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님
까까중
승려
사주
사승
d라이브러리
"
중
"(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학 입학 수학 시험, 그림으로 풀다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이야기 하나 해 줄까? 나에게 처음 수학을 만나게 해준 삼촌이 바로 그 논리와 형식을
중
시하는 정통 수학의 선두주자였다네. 허허.난 정통 수학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미국으로 향했어. 자유로운 연구를 위해 선택한 미국 IBM 연구소에서 일하던 시절의 이야기도 들려주지. 나는 IBM의 순수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연월기를 성공시킬 거야. 미래는 분명히 셈법 같은 세상이 될 거라고. 누구나 똑같이 소
중
하고, 누구나 똑같이 나눠 갖는 세상일 거라고. 내 눈으로 꼭 그런 세상을 보고 말 테야.”정대섭 대감과의 일로 마음에 큰 상처를 입은 탓일까? 지오는 그날 이후 이틀이나 앓았다. 꿈인지 생시인지 모를 ... ...
눈송이 크리스마스 카드 만들기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이루어진 깎은 십사면체를 찾을 수 있다. 가운데 공을 제거하고 외접하는 12개의 공의
중
심을 연결하면 정삼각형 20개로 구성된 정이십면체를 발견할 수 있다. ◎미션◎앞에서 했던 실험을 소재로 재미있는 수학 이야기를 만들어 보세요.제 꿈은 디자이너입니다. 그래서 시간이 날 때마다 디자인 ... ...
기준에 맞춰 모여! 모두 집합!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1895년 독일의 수학자 게오르크 칸토어가 창시했습니다. 칸토어는 삼각함수를 연구하던
중
‘무한’이라는 개념이 필요해 직접 집합에 대한 이론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집합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연구를 지속할수록 많은 수학자는 칸토어의 이론이 완벽하지 않다고 주장했습니다. 결국 ... ...
마법의 빛이 이끈 새로운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바라본 플라스마 공학의 미래는 매우 밝다. 특히 우리나라는 전세계 핵융합 연구의
중
요한 기반 장치가 될 KSTAR를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최고의 반도체 기술력을 갖고 있다. 앞으로 더 많은 플라스마 관련 연구자의 탄생이 기다려지는 이유다. 과학기술에 대한 가슴떨림을 간직한 젊은이들이 더욱 ... ...
핵융합 및 플라스마 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반공정 설비에 관한 일을 할 수 있다. 취재 한마디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3학년에 재학
중
이다. 핵융합 플라스마는 영구적인 미래의 에너지원을 찾는 매력적인 학문이다. ... ...
통합적 추론 능력이 핵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핵결합에너지를 통해서 나타낼 수 있다. 핵결합에너지가 크다는 것은 그만큼 양성자와
중
성자의 인력이 강하고, 또 안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문제에 제시한 을 이용하면 철 원자핵이 핵결합에너지가 제일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철보다 질량수가 큰 핵(질량수가 200이상인 핵)들은 ... ...
생명과학의 불 밝힌 유영숙 박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한다. 그러다 보면 장애물을 넘어서 남들이 못했던 연구를 하게 된다. 호기심은 가장
중
요한 덕목이다”라고 했다. 유 박사는 청소년이 크고 멋진 꿈을 꾸기를 바란다는 소망을 내비췄다. 특히 여학생은 여성이기 때문에 살면서 어려운 문제에 닥칠테지만, 여성이기 전에 한 사람의 인간이라는 ... ...
인공지능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주고 ‘상대성 이론을 만든 사람은?’ 같은 간단한 질문에는 스스로 답변도 한다. 수업
중
에 교사를 한 명 더 데리고 있는 것 같다. [미국 IBM의 인공지능 슈퍼컴퓨터 ‘미스터 왓슨’이 퀴즈게임에 출전해 선전하고 있다. 2010년 현재도 인공지능은 특정분야에선 인간을 이길 만큼 발전했다. 2020년 ... ...
Intro. 2020 세상을 뒤흔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대체하는 바이오매스 연료 시대가 올 것이다.김상연 _ 과학동아 편집장과학기술의
중
심에는 인간이 있다. 미래 생활을 뒤바꿀 위대한 기술은 가장 뛰어난 기술이 아니라 가장 인간의 욕망을 잘 읽어낸 기술이다. 인간을 잘 이해하는 과학자가 앞으로 더욱 각광받을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 ...
이전
975
976
977
978
979
980
981
982
9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