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종
뉴스
"
돌연변이
"(으)로 총 1,019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억과 망각의 철학과 생명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3.24
단백질인 셈이다. 실제로 연구자들은 애두신 유전자가 고장나 기억력에 결함이 있는
돌연변이
체에 추가로 무사시 유전자에 변이를 일으켰더니 기억력이 정상 수준으로 돌아옴을 확인하기도 했다. 비록 선충을 대상으로 한 실험결과이지만 사람에서도 무사시에 해당하는 유전자가 있기 때문에 ... ...
돌연변이
가 2형 당뇨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3
진행을 막는 방어기작이 가동된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쥐의 경우 이 유전자에
돌연변이
가 생기면 2형 당뇨가 악화됐는데, 사람에게서는 반대 효과가 나타난 것”이라며 “만성질환인 2형 당뇨를 치료할 수 있는 신약 개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 ...
남아가 여아보다 자폐증이 많은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4.03.02
세바스티안 자크문트 교수팀은 남성이 여성에 비해 자폐를 일으키는 유전자
돌연변이
에 취약하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학술지 ‘셀’의 자매지 ‘인간 유전체 학술지(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2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미국 워싱턴대 에반 아이클러 약학과 교수팀과 함께 자폐증 환자 1만 600 ... ...
1년 내 유행할 독감 바이러스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2
해당된다. 또 바이러스 유형이 분기할 때 인체에 해로운
돌연변이
와 해롭지 않은
돌연변이
로 분류했다. 이렇게 수집한 데이터와 개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독립적으로 발현되는 시점에서 인체에 적응하는 정도, 특정 바이러스 유형의 과거 출현 빈도 등을 결합해 앞으로 1년 동안 어떤 ... ...
암 줄기세포 키우는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2
최 교수팀은 연세대 김태일 의대 교수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환자의 조직에서
돌연변이
라스 유전자가 암 줄기세포를 활성화시킨 증거를 실제로 확인하는 데도 성공했다. 최 교수는 “라스 유전자와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항암제 개발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 ...
광우병 유발 단백질이 기억의 핵심물질이라고?
동아사이언스
l
2014.02.12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Orb2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에
돌연변이
가 생긴 초파리는 정상 초파리와 마찬가지로 새로운 생활방식을 학습할 수는 있지만 배운 내용을 기억할 수 있는 시간이 며칠 이내로 매우 짧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결과로 연구팀은 외부에서 자극을 ... ...
알츠하이머 막으려면 딸기·오이 많이 먹어라
동아사이언스
l
2014.02.04
섞인 사료를 먹였다. 이 생쥐들은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유전자 2종(APPswe, PS1dE9)의
돌연변이
를 가지고 있어서, 1살이 되기 전에 알츠하이머병 증상이 나타나도록 조작됐다. 9개월이 지난 뒤 생쥐의 기억 및 학습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물 위에서 길을 찾아 가는 실험을 진행한 결과, 피세틴 ... ...
사람마저 살처분 하는 세상 오나
동아사이언스
l
2014.02.02
아이러브시네마 제공 설을 코 앞에 두고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H5N8’. 이 때문에 전북 지역에서만 살처분이 예정된 가금류 ... 부하령 박사는 “고병원성 AI인 H5N1이 신종플루(H1N1)를 만나
돌연변이
를 일으켰을 때가 현재 예측 가능한 가장 위험한 시나리오”라고 말했다 ... ...
‘이것’만 있으면 암 유전자 귀신처럼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28
돌연변이
(왼쪽 아래)의 경우 한 가닥이 절단되지 않는다. 또 DNA 이중 가닥 모두에
돌연변이
가 발생한 경우(오른쪽 위·아래) RNA 유전자가위에 의해 모두 절단되지 않는다. - 서울대 화학과 김진수 교수 ... ...
식물 속에 '비밀' 통로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28
애기장대는 휘어자라지만(E,G), 나노채널을 조절하는 단백질에
돌연변이
가 생긴 유전자조작 애기장대(F,H)는 곧게 자란다. 옥신의 농도를 조절하지 못한 탓이다. -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제공 식물을 기르다보면 곧게 자라지 않고 햇빛을 향해 기우는 것을 볼 수 있다. 바로 식물이 빛을 향해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