인 15nm급에 비하면 60분의 1, 차세대 반도체인 10nm급과 비교하면 40분의 1 수준이다. 연구진은 탄화규소로 만든 기판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