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까마귀 지능, 침팬지와 막상막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복잡한 인지 능력이 있어야 가능한 행동을 한다. 이들은 먹이를 구하는데 도구를
이용
하고 끈을 발로 당겨 매달린 먹이를 먹고 놀이의 의미도 이해한다. 또 은닉한 먹이의 종류를 기억하고 동료간에 속임수를 쓰기도 한다 ... ...
자석 흔들어 소리 만든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연결된 전자석과 코일이 자기장에 변화를 미쳐 전기 신호가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
한다. 이 신호는 앰프에서 듣기 좋고 큰 소리로 바뀐다.일반기타의 원리줄을 튕겨 생긴 진동은 새들이라는 기타몸통에 연결된 부위로 전달된다. 새들에 전달된 진동은 다시 울림판을 울리고 거기서 생긴 울림이 몸통 ... ...
새 산맥지도, 분수계와 산맥을 혼동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않거나 방향이 틀린 ‘유령’산맥이 많으며, 수치고도자료를 바탕으로 GIS 기법을
이용
한 자신의 산맥이 대안인 것처럼 언론에 공표하고 있다. 심지어 기존의 한국 산맥 체계는 100여년전 일본 지리학자가 만든 것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고 주장한다.정말 그럴까. 결론부터 말하면 이번에 나온 새 ... ...
남극 하늘에 풍선 띄워 우주를 보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Ultra) 롱 듀레이션 풍선이 시험중에 있으며 올해 말에는 우리 프로젝트에 이 풍선을
이용
할 계획이다.크림 프로젝트가 진행중인 윌리엄 필드 입구에는 ‘프리 윌리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Welcome to Free Willy)라는 장난스러운 팻말이 박혀 있다. 그 건물은 ‘PIG bran’(Payload Integration Garage ba ...
줄기세포 치료의 열쇠는 분화 기술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몇몇 질환에서 임상시험 단계다. 그런데 대부분 정제가 덜돼 순도가 높지 않은 세포를
이용
하고 있어 증상이 호전된 경우에도 실제로 어느 세포가 관여했는지, 정말 줄기세포가 다른 세포로 분화된 것인지를 알기 힘든 경우가 많다. 심지어 증상 호전이 줄기세포에 의한 것인지, 자연적으로 나타난 ... ...
“대중 없이는 의학도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제공되고 있다. 연간 조회 건수만 5억여회, 한해 2500만명 이상이 이 서비스를
이용
해 최신 의학 연구정보를 얻고 있다.서비스를 관장하는 도서관 지하 컴퓨터실의 모니터는 ‘펍메드’의 인기를 잘 나타낸다. 기자가 방문한 동안에도 15초간 평균 클릭 회수만 4974회, 하루평균 541만7420건의 접속 회수를 ... ...
레우벤후크의 현미경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눈이 거의 붙을 정도로 가까워야 돼서 관찰이 매우 불편하다. 레우벤후크는 나사를
이용
해 시료를 움직이는 장치를 만들어서 초점을 쉽게 맞춤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했다. 이 장치는 간단하지만 현미경의 역사에서는 100년 후에나 다시 등장하는 어려운 기술이었다. 또 단순현미경은 렌즈가 ... ...
50나노급 반도체 신재료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말했다. 유전율은 전기가 통하는 정도다.연구팀은 공 모양의 나노 신소재(덴드리머)를
이용
해 지름 3nm인 공기 구멍이 균일하게 나 있는 박막을 만들어 유전율 1.6을 실현했다. 이 교수는 “이 유전박막은 안정성과 가공성이 뛰어나 50나노급 이하 차세대 반도체 생산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 ...
근육세포로 움직이는 1mm크기 초미니 로봇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살아 있는 쥐의 세포로 움직이는 초소형 로봇이 미국에서 개발됐다. 미국 LA 소재 캘리포니아대의 카를로 몬테마그노 교수팀은 크기가 1mm도 되지 않는 ... 결합을 할 수 있는 살아있는 세포들”이라고 말했다. 이 팀은 예전에 유전자 조작 단백질을
이용
해 회전식 나노모터를 개발한바 있다 ... ...
효소
이용
해 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대장균의 유전자를 조작함에 따라 발현되는 단백질의 패턴을 조사함으로써 단백질 칩을
이용
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 김 교수는 “정상세포와 암세포는 단백질의 발현양상이 다르다”며 “차이가 두드러지는 단백질을 찾아 그 항체로 칩을 만들면 소량의 시료로도 암을 진단할 수 있을 ... ...
이전
970
971
972
973
974
975
976
977
9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