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결
합동
연합
배합
접촉
접속
단결
뉴스
"
결합
"(으)로 총 3,93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의학에 과학
결합
해 난치질환 해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7
17일 밝혔다. 과기정통부와 복지부가 협업하는 이 사업은 한의학에 첨단과학을
결합
해 한의학의 혁신을 꾀하는 첫 사례다. 기초‧원천 핵심기술 개발부터 응용‧임상연구까지 전주기 연구수행을 위해 향후 5년간 총괄과제 1개 및 개별과제 34개 등 35개 과제에 대해 총 44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 ...
코로나 외산백신 값 5배 오르는데 국산 백신·치료제는 퇴출 수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6
사망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지만 새로운 변이에 의해 바뀐 스파이크 단백질에 제대로
결합
하지 못해 신종 변이에 대응력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현재 사용되는 미국 머크(MSD)의 라게브리오와 화이자의 팍스로비드 모두 항체치료제가 아닌 항바이러스 치료제다. 전문가들은 국내 백신과 치료제 ... ...
경제성·안정성 다 잡은 수소연료전지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5
제16족에 속하는 원소로 산소족 원소로 불린다. 칼코겐 원소가 전이금속 원자와
결합
하면 금속 칼코게나이드로 불리는 2차원 시트구조의 반도체 물질이 되는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각기 다른 전기적, 광학적, 촉매적 활성을 나타낸다. 그 중에서도 금속성을 띠는 1T상 물질은 우수한 전기전도성 ... ...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대비 모니터링에 2027년까지 100억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3.01.13
유국희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이 12일 개최된 제170회 원안위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원안위 제공 일본이 올해 상반기 후쿠시마 오염수를 방 ... 사용된 스터드를 교체한다는 내용의 안건을 의결했다. 스터드는 원자로의 헤드와 몸체를
결합
시키고 있는 머리가 없는 볼트 형태의 부품이다 ... ...
'의료계 제임스웹'...1만배 정밀한 MRI 세계 최초 구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2
성공적으로 마쳤다. 11월까지 경사자장코일, RF코일, 전자기기, 전원공급장치 등을
결합
해 11.74T MRI 통합 시스템 설치를 모두 완료했다. 현재 전임상시험을 위한 최적화 단계가 진행 중이다. 임상시험은 오는 3월 설치류 및 영장류 등을 대상으로 한 동물실험이 예정됐다. 이번 전임상시험에서 ... ...
韓·中 연구팀. 30여년간 못했던 '오목한 탄소 소재' 합성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01.12
에 3가
결합
탄소를 최초로 합성한 연구를 발표했다. 이 성과를 토대로 중국 연구팀은 3가
결합
을 가진 LOPC 합성에 성공했다. LOPC는 탄소 슈왈차이트 합성을 위한 중요한 단서를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탄소 슈왈차이트는 다량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커패시터(축전기), 내부 빈 공간을 이용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산화탄소로 만드는 생분해플라스틱
2023.01.10
큰 결과를 낸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 화학 시스템과 생물 시스템의
결합
미국 텍사스A&M대 연구자들은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대신 원료로 써서 생분해성 플라스틱인 PHA를 만드는 화학-생물(chem-bio) 융합 시스템을 만들었다. 이산화탄소를 에탄올이나 아세테이트 같은 ... ...
암세포와 싸우는 'NK세포' 작용 조절하는 새 면역관문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연구팀은 NgR1이 암 환자의 예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도 밝혔다. NgR1과
결합
하는 면역억제 단백질인 Nogo A가 많이 발현될수록 임상학적으로 예후가 나빠 환자의 생존에 위험률이 높아졌다. 연구 책임자인 김태돈 책임연구원은 “새롭게 밝혀진 면역관문이 NK세포의 활성 조절에 대한 ... ...
나노기술로 암·알츠하이머 유발 단백질 형성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수용체의 크기는 접착연접 너비보다 커 접착연접 안으로의 접근이 제한된다. 리간드와
결합
해 활성화를 시작한 노치 수용체는 접착연접 구조의 바깥에서 ADAM 효소에 의해 절단되고 크기가 작아진 수용체는 접착연접 안으로 접근한다. 접착연접에 진입한 노치 수용체는 내부에 고농도로 모집된 감마 ... ...
코로나 항바이러스 치료제, 오미크론 하위 변이에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사망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지만 새로운 변이에서 변화된 스파이크 단백질에 제대로
결합
하지 못해 신종 변이에 대응력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지난달 미국식품의약국(FDA)이 다국적제약사 일라이릴리의 항체치료제 ‘베텔로비맙’을 긴급승인 대상에서 제외하면서 사실상 사용이 중단됐다. 국내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