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등급
과정
경로
등위
서열
스텝
d라이브러리
"
단계
"(으)로 총 4,809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석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수 있어 과학자들의 흥미로운 연구대상이랍니다.# 공룡 위석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
예요. 그래서 일부에서는 위석의 개수가 먹는 음식물 양에 비해 너무 적다는 이유로 위석이 소화와 관련 없다고 주장하기도 하지요. 과연 위석은 어떤 역할을 했을까요? 앞으로 밝혀질 새로운 연구 결과를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는 “아직 개발 초기
단계
이지만, 이를 개발자들에게 공개함으로써 빨리 상용화 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IBM은 현재 시스템을 유지하면서 수년 안에 50큐비트 양자컴퓨터를 개발할 계획이다. 개발에 성공하면 유료화 전환을 ... ...
[Origin] 미라가 알려주는 조선 양반 사망 사건의 전말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그래서 미라가 주로 발견되는 조선시대 중기(16~18세기) 조선시대 복식사는 사실상 완성
단계
다. 국내에서 발견되는 미라는 특히 의학 연구용으로 가치가 높다. 고대 이집트 미라는 수천 년 전에 만들어져 문화적인 가치는 훨씬 높지만 인위적으로 방부 처리를 했다는 한계가 있다. 시신이 썩지 않게 ... ...
Part 4. 산불 이후 숲은 어떻게 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천이’가 일어나요. 산불이 발생한 지 20여 년이 흐른 지금, 고성 피해 지역은 마지막
단계
인 음수림이 형성되고 있죠.겉으로 볼 때는 짧은 시간 안에 산림이 모두 회복된 것만 같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아직 갈 길이 멀어요. 현재 산불지에서 자란 소나무의 키는 산불이 나기 전과 비교해 40~70% ... ...
[과학뉴스] 지진 규모 예측할 단서 찾았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향후 일어날 지진의 최소 규모를 예측할 수 있다고 밝혔다. 가령 지진이 점점 커지는
단계
에서 이미 모멘트 규모 7.2에 도달하면 최소한 모멘트 규모 7.4 이상으로 커진다는 것이다. 지진 규모에서 0.2는 지진 에너지가 약 2배 차이난다는 뜻으로, 지진 피해도 그만큼 커질 수 있다. 연구팀은 “이번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2011년 비용 문제로 기술 개발이 중단됐으나, 최근 미사일방어국(MDA)이 ICBM을 초기 발사
단계
에서 요격할 수 있는 고에너지 레이저 발사체계 탑재 무인기를 개발하기로 하면서 연구가 재개됐다. 2023년을 목표로 30분 동안 280kW의 출력을 유지할 수 있는 레이저 무기를 개발할 계획이다. 광섬유로 크기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세계여행 가장 싸게 하는 이동 경로는? 외판원 문제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미국 클레이연구소가 뽑은 7대 난제 중에 ‘P=NP’라는 추측이 있습니다. P는 정해진
단계
안에 풀리는 문제, NP는 문제의 풀이 과정을 보고 그 문제의 답이 옳은지 특정 횟수 안에 확인할 수 있는 문제를 말합니다. 그 중에서도 NP-완전은 NP 문제중에서 이 문제를 풀면 다른 NP 문제를 모두 특정 횟수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마고의 최후?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마고에게 미리 알려줘서 대비시키는 것도 모두 계획한 일이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단계
가 바로 지금이었다. 하림이 직접 마고를 해킹하는 것.“하림아, 그러면 안 돼! 경비원에게 알린다. 최대한 빨리 컴퓨팅룸으로 올 것!”하림은 마고의 목소리를 무시하고 집중해서 엄마가 알려준 명령어를 ... ...
Part 3. 미세 플라스틱 사람에게 돌아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미세 플라스틱만 뱃속에 남아요.이렇게 먹이 사슬을 반복하다 보면 먹이사슬의 상위
단계
에 있는 큰 어류의 몸에는 점점 더 많은 미세 플라스틱이 쌓여요. 그리고 이런 어류를 먹는 사람은 고스란히 높은 농도의 미세 플라스틱을 먹게 되는 거랍니다.플라스틱이 바다에 가라앉는다고?일반적으로 ... ...
[과학뉴스] 생물인 듯 생물 아닌 ‘프랑켄슈타인’ 바이러스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몸속에서 이들의 유전자를 이용해야만 증식할 수 있지요. 그래서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
단계
로 보아왔답니다.그런데 최근 미국과 오스트리아 국제 공동 연구팀이 오스트리아에 있는 한 하수처리장에서 ‘클로스노이바이러스’라는 이름의 프랑켄슈타인 바이러스를 발견했어요. 이 바이러스의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