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으)로 총 1,28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을 잘하는 방법과학동아 l2000년 03호
- 으로 전환하자.③수학문제의 해결과정문제이해→해결계획→계획실행→반성●문제이해"구하고자하는 것은 무엇인가?" "제공된 정보나 자료는 무엇인가?"와 같은 질문에 답해야한다.●해결계획식 세우기,그림 그리기,표 만들기,규칙성 찾기,목록 만들기,논리적 추론,거꾸로 풀기,예상과 확인,가르기 ... ...
- 산가지 계산법과학동아 l2000년 03호
- 아니었다는 것이 밝혀진 것이다. 더욱이 우리 조상들은 산가지만 가지고 세제곱근을 구할 수 있었고, 4차방정식도 풀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수학지식이 바탕이 돼 빛나는 문화적 성취를 이룩할 수 있었다.칠정산도 산가지로 계산조선 세종 때의 역법인 ‘칠정산’에는 천체운행을 계산하기 위해 ... ...
- 달까지 거리는 얼마인가과학동아 l2000년 03호
- 망원경을 써서 아주 작은 각도까지 어림할 수 있다면 달의 크기뿐만 아니라 지구와의 거리가 발표된 혜성 코마(중심핵)의 지름이나 성운,성단 등의 지름도 잴 수 있다.해보기② 북극성은 진북이 아니다북극성은 하늘의 북극에 가까이 있지만 실제로 진북은 아니다.때문에 우리는 잘 감지하지 못할 뿐 ... ...
- 양쪽 콧구멍 냄새 감각 서로 달라과학동아 l2000년 02호
- 미국 어빈 캘리포니아 대학(University of California at Irvine)의 래리 커힐 박사 연구팀은 냄새를 어느쪽 콧구멍으로 맡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 ... 것에 따라 달라진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곧 뇌의 이미지 촬영을 통해 뇌의 양쪽 반구가 똑같은 냄새에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도 밝 ...
- 축구공과 지오데식돔과학동아 l2000년 02호
- 될 수 있는데, 리처드 풀러는 뉴욕시의 일부를 덮을 수도 있는 지름이 3 km에 달하는 반구 형태의 지오데식 돔을 만들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눈과 비도 피할 수 있고, 햇빛과 공기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지오데식 돔을 말이다.리처드 벅민스터 풀러의 이런 제안은 실현되지 않았지만, 그의 ... ...
- 지구는 얼마나 클까?과학동아 l2000년 02호
- 구한다. 그리고 다음 식에 두 지점 사이 거리를 대입하면 지구 전체 둘레가 구해진다.지구전체의 둘레 = (360×두 지점의 거리) / (두 지점의 남중고도 차이 ... ...
- 완벽한 대칭미 갖춘 '최후의 만찬'과학동아 l2000년 01호
- 환영(illusion)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화가가 의문을 갖고 탐구하는 것은 물리적 세계로서의 자연이 아니라 우리들이 반응하는 것으로서의 자연이란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화가는 원인에 대해 관심을 갖는 것이 아니라 어떤 효과의 메커니즘에 관심을 쏟는다. ... ...
- 날카로운 불은 정사면체, 안정된 흙은 정육면체과학동아 l2000년 01호
- 금성의 궤도가 놓여 있는 구면에 내접한 정팔면체에는 그 위에 수성의 궤도가 놓여 있는 구면이 내접한다. 케플러는 이 ‘놀라운’ 발견을 설명하기 위해 그린 그림을 1596년에 출판한 책 ‘신비의 우주’에 실었다. 플라톤과 케플러와 같은 과학자가 이런 괴짜 이론을 주장했다는 사실은 믿기 ... ...
- 용, 아홉가지 동물의 키메라과학동아 l2000년 01호
- 했던 불완전한 존재였다. 그러나 우리에게 용은 정의의 수호자요, 행운의 전령사다. 고구려 벽화의 사신도에서 용은 동방의 수호자이다. 서방에는 백호, 남방에는 주작, 북방에는 현무가 각각을 맡아 지키고 있다. 그리고 이 청룡은 하늘의 별자리가 돼 우리 민족을 수호하고 있다. 우리나라 전통 ... ...
- 1월 1일 0시의 자오선 찾기과학동아 l2000년 01호
- 통과는 항상 5월과 11월에 일어나는데 지난 93년 11월 6일에 일어난 것은 우리나라에서는 구름이 짙게 끼어 볼 수 없었고, 99년 11월 15일의 현상은 해가 뜨기 전에 일어나 볼 수 없었다. 2003년 5월 7일에 수성은 오후 2시 11.6분에 태양의 북쪽면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고도가 높아 관찰하기가 쉽다수성에 ... ...
이전939495969798991001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