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년"(으)로 총 2,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짜릿한 수학, 평생 즐기는 세계적인 수학자 (금종해 고등과학원 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상황 속에서, 현실적으로 수업을 집중해서 듣는다는 건 불가능해 보였다. 대학교 2학년 때 전공을 ‘수학과’로 결정한 뒤 본격적인 공부는 대학원에 진학하고 나서야 시작할 수 있었다. 공부에 집중할 수 없었던 학부 시절을 보낸 제자들이 안타까운 지도 교수님은 다음과 같은 조언으로 학생들을 ... ...
- 5년을 몰입하면 인생이 재밌어진다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연구원 태평양해양연구센터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입학하자마자 대학원 실험실에 들어가기도 했다. 다이빙을 하기 위해서였다. 대학교 3학년때는 다이빙 강사 자격증을 따서 지금 있는 해양과기원에서 아르바이트도 했다. 전공 공부에도 몰입했다. 생물도 열심히 공부했고. 방학때 대학원생 만나 조언도 들었다. 박 센터장은 “당시만 해도 ... ...
- 오직 근육의 힘으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배재고 ‘패스(PASS)’였다.“스탑, 스탑, 스탑! 풍향 풍속 체크!”팀장인 이재국(2학년) 학생이 확성기에 대고 소리쳤다. 마지막 점검에서 항공기가 부서지기라도 할까, 신중한 모습이었다. 입술 한쪽이 다 터지고 손도 상처투성인 그는 “올해 1월 홍보포스터를 보고 작은 모형 항공기가 아닌, 실제로 ... ...
- 우주에 ‘우리별’을 띄우다 (박성동 쎄트렉아이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잘하는 평범한 학생이었다. 당시의 장래 희망도 위성 개발과 거리가 멀었다. 고등학교 1학년 때 우연히 TV를 통해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로널드 레이건이 한국을 방문했다가 심장병 어린이 2명을 데리고 돌아가는 장면을 봤는데, 그때 ‘의대를 가서 심장전문의가 돼야겠다’고 결심했다. ... ...
-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암기를 위주로 하는 과목은 반복되는 느낌이 있어서 별로 선호하지 않았지만, 수학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새로 배우는 게 확실하고 공식을 활용하면 답이 나오는 게 정말 재미있었다고 한다. 노 교수의 부모님은 많은 부모가 그렇듯 자식이 공부에 집중하기를 바랐다. 그래서 영화를 보러 갈 여유를 ... ...
- 소년이여, 네 멋대로 해라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대학교 3학년인데 그런 가르침 속에서도 잘 컸다고 연신 웃음이다. 둘째는 초등학교 6학년인데 “놀기만 한” 단다. 그래도 교육방침을 바꾸지 않을 것이다.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 임기도 이제 2년 남았다. 연임을 했으니 다음에는 어떻게 될지 모른다. 뭘 하든지 이 관장은 과학과 대중 사이의 어느 ... ...
- 외국계 회사에서 영어보다 중요한 것은 공학에 대한 열정 (전용구 퀄컴 씨디엠에이 테크날러지 코리아 이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옮겼다. “저희 때는 공대에도 학부 재학시절에 군대를 다녀오는 사람이 많았습니다. 1학년 때는 대학에 온 해방감에 조금 놀았습니다. 복학 후에는 본격적으로 공부를 시작했구요.” 전 이사는 복학 후 진로를 정하는 과정에서 선배들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그는 컴퓨터공학 중에서도 어떤 전공을 ... ...
- 꿈꾸는 삶이 아름다운 삶이다 (정형민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그렇지만 체력적으로 재수공부와 대학생활을 병행할 수 없어 6개월만에 포기했다. 2학년에 올라가면서 1지망으로 수의학과를 지원했지만, 선배들이 쫓아와 건국대에서는 축산학을 공부해야 된다고 설득해, 결국 1지망 축산학과를 지원해 진학하게 됐다. 그렇지만 수의학에 대한 미련을 버릴 수 없어 ... ...
- 자동차의 ‘왕발’이 되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춤추는 걸 좋아해서라기보다는 나이트클럽 분위기가 무척 마음에 들었다. 하지만 2학년 때부터 소위 정신을 차렸다. “1학년 때 그렇게 놀다가 생각해 보니 남는 게 하나도 없었습니다. 안되겠다 싶어서 공부를 하려고 했는데 눈에 들어올 리가 없죠. 그래서 우선 도서관 가는 버릇을 길렀습니다. ... ...
- 선박의 안전을 지켜주는 슬로싱 방지 기술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김용환 교수님의 연구 분야는 무엇인가요?‘슬로싱’이라는 분야입니다. 물이 반 쯤 찬 유리병을 흔들면 병에 충격이 전해지는 것이 바로 슬로싱입니다. 슬로싱 방지연구는 1970년대에 액화천연가스(LNG)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중요해졌습니다. LNG선박에 실은 액체가 운반 중에 심하게 흔들리면서 선 ... ...
이전939495969798991001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