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울
수로
중앙
도읍
뱃길
배길
항로
d라이브러리
"
수도
"(으)로 총 1,487건 검색되었습니다.
${10}^{-15}$m 펨토세계에서 새로운 입자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이루고 있다. 하지만 각각의 쿼크들은 이보다 높은 에너지 상태인 ‘들뜬’ 상태가 될
수도
있는데 만약 이들 쿼크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들뜬’ 상태가 되면 다른 종류의 강입자로 바뀐다. 따라서 같은 쿼크 구성이라고 해도 다양한 들뜬 상태가 가능하므로 수많은 강입자가 존재할 수 있다 ... ...
13일 밤 고흐의 보름달 떠오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따르고 있는 것이었습니다. 올해는 바로 그 주기에 해당합니다. 이 달13일 밤, 생레미
수도
원 근처 절벽에는 고흐가 바라본 그 보름달이 다시 떠오르는 것이죠. 생을 마감하기 일년 전, 고흐는 보름달을 보며 무슨 생각을 했을까요 ... ...
쌍둥이 로버 화성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근일점거리 094AU(천문단위)로 계산된 다시 돌아오지 않는 혜성이다꼬리의 겉보기 길이는
수도
에 달했으며 꼬리 모양의 변화가 컸던 것으로 유명하다 결정의 하나 실제로 결정은 이상적인 결정과는 달리 약간 불완전성이 있는데, X선의 반사세기 측정 등에 의해 결정 내부의 넓은 부위에 걸쳐 ... ...
특수효과로 누리는 재난영화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있는 다람쥐를 보여줬고, 볼케이노는
수도
관을 정비하러 들어갔다가 숯덩이가 돼버린
수도
국 직원을 보여줌으로써 앞으로 다가올 재난을 암시했다. 대부분의 경우 일반인들은 이런 암시를 대수롭지 않은 사고로 간주한다. 아마겟돈처럼 하늘에서 떨어지는 돌덩이들로 도시의 빌딩을 박살내버리는 ... ...
두번째 대멸종은 운석 충돌 때문?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특히 이 시기에 삼엽충과 필석이 거의 사라졌으며, 바다에서 번성했던 산호초 생물의
수도
크게 감소했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데본기 말에 멸종한 생물의 대부분이 따뜻한 환경에서 생활했던 종류라는데 주목했다. 그래서 멸종원인을 추운 기후에서 찾으려고 했지만 특별히 추웠다는 증거는 ... ...
② 사스 동물 바이러스 돌연변이가 원인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그런데 이번에는 사람들을 죽음에 이르게 하고 있는 것이다.스페인독감보다 무서울
수도
사스의 잠복기는 2-7일 사이며 사람에 따라 10일이 걸리기도 한다. 처음엔 38℃가 넘는 고열이 나며 오한, 두통, 근육통이 수반되기도 한다. 잠복기가 끝나면 마른기침과 호흡곤란, 혈중 산소농도의 저하현상이 ... ...
사스바이러스는 감기바이러스의 돌연변이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저온에서 발생하며 구름에서 낙하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구름이 없는 하늘에서 낙하하는
수도
있다 개기일식이 끝나고 광구(光球)의 일부분이 달 주변에서 벗어나는 순간 밝은 광구가 채층(彩層)과 내부 코로나의 둥근 테에서 번쩍거려 다이아몬드처럼 보이는 현상 끝에 다이아몬드가 박힌 케이싱 ... ...
거대한 도시 실험실 에든버러 사이언스 페스티벌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모여들었다.할아버지 과학자에게 배우는 과학놀이에든버러는 영국 스코틀랜드 지방의
수도
로 역사는 오래 됐지만 인구 42만 정도의 그리 크지 않은 도시다. 하지만 축제 기간 내내 이 도시는 과학에 대한 열기로 뜨거웠다. 이번 축전을 기획한 스코틀랜드영국문화원의 대중공연 담당자 게일은 ... ...
1 세상에서 가장 정교한 설계도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흥분의 도가니로 몰아넣은 DNA 연구는 한세기 전의 그레고르 멘델이라는 오스트리아
수도
사의 연구로 거슬러 올라간다. 19세기까지 유전은 피를 통해 이뤄진다고 생각됐다. 1859년 ‘종의 기원’을 썼던 진화학자 찰스 다윈조차 이런 생각의 벽을 뛰어넘지 못했다. 그는 두마리의 동물이 짝짓기를 하면 ... ...
미생물유전체 활용기술 개발사업단 미생물 게놈 월드컵 4강 진입의 사령탑 오태광 단장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게놈 분석기술이 발달하면서 이 정도의 염기쌍은 하루 정도면 분석이 끝난다.유전자
수도
인간이 3만5천개 내외로 추정되는 것과 비교할 때 미생물은 그 10분의 1인 3천-5천개 정도로 구성돼 있어 분석이 쉬운 편이다. 또 유전자 수는 많지 않은데 비해 25%가 아직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기능의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