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료
데이타
정보
data
인포메이션
은행
d라이브러리
"
데이터
"(으)로 총 3,45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딥 러닝으로 엘니뇨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기계학습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시험했다.기계학습 알고리즘이 적용된 기후예측모델은
데이터
를 입력한 시점으로부터 최대 1년 반 뒤의 엘니뇨 상황을 비교적 정확히 예측해냈다. 최대 1년 후를 내다 보는 데 그쳤던 기존 예측기법 보다 성능이 50%가량 향상됐다.엘니뇨가 중부 태평양과 동부 태평양 ... ...
리그 오브 레전드 만드는 챔피언은 수학!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플레이어의 성향이 바뀌었는지 등 논리적으로 원인을 찾은 뒤 그 원인과 관련된
데이터
를 수집하죠. 그리고 여러 원인이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수로 나타내서 어떤 문제를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지 결정합니다.대학교에서 코딩을 전공하는 학생들은 ‘논리적인 사고’를 배우려고 대수학을 ... ...
블랙홀 어떻게 찍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연구팀은 슈퍼컴퓨터로
데이터
에 들 어있는 여러 오류를 제거하고 하나로 합쳤어요. 이
데이터
를 이미지로 만든 후, 만든 이미지가 믿을 만한지 검증하는 실험이 이어졌죠. 1년 가까운 실험 끝에 블랙홀 관측 결과가 최종적으로 발표되었 답니다. 우리가 본 한 장의 사진은, 실은 10년 동안 이어진 ... ...
블랙홀을 찾아낸 사람들에게 묻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잘 보이는 천체라 실제로 남극점에서는 보기가 힘들어요. 그렇지만 남극점 망원경은
데이터
처리나 자료 분석에서 도움을 주었고, 지금은 우리 은하 중심의 블랙홀을 관측 중이지요. 독자 문소윤(haha0104)의 질문 Q 남극에서의 특별한 에피소드가 있었다면 들려주세요!남극점 망원경은 쉽게 갈 수 ... ...
[에디터노트] 과학에서 머리카락이란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논문을 2016년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발표했다. 하지만 2017년 처음 관측된 중력파
데이터
를 분석한 결과 블랙홀은 ‘no-hair’인 것으로 최근 확인됐다. 일단은 호킹 박사가 틀린 것이다.적어도 과학에서는 머리카락이 첨단 법유전학의 시료이자 우주에 대한 인류의 원초적인 궁금증에 대한 답을 ... ...
법률 자문 놓고 첫 대결 AI 변호사 vs. 인간 변호사 진검승부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있을까. 임 대표는 “현재 개발된 AI는 스스로 생각하는 강한 인공지능이 아니고 입력된
데이터
를 분석하고 판단하는 약한 인공지능인 만큼 인간 변호사를 완전히 대체하는 건 불가능하다”며 “특히 법률의 경우 종합추론이 필요한 만큼 인간을 대체하기가 더욱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는 ... ...
5G 시대
데이터
간섭 해결할 기지국 협력 전송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확인하기 어렵다. 또 여러 개의 안테나를 활용해 사용자가 있는 위치에만 강한 세기로
데이터
를 전송하면 다른 지역에 있는 도청자에게는 정보가 온전하게 전송되지 못하도록 막을 수 있다. doi: 10.1109/TWC.2019.2906177이 교수는 “5G 통신을 폭넓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아직 해결해야 할 일이 많다”며 ... ...
[수학뉴스] 50년 전과 지금, 음악 시장은 수학적으로 다르다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이론물리연구소의 클라우디우스 그로스 교수팀은 지난 50년 간 4개 국가의 음악 차트
데이터
를 통계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1990년대에 들어 상위권에 오른 앨범의 수가 2~3배 증가해 차트가 보다 다양해진 것을 발견했습니다. 또 1960~80년대는 앨범 발매 후 상위권에 오르는 데 4~6주가 필요했지만 ... ...
[과학뉴스] 외계 행성에서 수증기 존재 가능성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암석 행성 또는 얼음 행성인 것으로 추정된다.연구팀은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얻은 분광
데이터
를 이용해 K2-18b의 대기 조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K2-18b의 대기에 수증기가 존재하며, 행성 표면에 많은 양의 수소가 분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연구를 주도한 앙겔로스 트시아라스 UCL 물리학및천문학부 ... ...
인공지능은 인간지능을 넘어섰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양의 한국어
데이터
를 학습한 셈이다.학습 과정은 다음과 같다. 코버트에 입력할 전체
데이터
의 15%에 해당하는 부분을 빈칸으로 만든다. 그리고 코버트에게 빈칸을 채우게 한 뒤 정답과 비교해 정답만 학습하게 한다. 특정 문장에서 일부 단어를 지우고 빈칸으로 만든 뒤 빈칸에 들어갈 단어를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