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류"(으)로 총 5,78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몸으로 드론을 조종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드론을 날려본 적 있나요? 보통 드론은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비행 방향과 높이를 조종해요. 하지만 조이스틱을 다루기가 쉽지 않아서, 적응 기간을 거 ... 제니터 밀브라트 연구원은 “이 조종법은 쉽고 직관적이라 드론은 물론, 다양한 종류의 로봇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 말했어요 ... ...
- [특별 JOB 인터뷰 2] 잎새에 숨겨진 표정을 찾는 사람, 식물세밀화가 이소영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식물의 종류를 알려주는 어플도 있지만, 여전히 식물세밀화는 도감이나 논문에서 식물의 종류를 알려주는 중요한 수단이에요. 작가님의 설명을 들은 기자도 식물 그림을 그리고 싶다고 생각했지요. 우리도 식물세밀화가가 될 수 있을까요? “식물을 찾고 그림을 그리려면 등산도 잘 하고, 그림도 ... ...
- [공생] 식충식물의 놀라운 변신! 화장실이야, 호텔이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통풀은 박쥐가 낮잠을 자기 좋도록 담긴 액체도 적고 길쭉하게 생겼죠. 연구진이 여러 종류의 벌레잡이통풀을 비교한 결과, 헴슬레야나 통풀의 주둥이가 다른 통풀보다 박쥐가 쏘는 초음파를 잘 반사시킨다는 사실이 드러났어요. 초음파를 잘 반사하는 만큼 박쥐는 공생하는 통풀을 쉽게 찾을 수 ... ...
- [이모저모] 식충식물 BEST 3! 이상한 애들은 다 모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무엇인가요?식충식물을 위해 일부러 많은 벌레를 잡아줄 필요는 없어요. 특히 몇몇 종류의 식물은 벌레의 움직임을 느껴서 소화액을 분비하기 때문에 죽은 벌레를 잡아주는 것이 역효과를 낼 수 있지요. 또한, 식물은 잎을 움직이는 데 큰 에너지를 소모합니다. 그러므로 신기하다고 자꾸 식물을 ... ...
- [현장취재 2] 첨벙첨벙! 갑천에 민물고기 탐사대가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상류로 이동했지요. 대전 갑천은 금강의 한 줄기로 수심이 낮고, 수초가 많아서 다양한 종류의 어류를 볼 수 있어요. “갑천에는 쉬리, 각시붕어, 감돌고기, 퉁사리 외에도 금강에서만 서식하는 천연기념물인 미호종개가 살고 있어요. 이 중에서도 감돌고기는 최근 개체수가 많이 줄어들고 있어서, ... ...
- [시사과학 뉴스] 선크림 어떻게 자외선 차단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자외선 차단제(무기자차)’와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유기자차)’로 나눌 수 있어요. 두 종류의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을 막는 원리가 다르지요. 먼저, 무기자차는 주로 징크옥사이드, 티타늄디옥사이드와 같은 무기질 성분이 피부에 보호막을 만들어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원리예요. 모자를 ... ...
- Part 3. 흰발 농게, 새집으로 이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서해와 남해에 걸쳐 붉은 집게를 지닌 ‘농게’와 흰색 집게를 지닌 ‘흰발농게’, 두 종류의 농게가 살아요. 그중 흰발농게는 담수와 바닷물이 만나고 모래와 진흙이 적절히 섞여 있는 곳에만 살지요. 이처럼 까다로운 서식 조건과 연안 개발로 인해 흰발농게는 수가 점점 줄어들어 현재 보호종으로 ... ...
- [과학뉴스] 1억 2500만 년 전 비듬의 주인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살았던 네 종류의 공룡과 원시 새 화석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어요. 그 결과 네 종류의 화석 모두에서 비듬이 발견되었어요. 가장 오래된 비듬은 미크로랍토르의 화석에서 나왔지요. 연구진은 이 비듬을 통해 공룡이 현재의 파충류처럼 피부를 한꺼번에 벗는 탈피를 하는 대신 깃털 사이로 피부 ... ...
- [이달의 사물] 호랑가시나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모양의 늘 푸른 잎이 특징입니다. 크리스마스 즈음에 빨간 열매를 맺죠. 호랑가시나무는 종류가 400~600종이나 됩니다. 그 중 한국과 중국에 분포하는 호랑가시나무는 잎이 호랑이 발톱 같다고 해서 ‘호랑이발톱나무’라는 이름을 갖고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호랑가시나무의 열매와 잎을 약재로 ... ...
- Part 1. 성분부터 구조까지 전격 비교 깃털 vs. 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구조색이 생겼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날갯짓 많이 할수록 깃털 밀도 높아 같은 종류의 깃털이라도 종마다 구조와 기능이 다르다. 2015년 송거 바가시 루마니아 바베스볼라야대 생물및생태학부 박사후연구원은 서식지와 비행 유형에 따라 깃털의 구조를 비교 분석해 그 결과를 영국생태학회가 ... ...
이전939495969798991001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