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0.05초 만에 결정되는 첫인상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준 뒤 긍정적 뜻을 가진 단어와 부정적 뜻을 가진 단어를 가려내게 하는 실험을 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매력적인 얼굴을 본 뒤 긍정적인 단어를 인식하는 속도가 빨랐다.올슨 교수는 무의식적으로 제시됐던 매력적인 얼굴이 긍정적인 정보를 처리하는 뇌영역을 미리 준비상태로 만들어 놓았기 ... ...
탐사기획_제주도 람사르 습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맹꽁이 등이 서식했으나 최근 자취를 감춰 걱정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습지를 조사한
결과
가장 깊은 곳의 퇴적물의 깊이는 8m 이상이고 토양의 유기물 함량이 약 70% 정도라서 엄밀히 말하면 흙이 아니다.11월 4일 10:00전날 안개 낀 날씨처럼 시야가 흐려 걱정했지만 아침에 일어나보니 다행히 날씨가 ... ...
[인류학]호모 에렉투스 엉덩이 펑퍼짐했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처음으로 불을 사용했고 최초로 아프리카 대륙을 벗어난 인류의 조상 호모 에렉투스. 이들은 엉거주춤하게 두 발로 걸었던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는 달리 ... 뇌가 커진 아기를 낳기 위함이라는 가설이 더 설득력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번 연구
결과
는 ‘사이언스’ 11월 14일자에 실렸다 ... ...
[생태학]물고기 리더는 뚱뚱하고 몸 색깔 진해야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만들어 보여 준 뒤, 두 물고기가 각각 어디론가 가는 것처럼 보이게 했다.그
결과
큰가시고기 떼는 몸 길이가 짧고 날씬하며 몸 색깔이 흐릿한 물고기보다 몸 길이가 길고 뚱뚱하며 몸 색깔이 진한 물고기를 따라갔다. 즉 물고기들은 길고 뚱뚱한 물고기를 우두머리로 선택한 것이다.시드니대 애슐리 ... ...
[생태학]농게, 과시용으로 집게발 키운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시몬 라일백스 박사팀은 일부 농게가 적에게 과시용으로 집게발을 크게 만든다는 연구
결과
를 영국 생태학협회에서 11월에 발간한 ‘기능 생태학’지에 발표했다.농게는 한쪽 집게발이 다른 쪽 집게발보다 수십 배 큰데, 이 집게발로 적과 싸우거나 암컷을 유인한다.농게는 싸우다가 집게발이 ... ...
‘다이아몬드 손’ 가진 과학자 최희욱 교수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여러 편의 논문을 내야 성과로 인정받는 우리나라 풍토에 안주했다면 이처럼 획기적인
결과
를 내기는 어려웠을 것이다.“교수들이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있게 조건 없이 최소한의 연구비를 주는 시스템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면 지금처럼 진짜 의미 있는 일은 해보지도 못한 채 연구자로서의 ... ...
이공계 희망 쏘는 과학영재의 명문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1차 전형과 2차 전형의 성적을 합산해 40명을 선발하고, 나머지 인원은 최종 3차 전형의
결과
를 합산해 총 64명을 선발한다. 이강길 교무부장 교사는 “잠재력이 있는 학생을 선발하기 위해 내신성적의 비중이 높지 않은 편”이라며 “변별력을 강화하기 위해 문제 출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고 ... ...
[지구과학]탄소 순환 고리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용암은 내부 물질의 결합력이 높아 점성이 크고 유동성이 작은 성질을 지닌다. 그
결과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고 유동성이 크며 점성이 작은 현무암질 용암은 분출한 뒤 수평으로 퍼지는 형태를 보이고, 그 반대의 성질을 지닌 유문암질 용암은 수직으로 솟는 형태를 보인다 ... ...
따뜻한 마음은 머리 안에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호감이나 비호감 같은 정서적인 반응이 즉각적으로 나타나는 상황에서 뇌 영상을 찍은
결과
정서적 판단에 중요한 VMPFC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긍정상쇄나 부정편향처럼 인지적 처리가 작동하는 판단을 할 때는 DLPFC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재진 교수 >서울대 의대를 졸업한 뒤 ... ...
천상의 소리 대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없다.청은 소리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청이 울릴 때와 울리지 않을 때 진동수를 분석한
결과
청이 울릴 때 다양한 배음이 나타났다. 소리는 기본진동수의 파동과 그 파동의 정수배의 파동을 갖는 배음으로 이뤄진다. 이런 소리를 복합음이라고 하는데 귀에 들리는 소리 대부분은 복함음이다.예를 ... ...
이전
971
972
973
974
975
976
977
978
9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