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공"(으)로 총 4,188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기발한 저온 공학 기술이 창업 아이템이 되기까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들어선 연구실은 당황스러울 만큼 휑했다. 학교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책상과 책장 외에는 아무 것도 없었다. 책장은 아직 많이 비어 있었고, 그 옆에 ‘축 임용’이라고 적힌 화분이 두 개 놓여 있었다. “제가 부임한 지 얼마 되지 않아서….” 김건호 UNIST 기계및원자력공학부 교수가 멋쩍게 ... ...
- [소프트웨어] 도시별 날씨 앱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친구가 살고 있는 런던의 날씨는? 가족여행을 떠날 일본 교토의 내일 날씨는? 지금 내가 원하는 도시의 날씨를 알고 싶을 때 도시별 날씨 앱이 유용합니다. 이번 호에서는 날씨 API와 구글 지도를 이용해 도시별 날씨를 알려주는 앱을 만들 거예요.오늘의 미션앱 또는 인터넷 사이트는 어떻게 매일 날 ... ...
- [소프트웨어] 꼬마 스티브 잡스 키운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현초는 전교생에게 학기마다 제 학년에 맞는 맞춤형 SW 수업을 제공하고 있다. 1, 2학년에게도 SW를 가르치는 몇 안되는 학교 중 하나다.1~2학년은 7차시 동안 교실에서 언플러그드 교육과 온라인 놀이를 접한다. 이 수업에서 블록을 순서대로 배치해 특정 그림이나 모양을 ... ...
- [Career] 나노물질과 인체의 ‘궁합’ 봅니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교수팀은 김 책임연구원팀에게 독성평가에 적합한 최적의 황화납(PbS) 양자점 샘플을 제공했다. 황화납은 널리 쓰이는 양자점 소재 중 하나로, 인 교수팀은 2~3nm 크기의 균일한 크기를 가진 황화납 100mL를 만들었다. 독성평가를 하려면 비슷한 상황을 여러 차례 반복해서 재현하면서 실험해야 하는데, ... ...
- [지식] 게이머가 풀어야 할 대난제 랜덤박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매우 어렵다. 즉 레벨의 가치가 높다. 또 모바일 게임은 대부분 SNS 친구들의 순위 정보를 제공한다. 친구가 나를 추월하면 알려주기도 한다.이런 전략이 어디서나 통하는 건 아니다. 북미와 유럽에는 주 수익원이 아이템이 아니라 게임 판매인 경우가 많다. 이 교수는 “게이머들이 돈으로 순위를 ... ...
- [Tech & Fun] 직장과 집만 고집하는 당신, 변해야 ‘동안’된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생물학적(이하 생체) 나이는 달라지게 된다.미국과 영국, 이스라엘, 뉴질랜드의 국제공동연구팀은 생체노화 속도가 최대 두 배 빨라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2015년 7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AN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국가통계를 바탕으로 1972~1973년생의 남녀 1000여 명의 태어난 이후부터 살아온 ... ...
- [교과연계수업] 자르고 접어서 대칭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색종이를 이용해 자르고 접어 예쁜 대칭 무늬를 만드는 방법을 소개할게요. GIB 제공 ● 한글 자음 속 대칭네모난 종이를 반으로 접어 한쪽에 여러 색의 물감을 묻힌 뒤, 반으로 접었다 펴면 재미있는 모습이 나타난다. 접힌 선을 기준으로 양쪽은 똑같은 무늬가 나타나는데, 이것은 화가 오스카 ... ...
- Part 2. 친구가 사라졌다면?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수 있는 길을 알려주는 프로그램을 개발했어요.재난 피해자에게 진짜 필요한 물품을 제공하기 위해 일본 노무라종합 연구소는 피해자의 트위터를 ‘데이터마이닝’으로 분석해 지역별로 어떤 물품이 필요한지 알아내는 프로그램을 개발했어요. 루머와 악성댓글, 리트윗은 자동적으로 제거하고, ... ...
- [Career] 뇌와 컴퓨터가 만나면 어떤 향기가 날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활용했지만, 영상과 온도 정보를 분석하고 DB 정보와 비교한 뒤 진단 후보 리스트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는 연구팀이 독자적으로 개발했다. 강 연구원은 “현재 의료기기 인증을 받기 위해 임상시험을 준비하고 있다”며 “향후 습도 센서까지 추가하면 더욱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을 ...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역할은 각국의 대학과 연구소에서 온 학자들이 자신의 실험을 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런 일을 하는 사람들은 대개 엔지니어와 기술자다. 그래서 우리는 물리학자보다는 엔지니어를 더 많이 고용한다. 시설을 만들고, 운영하며, 사용하는 사람들이 원활하게 소통하게 하는 것이 ... ...
이전939495969798991001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