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 X KRISS] 기본전하 상수로 새롭게 태어나는 암페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통상 조약을 맺고 에디슨 전기회사에서 전구를 들여왔다. 전기 산업의 발전은 전기 측정에 필요한 단위와 표준의 필요성을 자연스럽게 제기했다. 1901년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지오바니 조르지는 미터, 킬로그램, 초 단위계에 전기의 기본 단위도 추가하자고 제안했다. 1939년 전기자문위원회(CCE ... ...
- [매스미디어] 용의자 X의 헌신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풀리지 않아. 시간만 흘러갈 뿐이지. 심술궂다면 심술궂다고 할 수 있지만, 실력을 측정하는 데는 아주 좋은 수단이야." 이시가미는 순수한 학문인 수학의 본질을 이해하려 하지 않고 문제 푸는 방법만 외워 대입하는 것을 경멸한다. 그런데 재직 중인 학교에서 그저 학생들의 수학 성적만 올리라는 ... ...
- Part 3. 냠냠~ 미세먼지 잡아먹는 건물이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달라붙지요. 실제로 농촌진흥청이 미세먼지가 있는 방에 벵갈고무나무를 놓고 측정한 결과, 4시간 뒤 약 70%의 미세먼지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어요. 이탈리아의 건축가 ‘스테파노 보에리’는 도시 한 가운데에 식물로 뒤덮인 건물을 짓는 ‘버티컬 포레스트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에요. 그는 ... ...
- [Origin] 외계행성 찾으러 가즈아~ 케플러 대신할 테스 발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케옵스는 밝은 별을 도는 행성 중 지구보다 크고 해왕성보다는 작은 행성을 찾아 크기를 측정할 계획이다. 케옵스 역시 테스와 마찬가지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외계행성을 집중 분석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유럽우주국은 케옵스에 이어 외계행성 탐색 위성 2기를 추가로 ... ...
- Part 1. 시험장에서 쫓겨난 기하의 항변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배우는 학문입니다. 기하의 영어 단어인 ‘geometry’는 그리스어로 땅을 뜻하는 ‘geo’와 측정을 뜻하는 ‘metron’이 합쳐져 생겼습니다. 시각적인 모든 것과 공간으로 표현할 수 있는 모든 것을 기하라고 할 수 있지요. 기하는 늘 인류와 함께 했습니다. 문명이 태동할 때부터 기하의 도움이 ... ...
- [과학뉴스] 헬멧처럼 머리에 쓰는 웨어러블 뇌자도 측정기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자유롭게 움직이는 상태에서 뇌 활동을 확인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비가 개발됐다. 매튜 브룩스 영국 노팅엄대 물리천문학부 교수팀은 머리가 움직 ... 뇌파 측정이 가능하다”며 “머리 움직임에 제약이 없는 만큼 다양한 상황에서 뇌자도 측정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doi:10.1038/nature2614 ... ...
-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전극 조각을 여러 개 붙이고, 전극으로 운동신경세포가 만들어내는 근전도 신호를 측정해 전자 의수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물론 신체에서 나오는 근전도 신호는 워낙 미약하기 때문에 무기로 쓰일 힘을 내기에는 역부족이겠지만요. 영화 속 장갑형 무기는 연료, 모터, 배터리까지 무게가 ... ...
- 그 소원, ‘가상현실’이 이뤄 드립니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커서 자칫 같은 체험장 안에 있는 플레이어끼리 부딪칠 수 있거든요. 이때는 ‘삼각 측정법’을 이용해 오차를 줄일 수 있어요. 가상현실과 AI의 만남게임 속 주인공이 되기 위한 마지막 단추는 바로 인공지능(AI)이에요. 가상세계에는 플레이어뿐 아니라 상점 주인이나 안내원, 공룡이나 트롤 ...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빛을 발하는 건 단연 라이다다. 일반 레이더는 전파를 이용해 차와 물체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면, 라이다는 레이저를 이용한다. 라이다는 초당 8만~10만 번 레이저를 쏜 뒤 물체에 맞고 반사돼 돌아오는 빛을 통해 물체의 거리뿐만 아니라 형태까지 파악한다. 시속 40km로 달릴 때 사람의 시야각은 1 ... ...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과학동아 l2018년 05호
- 1 kg이어서 원자 질량이나 1 mg 이하의 질량을 정확하게 재기 어려웠다”며 “새로운 측정 기술이 반도체, 나노기술 등이 발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알려드립니다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국제단위계(SI 단위계) 표기 규정, 한글 맞춤법 규정에 따라 수치와 단위 기호 사이를 ... ...
이전939495969798991001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