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화
정신문명
물질문명
개화
교양
문화도
근대화
d라이브러리
"
문명
"(으)로 총 1,215건 검색되었습니다.
렌즈지름 10m벽 돌파하는 세계 최대 망원경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있다.인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시간과 기후 및 위치의 기준이 돼오던 밤하늘이 이제
문명
의 발전과 함께 탐구와 도전의 대상으로 바뀌었다. '우주로 향한 창'을 활짝 열어 젖히려는 과학자들이 만들어낸 관측기구는 점점 대형화돼 좋은 관측기록을 쌓아가고 있다. 그중 망원경은 우리가 볼 수 ... ...
새로운 통신시대의 개막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전파하는 최초의 도구였다. 음향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 시각이 사용된 것은 원시
문명
이 생겨나면서 시작한다. 산꼭대기에서 피우는 봉화나 연기는 소리보다 멀리 전달되었다. 그리고 그 내용을 풍부하게 하기 위해 깃발신호가 추가로 사용되었다. 쓸쓸한 카페에 앉아서 담배를 속절없이 태우고 ... ...
(1) 영양 불균형 이루기 쉽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많이 활용하는 인스턴트식품에 전적으로 의존하면 영양상의 불균형을 이루기 딱 알맞다.
문명
이 발달하고 사회가 고도화돼 감에 따라서 우리의 식문화(食文化)도 점차 첨단으로 치닫고 있다. 과거에는 생각지도 못했던 인스턴트식품의 출현만 봐도 그런 경향을 쉽게 실감하게 된다. 더욱이 이들 ... ...
전파의 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신의 분노라 여기고 공포에 떨던 인간이 전자기파를 규명해내고 이를 다스려 온갖
문명
의 이기를 만들어 내기 시작한 것은 불과 1백여년 전의 일이다. 공기처럼 우리생활에 스며든 전파의 본 모습은 무엇인가. 전파의 앞길을 가로막는 적은 없는가. 우리생활에 나날이 밀착해오는 전파를 탐구해본다 ... ...
(2) 전자기학을 확립해온 사람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가령 G.S.옴(Ohm)은 전류가 흐를 때 물질에 따라 저항이 다르다는 것을 알아냈고, 그 후
문명
발달을 이끈 여러가지 이기(利器)들이 이 저항에서 생기는 열을 이용해 탄생하게 된다. 전자기유도로 일취월장그런데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 외에 역학적 에너지로 바꿔주는 새로운 전기성질이 그 무렵에 ... ...
고혈압의 주범은 소금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수 있었다. 이런 발견은 소금섭취가 적을 것으로 보이는 미개발지역의 사람들에게는
문명
사회보다 고혈압이 적다는 것이 관찰됨으로써 더욱 튼튼히 뒷받침됐다.그러나 1989년 실시된 영국학자들의 연구결과는 전통적인 믿음을 뒤흔드는 것이었다. 런던의 위생학 및 열대병학회 연구원들은 지구상의 ... ...
1 에스컬레이터도 일종의 도르래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사냥과 채집을 위해 사용하던 도구들이다. 돌을 갈아서 만든 도구는 거의 1백만년 전
문명
이 시작되기 전부터 사용됐다.이들 도구에 이용된 최초의 기술적인 원리는 '사면의 원리'였다. 사면의 원리를 가장 잘 이용한 예로서는 세계 불가사의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는 이집트 피라미드 건설이다. B.C.2 ... ...
3 지구밖
문명
과의 교신도 시도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파는 우리에게 에너지를 전달해줄뿐만 아니라 정보를 운반해준다. 인공위성중계 등 오늘날 우리가 통신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는 모든 기계는 파를 이용한 것이다.우리들은 사방팔방으로 부딪치는 에너지 파 속에 살고 있다. 이들 에너지 파의 일부는 감지할 수 있지만 대부분은 인간의 오감으로 느 ... ...
하나가 천이 되는 씨앗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완전히 살아가는 방법을 바꾸어야만 하는 것이다. 특히 과학
문명
의 혜택을 많이 받는
문명
국에 사는 사람일수록 살아가는 방법을 더 많이 바꾸어야 한다. 가난한 아프리카 사람들은 지구가 원래 가졌던 자연의 모습에 더 가깝기 때문이다.수십년 동안 주어지는 대로 누리고 쓰고 버리는데 익숙해져 ... ...
'교사 목소리 담긴 정책이 아쉽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강해지고 있습니다. 오늘날 대다수 한국인들이 눈뜬 후 부터 잠들 때까지 온갖 첨단과학
문명
의 이기를 이용해 생활을 지탱하고 있지만 흑백 TV를 보던 20년전이나 오늘에나 '과학대중화'는 변함없이 요원한 과제로 남아있다는 얘깁니다. 우리는 '과학'을 어디서 어떻게 만났습니까? 컴퓨터 자동차 TV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