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글자"(으)로 총 1,090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항서 철강기술 국제학술회의 열려과학동아 l1990년 11호
- 및 신주조기술'(New Smelting Reduction and Near Net Shape Casting Technology for Steel)로, 영문 머리글자를 따서 SRNC-90으로 약칭됐다. 용융환원 제철법이란 현재 이용되고 있는 고로(高爐)에서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소결(燒結) 및 석탄의 코크스화 공정을 생략한 제철법으로 철광석과 석탄을 ...
- 제작술보다 한발 앞선 보존술과학동아 l1990년 11호
- 번호가 새겨져 있다.그러나 경판들 중에는 판본 및 판면의 가로·세로 길이와 행수 자수 글자의 크기들이 꼭 같지 않은 것들도 있다. 또 윤곽과 괘선이 있는 것, 한면만 조각한 것도 있다. 16년이라는 장기간 동안 제작하면서 때에 따라 제작기법이 조금씩 달라졌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판목의 ... ...
- 키보드없는 컴퓨터과학동아 l1990년 11호
- 있다. 이런 상황에서 팜톱컴퓨터를 실용화하기 위해 공학자들은 3천5백35자의 서로 다른 글자들을 인식하도록 고안해내야 했던 것이다.그렇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문자를 기록하는데 그다지 귀찮아하지 않는다. 그 점이 다른 언어에서 팜톱컴퓨터가 인기없는 이유이다. 일본에서도 모든 사람들이 ... ...
- 양자중력이론으로 우주의 실체에 접근과학동아 l1990년 10호
- 명령어들과 문장부호들, 알파벳으로 구성돼 있다. 그 중의 한 알파벳을 선택하면 그 글자로 시작되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어가 화면에 나온다. 하반부에는 영어에서 가장 많이 쓰는 36개의 단어를 나열해서 쓰도록 하는데 이는 영어회화의 40%에 해당한다고 한다. 여기서 어떤 명령을 원하거나, 어떤 ... ...
- 특수문자처리와 모양내기과학동아 l1990년 10호
- 지정한다.⑥ '-완료-'를 선택한다.예를 들어 보자. 문서 전체에서 그림자 속성을 가진 글자들에게 밑줄 속성도 부여하고 싶다고 하자. 이때는 문서 전체를 블럭으로 만든 다음 〈Alt+L〉키를 누르고 밑줄 속성만을 선택한다. 그리고 '-찾기-'를 선택하여 그림자 속성만을 선택한다. 이제 '-완료-'를 ... ...
- 첨단 기술과 예술의 접목과학동아 l1990년 10호
- 동물을 의인화한 것도 있고 어떠한 물체를 의인화하여 살아있는 것의 마크나 회사명칭의 글자체인 로고를 캐릭터로 삼아서 동작에 변화를 주어 눈에 잘 띄도록 화면에 표현하기도 했다.지난해까지 미국 시그래프(컴퓨터그래픽전시회)에 15년 동안 출품된 작품 중에는 인물 중심의 애니메이션 작품이 ... ...
- 한글편집의 모든 것과학동아 l1990년 09호
- 첫글자가 같은 상용구가 등록 되면 전의 상용구는 취소되므로 주의를 요한다. 만약 첫글자가 같은 상용구를 여럿 등록하려면 상용구 앞에 번호를 붙여 구분시키는 것이 요령이다.등록된 상용구를 보려면 〈Ctrl+F3〉키를 누르면 된다. 이때 〈그림6〉과 같이 모든 상용구가 나타나므로 상하 화살표 ... ...
-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을 만들다과학동아 l1990년 09호
- 인쇄한 '권학문'(勸學文)의 발문에는, "공장(工匠)에게 명해 한자씩 따로 새겨 조판, 글자를 찍어내게 했다. 이 방법은 조선에서 온 것인데, 조금도 불편이 없다"고 기록돼 있다.그 후 일본에서는 조선의 글씨체까지 모방, 활자인쇄를 해 나갔을 정도로 조선의 인쇄기술에 완전히 매료되고 말았다 ... ...
-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을 파헤친다과학동아 l1990년 08호
- , 즉 왕립인쇄공장은 2개월 만에 20여만자(字)의 새 청동활자 갑인자를 만들어냈다. 글자의 크기는 1.4㎠ 대자(大字)로 계미자와 같은 치수였다. 그리고 반엽(半葉)에 괘선이 10줄, 한줄에 17자가 꼭 들어맞는 활판이 만들어졌다.그것은 "자체(字體)가 정명(正明)하고 인쇄하기가 쉽게 되어 있어 하루에 ... ...
- 잃어버린 구석기 역사를 복원한다과학동아 l1990년 08호
- 안팎 양쪽에 새긴 여러 선은 곧고 깊은 것, 뱀모양처럼 좁게 한 것 서로 연결시켜 보면 글자모양 비슷한 것 등 세가지가 있는데, 이렇게 새겨진 줄들은 전체적으로 어떤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것은 동관진의 구석기문화를 이룩한 당시 사람들의 사유(思惟)형태로 이해되며 우리 ... ...
이전939495969798991001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