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d라이브러리
"
오른쪽
"(으)로 총 1,888건 검색되었습니다.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박사다.][➋ 돔 위에서 내려다본 망원경의 모습. 가운데 지름 1.8m의 주경이 일부 보인다.
오른쪽
사람을 보면 그 크기를 짐작할 수 있다.][반사망원경 작동원리-우주에서 들어오는 빛은 주경(보현산천문대 망원경의 경우 지름이 1.8m)에서 반사돼 부경으로 향한다. 부경에서 다시 한 번 반사된 빛은 배플 ... ...
달에게 동생이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있어 현재로서는 대충돌설이 가장 유력하게 인정받고 있다.[달의 앞면(왼쪽)과 뒷면(
오른쪽
)]한편 대충돌 때 발생한 충돌에너지가 너무 커서 지구뿐만 아니라 달 전체에 마그마가 마치 바다처럼 퍼졌을 것이라는 가설이 마그마 바다설이다. 달 전체를 덮고 있던 액체상태의 마그마에서 밀도가 높은 ... ...
트랜스포머 무한변신의 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스피커의 구조가 간단해 당장 내비게이션에 설치할 수 있다”며 “
오른쪽
으로 돌 때는
오른쪽
귀에, 왼쪽으로 돌 때는 왼쪽 귀에 지시가 들리도록 하면 재미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강지훈 연구원은 “슈퍼컴퓨터 선진국은 이미 용도에 맞게 ‘맞춤형 하이브리드 슈퍼컴퓨터’를 제작해 ... ...
물리 - 유체 움직임의 다양한 활용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1997년 대 프랑스전에서 브라질 축구선수 로베르토 카를로스는 환상적인 슛을 성공시킨다. 그의 왼발 프리킥은 수비벽
오른쪽
을 지나 골대를 벗어나는 듯하더니, 마치 곡예하듯 왼쪽으로 휘어지며
오른쪽
골네트를 흔들었다. 베르누이 효과가 만들어낸 예술이었다. ...
무한도전팀도 몰랐던 조정의 수학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이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M은 -2가 된다. 이것은 노를 저을 때마다 2만큼의 힘이 왼쪽 또는
오른쪽
으로 작용해 배가 왔다갔다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배의 이동거리가 더 길어진다. 그럼 배가 왔다갔다 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은 없을까? 노의 위치를 바꿔보자. ②처럼 노의 위치를 바꾼 경우를 ... ...
숫자 마술 부리는 신기한 수9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➋에서는 각 값의 나머지가 2와 4이므로 이를 곱하면 8이 되는 걸 알 수 있다. 이 값은
오른쪽
에 곱해서 나온 값의 각 자리의 수를 모두 더한 35(=2+4+1+7+1+2+5+4+7+2)를 9로 나눈 나머지 8과 같다. 이처럼 나머지가 같다는 사실로 계산이 옳게 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할 수 있다.물론 나머지가 같다는 ... ...
수학 예술가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예술가가 되기 위해 직접 실험을 해 보자 아하! 생각이 쑥쑥!화가 에셔 따라잡기
오른쪽
작품은 1898년에 태어난 네덜란드의 화가 모리츠 에셔의 작품이다. 서로 다른 색깔의 새가 빈틈없이 채워진 모습이 신기하고 놀랍다. 에셔는 도형의 분할을 이용해 작품을 만든 화가로 유명하다.에셔의 ... ...
[수학으로 TV 보기] 복불복에서 까나리를 피하려면?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계산해 구할 수 있는데, 이렇게 구한 확률은 ‘기하학적 확률’ 이라고 한다.예를 들어
오른쪽
과 같은 룰렛 판이 있다고 가정하자. ‘꼬막 3000개 캐기’ 미션이 당첨될 확률을 1/6 이라고 하면 안 되고, 넓이의 비를 따져 1/4이라고 해야 맞다.만약 1박 2일에서 머리를 쓰는 게임을 주로 했다면 이토록 ... ...
월드와이드웹 20년, 아직 진화는 끝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공개된 지 꼭 20년 되는 날이다. [1991년 8월 6일 월드와이드웹을 통해 공개된 첫 웹페이지.
오른쪽
아래 팀 버너스리 박사가 보인다.]컴퓨터과학자 한 사람의 아이디어스위스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서 일하던 영국의 컴퓨터과학자 팀 버너스리 박사는 1989년 3월 인터넷에서 다양한 정보에 쉽게 ... ...
지구 만든 미생물로 환경오염 처리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있다. 이렇게 배양한 쉬아넬라 균은 나노튜브와 나노선을 만든다.] [➋ 우라늄 6가 이온(
오른쪽
)이 우라늄 나노선으로 변해 침전돼 있다.]끊임없이 새로운 영역에 도전허 교수는 석사 과정에서 토양의 독성 화학물질을 연구했다. 하지만 박사 과정에서는 미생물을 공부하고 싶어 무작정 미국으로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