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격
요금
금액
대가
시세
삯
임금
d라이브러리
"
값
"(으)로 총 3,05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물거품은 매듭을 알고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지점의 개수다.지금은 엇갈림수가 16 이하인 모든 매듭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불변량
값
이 같다고 해서 모두 같은 매듭인 건 아니다. 매듭을 거울에 비췄을 때 나타나는 매듭을 생각해 보면 된다. 클로버를 닮은 세잎매듭을 거울에 비췄을 때 나타나는 매듭은 세잎매듭과 같이 엇갈림수가 3이다. ... ...
Part 3. 벽과 바닥에 숨은 난제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있는 타일의 모양은 열다섯보다 많다. 예를 들어, 여섯 번째 볼록 오각형은 다섯 각의
값
을 바꾸면 위 그림처럼 나비의 날개를 닮은 오각형으로 바꿀 수 있다. 하지만 열네 번째 오각형처럼 모든 각의 크기와 모든 변의 비율이 정해져 있는 경우도 있다. 오각형의 모양이 딱 한 가지이므로 이 도형을 ... ...
[생활] 고흐의 진짜 해바라기를 찾아라! 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해니 파리드 교수팀은 그림 속 사물과 사물, 붓칠과 붓칠 간의 거리 등 여러 가지
값
을 가지고 수학모형을 만들었어. 연구팀은 네덜란드 화가 피테르 브뢰헬이 그린 그림에 이 수학모형을 적용했어. 그 결과는 정육면체 안의 점으로 나타났어. 그림 한 점에 그려진 사람과 사물을 한 사람이 모두 ... ...
[Hot Issue] 통계물리학 실험실에서 찾은 더 지니어스 생존법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그런데 조건이 하나 있다. 주최 측에서 사람들이 고른 숫자 평균의 3분의 2에 가장 근접한
값
을 고른 사람에게 상금을 주기로 한것이다. 조건이 없이 충분한 수의 사람이 투표에 참여한다면 평균은 결국 50에 수렴할 것이다. 이것을 근거로 50의 3분의 2인 33을 선택해야 할까. 아니면 33까지는 다른 ... ...
[Life & Tech] 눈의 여왕은 과연 몇 ℃일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정해야 한다. 양 연구원은 “2년 전연구를 주도하고 있던 프랑스와 영국팀이 각각 측정한
값
이 100만분의 3 크기로 서로 달라 문제가 됐다”며 “우리 연구팀이 영국팀에 오류가 있다는 것을 찾아내 바로잡았다”며 기술력을 뽐냈다.“그동안 온도는 다른 단위와 멀리 떨어져 있는 외딴섬과 같았어요. ... ...
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다가가는데, 그 차이가 우리가 원하는 만큼 작아질 때 그 고정된
값
을 다른 모든
값
들의 극한이라고 부른다”고 정의했다.이로써 무한소는 ‘그 양의 극한이 0일 따름’이라는 뜻이 됐다. 무한소라는 모호한 개념 위에 있던 미적분을 극한 개념을 통해 일반화, 합리화한 것이다. 코시는 오늘날 ... ...
Part 3. 적분은 미분의 반대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경우가 많았다”며 “전체 측도가 1인 확률함수가 정의되고 르베그 적분으로 기댓
값
이 정의되면서 확률론이 획기적으로 발달했다”고 설명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일상을 지배하는 미적분의 재발견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Part 3. ... ...
[Knowledge] 전자 세상에서 가장 작은 보석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고려해 기름방울의 전하량을 측정했다. 기름방울 여럿의 전하량을 재보면 항상 어떤
값
의 정수배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밀리컨은 이를 통해 전자의 기본 전하량 e를 계산해냈다.필자는 밀리컨의 실험도 따라 해봤다. 눈에 보이는 그 많은 기름방울 중 하나의 속도를 재는 일은 정말 어려웠다.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됐답니다. 1 변신 “플라스틱이 이렇게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은 이유는 가볍고
값
이 싸고 어떠한 모양으로도 만들기 쉽기 때문이야. 하지만 단점도 있지. 불에 잘 타고 흠집이 나기 쉬워. 게다가 잘 썩지 않기 때문에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기도 하지. 지금 우리처럼 말야. 그래서 과학자들은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해도는 항해용으로 만들어져 물이 가장 빠졌을 때의 수심
값
이 실린다는 것이 특징이다. 배가 항상 안전하게 지나갈 수 있는지를 알려주기 위해서다.요즘은 항해도 상당 부분 자동화됐다. 자동항해기능 프로그램은 좌표를 기준으로 항로를 인식한다. 그래서 배가 미리 계획한 ... ...
이전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