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실"(으)로 총 976건 검색되었습니다.
- 감히 달이 해를 먹다니!어린이과학동아 l20080813
- 1초의 오차가 날 정도로 이전 시계보다 10배나 정확도가 높아졌어요. 휘유~, 정말 굉장하군요. 이 정도면 국제적으로도 꽤 인정을 받으실 것 같군요. 맞죠?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는 저를 국내 시간을 관장하는 표준시계로 정하는 한편 프랑스 파리에 있는 국제도량형국에 ‘1차 주파수 표준기’로 등록하려는 절차를 밟고 있답니다. 1차 주파수 표준기란 ...
- 강치와 독도의 해양 생물 수호대어린이과학동아 l20080813
- 건드리면 보라색 점액을 뿜어 바닷물을 보라색으로 물들인다. 암수 한 몸인 군소는 해조류를 먹고 살며 바닷말이나 바위 밑에 노란 실 같은 알 덩어리를 낳는다. 비늘베도라치 바위 구멍에 사는 비늘베도라치는 이마에 나뭇가지처럼 돋은 돌기가 특징이며 몸에 갈색 줄무늬가 있다. 독도처럼 파도가 치는 암초 연안을 좋아한다. 갑각류와 해조류를 먹고 살며 남 ...
- 얍~! 특수 분장으로 체인지어린이과학동아 l20080630
- 도전하고 있어. 시체는 마네킹 같은 플라스틱을 쓰는 게 아니라 진짜 피부의 질감이 살아나는 실리콘을 이용해 소름끼칠 만큼 사실적으로 만들지. 연기를 시키기 힘든 동물은 로봇처럼 움직이는 기계에 정교한 가죽을 입히는 특수 분장을 해서 영화를 찍는다구. 단순히 모형이나 외양을 만드는 것을 뛰어넘어 정말 살아 움직이게 만드는 거야. 최고 ...
- 산왕거미의 사냥터, 거미줄 그물어린이과학동아 l20080612
- 동심원을 이루는 가로줄에는 끈끈이액이 방울방울 맺혀 있어요. 하지만 방사상으로 뻗은 세로줄에는 끈끈이액이 없지요. 산왕거미는 실젖에서 거미줄을 뽑아 먼저 세로줄을 쳐요. 그리고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동심원을 그리며 가로줄을 치지요. 산왕거미가 그물 위를 기어다닐 때에는 주로 세로줄을 이용해요. 그래야 끈끈이액에 걸리지 않으니까요 ... ...
- “에너지 팍팍!” 무릎 발전소어린이과학동아 l20080229
- 점이 높은 점수를 받은 것 같습니다.” 탐구과제 발표는 5학년 신상수, 김영현, 김선화 학생이 함께 맡았어요. 탐구 계획에서부터 실험, 보고서까지 직접 참여해서 준비한 결과 어느 팀보다 더 자신 있게 발표했다는 평가를 받았답니다. 금관분교 꼬마 과학자들에게 다시 한 번 축하의 박수를 보내며, 누에 관찰로 시작된 관심이 더욱 다양한 탐구활동으로 ...
- 형사 고제트의 크리스마스 과학 대소동(1)어린이과학동아 l20071213
- 풍경이 그대로 보이기 때문에, 마치 사람 몸이 투명한 듯 보이는 거야. 아직은 쉽게 만들 수 없지만, 영화의 상상력이 이렇게 하나씩 실현되고 있다니 정말 놀랍군. 고제트도 역반사 물질을 이용해 투명 산타클로스가 되어 보겠어. 어때? 근사하지? {BIMG_c10 ... ...
- 블록으로 올록볼록 과학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071130
- 개 스피낙스. 막실로스의 검은 불검과 코르닥 회전포는 몸이 떨리도록 무섭네요. ‘어린이과학동아’ 독자에게 레고 바이오니클 ‘막실로스와 스피낙스’를 선물로 드립니다. 선물을 받고 싶은 어린이는 8개의 돌기가 있는 레고 블록 6개로 몇 가지 모양을 조립할 수 있는지와 이름, 주소, 연락처를 메일에 적어 hsr@donga.com으로 보내 ...
- 최고의 비행기를 뽑아라!(2)어린이과학동아 l20071114
- 선더버드는 2001년 서울에어쇼에서 멋진 에어쇼를 했어. 선더버드는 세계 최고의 에어쇼 팀으로 불릴 만큼 훌륭한 고난도 비행 실력을 가졌단다. [소제시작]미래의 비행기는 누구?[소제끝] 비행기는 1903년 12월 17일, 라이트 형제가 최초의 비행에 성공한 뒤 100여 년 동안 눈부시게 발전했어. 1초에 340m를 가는 소리보다 더 빠르게 날고 ...
- 큰실베짱이의 탈피어린이과학동아 l20070731
- 되는 방식을 완전 변태, 매미나 잠자리 또는 메뚜기처럼 번데기를 거치지 않고 애벌레에서 직접 어른벌레가 되는 방식을 불완전 변태라고 불러요. 큰실베짱이는 메뚜기목 여치과에 속하는 곤충이에요. 애벌레는 무더위가 한창인 7, 8월에 숲 가장자리나 풀밭에서 껍질을 벗고 어른벌레가 되지요 ... ...
- 우주로 이사 가는 날! (2)어린이과학동아 l20070111
- 밖에서 어떤 도움도 받지 않고 숨쉬고, 먹고, 생활할 수 있는지를 실험했다. 2년 동안 진행될 계획이었던 바이오스피어2는 18개월 만에 실패로 끝이 났다. 기대했던 것과는 달리 산소 농도가 줄어들고 이산화탄소가 계속 늘어나는 데다 일부 곤충만이 번식을 하는 등 생태계의 균형이 깨졌기 때문이다. 화성에 대기층을 만들고 식물을 살게 해 ...
이전9394959697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