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d라이브러리
"
신호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음성 인식기에는 이 같은 능력이 없다. 여러 음성과 음악을 구분하지 못하고 하나의
신호
로 처리해 전혀 다른 결과를 출력해 낸다.최근 영국 서리대 앤드류 심슨 연구팀은 딥러닝을 이용해 음악에서 사람의 음성과 배경음악을 구분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노래 63곡을 각각 20초 단위로 나눴다.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섬유와 유리 물질을 시험했다. 몇 년간의 실험 결과 그는 섬유에 포함된 불순물들이 빛
신호
의 손실을 유발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를 통해 순도가 높은 이산화규소 유리로 섬유를 만들면 빛 손실이 적어서 100km가 넘는 장거리까지 빛을 전달할 수 있다는 것도 알아냈다. 그의 연구는 ... ...
[Life & Tech] 혀를 중독시킨 붉은 마약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뇌에 전해져 매운맛으로 인식되는 것이다.매운맛은 한마디로 혀가 아프다고 보내는
신호
다. 그런데 왜 우리 뇌는 매운맛을 맛있다고 느끼는 걸까. 대구 신천시장에 가면 ‘마약떡볶이’라는 오래된 메뉴가 있다. 사람들이 맵다맵다 하면서도 마치 중독된듯 계속 이 떡볶이를 찾아서 붙은 이름이다. ... ...
필래, 정신이 좀 드니?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게라시멘코 표면에 착륙했다가 60시간 뒤에 연락이 끊겼던 탐사로봇 필래에게서
신호
가 왔다고 6월 13일 발표했다.필래는 혜성 착륙 도중 역분사 엔진이 작동하지 않아 태양빛이 닿지 않는 그늘에 착륙했다. 그 바람에 태양전지 배터리를 충전할 수 없어 전원 공급이 끊겼다(과학동아 2014년 12월호 ... ...
[Life & Tech] 바이오(Bio) 화장품의 진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세포다. 이 세포가 분화하면 주변세포의 성장을 유도하는
신호
물질을 분비한다. 그 물질을 성장인자라 한다. 줄기세포 배양액에는 상피세포 성장인자(EGF), 섬유아세포성장인자(β-FGF) 같은 물질이 들어있다. 이 물질을 추출해 화장품에 넣은 게 줄기세포 배양액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신경계를 뉴런 단위로 해독하는 데 성공했는데, 연결상태가 너무 복잡해서
신호
전달경로 사이의 관계를 밝히는 데는 더 긴 시간이 걸렸다. 대략 1000억 개의 뉴런이 있고 각 뉴런이 1만 개 이상의 시냅스와 연결돼 있는 인간의 뇌를 해독하는 데는 얼마만큼의 시간이 걸릴지 예상하기 어렵다. 이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광컴퓨터 여러분 ‘광컴퓨터’라고 들어보셨나요? 광컴퓨터는 계산을 할 때 전기
신호
가 아니라 빛을 사용하는 컴퓨터입니다. 광컴퓨터는 크게 두 가지 장점이 있어요. 일단 빛은 전자처럼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컴퓨터 내에서 정보를 보내고 받을 때 빛의 경로들이 교차해도 아무 ... ...
광장에 몇 명 모였나? WIFI로 센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신호
가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했다. WIFI
신호
가 사람 몸에 닿으면 반사파가 생성돼 원래
신호
와 서로 간섭을 일으키는 현상을 관측한 것이다.연구팀은 이 현상으로부터 사람 수를 역으로 추정하는 수학 모델을 개발했다. 실내외에서 실험한 결과 최대 9명까지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었다. 모스토피 ... ...
[과학뉴스] 수화 알아듣는 스마트 장갑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국내 연구진이 스타킹처럼 늘어나면서 센서 역할까지 할 수 있는 전도성 섬유로 수화를 인식할 수 있는 스마트 장갑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태윤 연세대 전기전 ... 컴퓨터로 인식시키는 데도 성공했다. 손가락을 구부릴 때 섬유가 늘어나면서 저항값이 달라지는 원리가
신호
를 만들었다 ... ...
금연 성패, 답은 정해져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동시에 활성화 된 것. 뇌섬엽은 담배를 피울지 피우지 않을지를 결정해 뇌로
신호
를 보내는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뇌섬엽과 뇌의 다른 부위 간 연결고리를 찾아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연구 결과는 ‘신경심리약학지’ 5월 13일자에 실렸다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