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성"(으)로 총 4,159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미세먼지 의문을 털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만들어 뇌 세포 손상을 일으킬수 있는데, 이런 손상은 알츠하이머의 대표적인 특성이다(doi:10.1073/pnas.1605941113).이뿐만이 아니다.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2013년, 미세먼지를 1군 발암물질로 지정했다. 1군 발암물질은 인간에게 암을 일으킨다고 확인된 물질이다. 결국 미세먼지는 다양한 병의 ... ...
- [Photo] 티타늄과 그 광물들 下 예술이 된 광물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큰 사진)가 그 주인공이다. 다이아몬드에 비해 상대굳기는 약하지만, 빛을 분산시키는 특성이 뛰어나 어떻게 가공하느냐에 따라 현란한 광채를 나타낸다. 그 때문에 보석의 자리에까지 오를 수 있었다. 티타나이트라는 이름은 1982년 국제광물협회에서 정했다. 원래 티타나이트는 ‘스펜’이라고도 ... ...
- [Future] ‘마음의 창’을 열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가장 큰 문제는, 전류가 빛처럼 직진하지 않고 퍼져서 흐르는 특성과 다시 되돌아오는 특성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한 전극이 만드는 전류가 아래에 있는 하나의 시신경 세포만이 아니라, 이웃하고 있는 다른 시신경세포까지 영향을 준다. 영상이 흐릿하게 번져 보이게 된다는 뜻이다. ... ...
- [Future] ‘잘 나가던’ 소프트로봇이 발목 잡힌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경우에만 할 수 있는 게 아니고, 또 그래서도 안 된다. 그러나 공학, 특히 로봇공학은 특성상 상용화와 분리해 생각할 수 없는데도, 그간 이와 관련된 논의가 적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앞으로 이 같은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돼 더 많은 기술이 세상으로 나오길 기대해본다 ... ...
- Part 4. 인류 매머드는 소중한 자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가능성이 높답니다.새끼를 너무 적게 낳는 것도 문제?장비목이 가지고 있는 특성도 털매머드의 멸종을 부추겼다고 볼 수 있어요. 장비목은 임신 기간이 22개월로, 포유류 중 가장 길어요. 거의 2년 가까이 뱃속에 새끼를 품고 있는 거예요. 또 한 번에 새끼 한 마리씩만 낳는데다, 새끼를 낳고 다시 ... ...
- [과학뉴스] 조울증 일으키는 단백질 실마리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뇌의 신호전달을 담당하는 단백질로, 서 교수가 세계 최초로 뇌에서 분리·정제해 분자 특성을 밝혔다. 하지만 지금까지 정신질환을 일으키는지 여부와 기작은 규명되지 않았다.연구팀은 PLCγ1이 결핍된 유전자 조작 쥐의 행동을 분석했다. 그 결과 활동성과 식욕, 쾌락적 활동이 과도하게 높아지고, ... ...
- [Origin] 겨울잠과 잠을 동시에 자는 여우원숭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10월까지 이어지는 건기를 버티기 위해 잠을 잔다. 마다가스카르 섬은 열대우림의 기후 특성을 보인다. 우기 동안에는 여우원숭이가 좋아하는 꽃, 과일, 작은 동물 같은 먹이가 풍부하지만, 비가 오지 않는 건기에는 이런 먹이가 급격히 줄어든다.겨울잠 자는 영장류인 살찐꼬리난쟁이 여우원숭이 ... ...
- [Future] 전자회로의 ‘미싱링크’ 멤리스터는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제안됐던 것처럼 전하만으로 회로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가진 소자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2008년까지 나노 단위에서 멤리스터를 구현하는 연구를 했던 김태희 이화여대 물리학과 교수는 “멤리스터가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다른 원인에서 유발되는 자기저항현상 ... ...
- [Career] 꿈의 연구실에서 만든 꿈의 다이오드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특히 이번 연구는 ‘실리콘 반도체의 경우 금속의 종류에 관계 없이 접합면의 전기적 특성이 거의 같다’는 이론적 예측을 확인했다는 의미도 있다. 이 때 연구원들이 만든 측정시스템이 큰 역할을 했다. 다이오드의 전자에너지 장벽을 측정해 이론을 검증한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 ...
- [Origin] 소리를 지배한 파충류, 지구를 접수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특별히 크다는 결론을 얻지 못했다. 설사 타원창이 정말 크다고 하더라도 ‘크다’라는 특성이 서로 다른 종류의 동물 사이에 진화적 관계가 있다는 의미가 되지는 않는다. ‘작다’와 ‘크다’ 사이에 명확한 기준이 없고, 개체별로도 크기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 연구팀은 ... ...
이전939495969798991001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