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능"(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스마트폰이 불면의 원인? ‘꿀잠’의 비밀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단계와 질을 더욱 정확하게 측정하는 ‘수면다원검사’도 받았다. 수면다원검사에는 뇌기능 상태를 알 수 있는 뇌파 검사(EEG), 근육 상태를 알 수 있는 근전도 검사(EMG), 안구의 움직임을 보는 안전도 검사(EOG)가 포함됐다. 검사 결과 만데나 사람들은 미국이나 이탈리아 사람들에 비해 깊은 수면 ... ...
- [Culture] ‘23아이덴티티’ 속 다중인격장애의 심리학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편람(DSM-5)에서는 해리성 정체감 장애진단 요건에 ‘신체의 운동기능 변화’라는 말이 포함됐다.하지만 김상욱 대한정신건강의학과의사회 이사(정신과 전문의)는 “신체변화는 충분히 가능한 얘기지만, 총알도 뚫을 수 없는 헐크 같은 극적인 변화는 영화적인 요소로 ... ...
- Bridge. ‘물질 디자이너’ 꿈꾸는 양자물질 헌터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소프트웨어(SW)를 직접 개발해서 쓰고 있다. 기존 SW는 위상수학적인 요소를 계산하는 기능은 없었는데, 지난 10여 년 동안 그 SW를 보완해서 위상수학적인 계산을 할 수 있게 했다. 직접 코딩도 한다.이제 양자물질 예측에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도입하려고 한다. 수백만 종류의 물질에서 특정 물질을 ... ...
- 앱 만드는 선생님 나훈희 교사수학동아 l2017년 04호
- 강의를 들으며 해결했다.“2014년 2월에 처음 제작한 앱을 플레이스토어에 등록했는데 기능이 단순하고 초라해서 인기가 없었어요. 점점 실력이 늘어 앱을 발전시키다 보니 지금은 꽤 인기가 많아요. 동료 교사들도 수업에 활용하고 집에서 이 앱을 이용해 아이들을 가르치는 학부모도 있더라고요. ... ...
- [Issue] ‘괴물쥐’ 뉴트리아가 웅담 왕?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기름을 화상 치료에 사용해왔거든요. 실제로 경상대 연구팀은 뉴트리아 지방조직에서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쓰일 수 있는 팔미틴산 성분을 검출해냈습니다. 하지만 그 전에, 뉴트리아는 모피용, 그리고 식용입니다. 1980~1990년대에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온 것도 이런 목적이었죠. 맛칼럼니스트 황교익 ... ...
- Part 1. 힘들 때마다 나만의 ‘노동요’를 찾아 듣는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자극을 받을 때와 동일한 원리로 좋아하는 음악을 들을 때 기분이 좋아진다는 뜻이다.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시간에 따른 변화도 관측했다. 그 결과, 좋아하는 곡의 특히 좋아하는 부분이 나오기 전까지는 줄무늬체 중에서도 꼬리핵에서 도파민이 나왔다. 꼬리핵은 ‘연인들의 뇌’라는 ... ...
- [Issue] 두리안 ‘ X냄새’가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설명했습니다(DOI:10.1073/pnas.1613910113). +더 읽을거리김영석 외 ‘생각이 필요한 식품기능성론’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 ‘빛깔 좋은 딸기가 몸에도 좋다’ (2004.4)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0404N040‘과학으로 먹는 맛있는 과일’ (2012. ...
- 뇌 속 내비게이션의 길 찾기 전략 4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부족하다. 어떻게 그곳에 도달할지 방법을 모르기 때문이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기능커넥토믹스연구단 세바스찬 로얄 책임연구원은 e메일 인터뷰에서 “그곳까지 가려면 어떤 방향으로 몇 걸음을 가야할지, 얼마나 빠르게 움직여야 할지 등을 알고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다행히 공간 ... ...
- Part 2. 태초의 음악은 어떤 꼴이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아이에게 애정을 표현하는 형태로 자장가가 발달 했다고 주장했다.현대에 와서 음악의 기능을 극대화하는 시도로 음악치료가 생겼다.사진은 미국 상이군인들의 음악치료 장면. 자장가는 다양한 문화에서 나타나는 보편적인 현상인데, 대개 리듬이 아이가 잠을 자는 요람의 흔들림을 닮았다. 그리고 ... ...
- [과학뉴스] ‘마이크로 물방울’로 엽록소 반응 관찰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있는 마그네슘 이온이 수소 이온으로 교체되는 반응이다. 엽록소는 산화되면 광합성 기능을 잃는데, 탈금속반응은 엽록소의 산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연구팀은 염산을 포함한 물방울과 엽록소를 포함한 물방울을 빠른 속도로 충돌시켜 약 10μm 크기의 융합 물방울을 만들고, 엽록소가 염산 속 ... ...
이전939495969798991001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