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값"(으)로 총 3,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백투더퓨처 2015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빠르면 양력과 항력이 동시에 모두 커진다. 항공공학자들은 양력을 항력으로 나눈 값인 ‘양항비’로 비행기가 힘을 얼마나 내야 날 수 있는지 계산한다. 예를 들어 어떤 비행기가 무게가 1톤, 양항비가 10이라면 엔진은 100kg 정도의 추력만 내면 뜰 수 있다.집 앞에서 바로 날아올라 목적지에 ...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2 똑똑한 드론의 임무 수행기!수학동아 l2015년 10호
- 하는 수학적 기법입니다. 예를 들어 0이 기준일 때 오차가 -a와 +b로 발생했다면, (-a)2+b2값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겁니다. 날다가 달리고, 달리다가 날고크고 작은 빌딩과 전봇대, 현수막 등이 시야를 가릴 때는 오히려 하늘을 나는 것보다 땅 위를 달려서 이동하는 게 나을 수도 있습니다. 또 어떤 ... ...
- 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다가가는데, 그 차이가 우리가 원하는 만큼 작아질 때 그 고정된 값을 다른 모든 값들의 극한이라고 부른다”고 정의했다.이로써 무한소는 ‘그 양의 극한이 0일 따름’이라는 뜻이 됐다. 무한소라는 모호한 개념 위에 있던 미적분을 극한 개념을 통해 일반화, 합리화한 것이다. 코시는 오늘날 ... ...
- Part 3. 적분은 미분의 반대가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경우가 많았다”며 “전체 측도가 1인 확률함수가 정의되고 르베그 적분으로 기댓값이 정의되면서 확률론이 획기적으로 발달했다”고 설명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일상을 지배하는 미적분의 재발견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Part 3. ... ...
- [Life & Tech] 눈의 여왕은 과연 몇 ℃일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정해야 한다. 양 연구원은 “2년 전연구를 주도하고 있던 프랑스와 영국팀이 각각 측정한 값이 100만분의 3 크기로 서로 달라 문제가 됐다”며 “우리 연구팀이 영국팀에 오류가 있다는 것을 찾아내 바로잡았다”며 기술력을 뽐냈다.“그동안 온도는 다른 단위와 멀리 떨어져 있는 외딴섬과 같았어요. ... ...
- [Knowledge] 전자 세상에서 가장 작은 보석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고려해 기름방울의 전하량을 측정했다. 기름방울 여럿의 전하량을 재보면 항상 어떤 값의 정수배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밀리컨은 이를 통해 전자의 기본 전하량 e를 계산해냈다.필자는 밀리컨의 실험도 따라 해봤다. 눈에 보이는 그 많은 기름방울 중 하나의 속도를 재는 일은 정말 어려웠다. ...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9호
-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해도는 항해용으로 만들어져 물이 가장 빠졌을 때의 수심 값이 실린다는 것이 특징이다. 배가 항상 안전하게 지나갈 수 있는지를 알려주기 위해서다.요즘은 항해도 상당 부분 자동화됐다. 자동항해기능 프로그램은 좌표를 기준으로 항로를 인식한다. 그래서 배가 미리 계획한 ... ...
- [생활] 페이 경쟁 생체인증이 대세수학동아 l2015년 09호
- 512자리 등 훨씬 더 큰 수를 사용한다. 여기서 나누는 수를 정해놓지 않고 무작위로 만든 값을 사용하면 훨씬 더 복잡한 암호화가 가능하다. 그래서 사용자가 생체정보를 스캔할 때마다 시스템은 매번 같은 알고리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저장된 해시와 비교한다. 두 개 이상의 조합이 안전두 가지 ... ...
- [참여] 게임카페 1기, 두 번째 수업 오늘은 나도 컴퓨터 게임 개발자!수학동아 l2015년 09호
- 걸 볼 수 있어요. 0, 90, 180, 270은 각각 오른쪽, 위쪽, 왼쪽, 아래쪽을 가리키는 각도 값이기 때문이에요.학생들은 블록 캐릭터가 화면 아래쪽에서 왔다 갔다 하고, 화면을 클릭한 곳에서는 또 다른 블록 캐릭터들이 밑으로 쏟아지는 게임을 만들었어요.“이제 이 게임에 스토리를 입혀볼까요?”게임에 ... ...
- 수학은 죄가 없다 수학 교실을 재밌게!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여기서 우리나라가 늦게 배우는 항목 수와 비교 대상 국가에만 있는 항목 수를 뺀 값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한 것이다. 이는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소단원 항목을 기준으로 비교 대상 국가의 교육과정에 이 소단원이 있는지, 있다면 몇 학년에 등장하는지를 알아본 수치다. 국가마다 ... ...
이전939495969798991001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