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감태
안개
수증기
해의
잡초
잡풀
d라이브러리
"
김
"(으)로 총 1,77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 여성 수학자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보장해 주는 교수인데, 종신교수가 되기 위한 심사는 매우 엄격하고 철저하다.
김
교수는 한국인 여성으로는 처음 MIT 종신교수로 임용됐다. 세계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로 꼽히는 ‘힐베르트의 23개 난제’중 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공을 세웠다 ... ...
수학으로 쏙쏙 밀어 넣는 포켓 당구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당구 선수로 성공하게 된 것은 뒤에서 변함없이 응원해주신 부모님 덕분이라고 밝혔다.
김
선수 아버지는 그녀의 장점을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제 생각엔 가영이가 천부적인 소질을 타고난 것 같진 않아요. 하지만 감각은 남달랐죠. 아마 학업을 병행하지 않았더라면 좀 더 빨리 세계 1위 자리에 ... ...
[수학으로 영화 보기] 외계인과 몬스터는 지구에서 셈하기 답답해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이름을 끊임없이 만들었을까? 그랬다면 우리는 “가만, 이 숫자 이름이 뭐였더라….
김
수한무 거북이와 두루미…. 아! 모르겠다~”를 외쳤을 것이며 숫자 이름을 기억하는 데만 평생을 바쳐야 했을지도 모를일이다.그렇다면 어떻게 그 많은 수를 셀 수 있었을까? 슬로바키아 베스트니츠에서 발견된 ... ...
전통으로 빚어내는 꿀맛! 한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동안 한과를 만들고, 그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한가원을 세우는 등 다양한 노력을 해 온
김
규흔 관장님께서 한과에 대해 좀 더 자세한 이야기를 들려주셨어.
김
규 흔 (한가원 관장, 한과 명인): 유과를 직접 만들어 본 소감이 어떤가요?하얀 튀밥 유과만 알았는데, 호박이나 치자로 노랗게 만들 수도 ... ...
올 여름엔
김
떡과 아이스떡볶이 맛볼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빚어 놓은 것 같은 생
김
새 때문에 정말 맛있을지 의문이 들었다. 그런데 직접 먹어 보니
김
밥과 비슷한 맛과 쫄깃함에 빠져버렸다.‘굳지 않는 현미 떡’도 탄생했다. 쌀겨와 씨눈을 벗겨낸 멥쌀과 달리 현미는 왕겨만 벗겨내 영양가가 높다. 지금까지는 현미로 만든 떡이 거칠어 선호도가 낮았다. 한 ... ...
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디지털 자료 속에는 사람들의 웹 속 행적인 ‘디지털 로그’가 고스란히 남아 있다.
김
승환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는 “특히 소셜네트워크서비스는 거대한 가상 실험실”이라고 말했다. 데이터 과학자들이 인터넷 속의 데이터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다.미래를 예측하는 일은 아직 꿈 같은 얘기다.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1초) 뒤 수소 원자에 잡혀 빛을 낸다. 이 빛을 광센서로 관측해 중성미자를 검출한다.
김
수봉 교수는 “원리는 50년 전과 비슷하지만 섬광액체가 예전보다 화학적 특성이 좋아졌으며 개선된 광센서를 이용해 기존의 검출기보다 감도가 좋다”고 레노의 차이점을 설명했다. 광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 ...
한국 우주 전파 관측망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수 있다.19개의 전파망원경이 수신하는 신호를 통합 처리하는 센터는 대전에 들어선다.
김
그룹장은 “한반도가 지리적으로 중심에 있을 뿐만 아니라 세계 최고 성능의 상관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19개 전파망원경이 수신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상관기는 일본과 ... ...
Part 3. 백신 접종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이번 시즌 1600만 명이 신종플루백신을 접종했기 때문에 크게 번질 가능성은 낮다. 다만
김
교수는 “병원을 찾는 신종플루 환자 대다수는 백신을 맞지 않은 사람들”이라며 “다만 백신의 항체 생성률이 80% 수준이기 때문에 백신을 맞았어도 신종플루에 걸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한편 ... ...
Part 3. 확률과 전략이 절묘할 때 승리하는 윷놀이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신라가 막판 대역전극을 펼쳐 삼국을 통일하며 끝난다. 하지만 당나라의 소정방이
김
유신과 맺은 밀약보다 더 많은 영토를 요구하면서 당나라와 신라는 나중에 전쟁에 돌입한다.전문가들은 윷놀이가 재미있는 수학적인 이유를 단순하면서도 승부를 예측하기 어려운 변수가 많다는 점을 꼽는다.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