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연
본질
본성
천성
우주
만물
산수
d라이브러리
"
천연
"(으)로 총 1,513건 검색되었습니다.
세명의 손자로 이어진 과학사랑 헉슬리 가문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상승의 사다리가 아닌데 그런 걸 기대하는 것은 무리일까.그러나 우리는 자주 듣는다.
천연
자원이 부족한 우리에게는 인재라는 자원밖에 없다고. 그리고 우리의 미래는 전적으로 과학기술에 달려 있다고. 하지만 우리는 또 듣는다. 과학자 아버지들이 요즈음 가장 두려워하는 말이 그네들 자식이 ... ...
왜 생명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연구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백신이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았다면
천연
두는 인간에게 엄청난 재앙이었을 것이다.
천연
두뿐 아니라 1960년대 들어 본격적으로 백신이 개발∙보급된 소아마비 바이러스도 사실상 퇴치됐다. 최근에는 B형 간염바이러스 백신이 개발돼 B형 간염의 감염도 점차 감소 추세다. 특히 B형 간염백신은 ... ...
ST - 우주개척의 시대 서곡 울린다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0kg이며 큰 빌딩을 구별할 수 있을 정도인 해상도 13.5m급(13.5m 이상만 식별이 가능하다)의
천연
색 사진을 찍는 우주과학실험용 위성으로 현재도 정상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우리별 프로그램은 우리별 3호를 끝으로 막을 내렸으며 과학위성 프로그램이 그 뒤를 이었다.과학위성 1호는 1998년 가을 1백1 ... ...
세계 최고 하이테크 축구공 피버노바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있다.1970년 멕시코월드컵 이후 공인구가 사용되면서 축구공은 진화를 거듭해 왔다. 32조각
천연
가죽에서 가죽보다 방수성과 탄력이 뛰어난 플라스틱 재질의 인조가죽으로 변화했다. 골이 많이 나는 박진감 넘치는 경기로 유도하는 FIFA의 정책에 맞춰 이제 신택틱 폼이라는 플라스틱이 공의 성능을 ... ...
BT - 생체 혁명 주도하는 전초기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석유화학산업을 대체하리라는 전망마저 나오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생물산업에 필요한
천연
생물자원(바이오매스)의 확보가 관건이다. 산업의 원료가 되는 탄수화물자원과 바이오매스를 안정적으로 대규모 확보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국내 정유회사들은 중국과 캐나다, 아르헨티나와 ... ...
ET - 지구위기극복하는 만능해결사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불리는 차세대 에너지원이 주목받고 있다.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얼음 속에 갇혀 있는
천연
가스로 해저면이나 얼어붙은 땅 속에 존재하는데, 온실가스의 발생을 현격히 줄일 수 있다. 이 외에도 태양력, 풍력, 지열과 바이오매스(생물체의 에너지)를 이용해 수소와 같은 청정가스를 만들어 ... ...
영생의 꿈 실현하는 현대판 미라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건조시킨 후 각각의 호리병에 따로 담아 미라와 함께 매장했다. 네이트론은
천연
탄산나트륨(${Na}_{2}$${CO}_{3}$)으로 이는 공기 중에서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매우 강한 화합물이다.고무처럼 말랑말랑한 시신 플래스티네이션은 이집트의 미라보다 강력하고 효과적인 수분 제거 방법을 이용한다. ... ...
소비자를 유혹하는 제품의 패션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자기 전에 씹는다’를 TV 광고의 모토로 삼을 만큼 충치 예방의 효과가 있는
천연
감미료다. 물론 과학적 데이터도 갖추고 있다. 사람들은 이 글씨에서 적지 않은 신뢰를 얻게 된다. ‘이 껌을 씹으면 아마 치아가 더욱 건강해질 거야’내지는 ‘이 껌이 내 치아의 충치를 막아주지 않을까’라는 ... ...
한민족의 오랜 벗 한국개의 기원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의해
천연
기념물로 지정된 진돗개와 뒤늦게 우리 정부에 의해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
천연
기념물로 지정된 삽살개가 이들이다. 이들은 형태의 다양성은 많이 잃어버렸지만 토종개로서의 유전자 구성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진돗개와 삽살개는 한국개의 기원을 연구하기 위한 유전자 자원으로서 ... ...
우리 삽살개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경북대 유전공학과 교수로 있으며, 삽살개의 보존과 연구에 힘쓰고 있다. 1992년 삽살개가
천연
기념물로 지정되는데 크게 공헌했으며, 같은 해에 사단법인 한국삽살개보존회를 설립해 지금까지 단체를 이끌어 오고 있다. 삽살개에 대한 학문적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고, 우리 토종개로서 삽살개를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