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스페셜
"
이후
"(으)로 총 4,636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감염 태아 첫 사망…“영향 확인 어려워” 원인 규명 난항
동아사이언스
l
2021.11.24
24일 중앙방역대책본부 및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백브리핑에서 "산모가 확진된
이후
조기 출산하면서 사산한 것을 확인한 사례로, 사망한 태아에서 코로나19 양성 반응이 나왔다"고 밝혔다. 방대본은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수를 4116명, 사망자를 35명으로 발표했지만 사망한 태아가 ... ...
'초' 재정의 위해 슈퍼컴·전파망원경 등 국내 첨단장비 총동원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24
하지만 가장 높은 정확도로 책정되는 시간 단위 ‘초’는 기술적 한계로 1967년 정의된
이후
반세기가 지나도록 재정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현재 ‘초’는 전 세계의 상용 원자시계와 세슘 원자시계로 측정되고 있다. 최근 세슘 원자시계보다 약 100배 정확도가 높은 광시계가 개발됨에 따라 ... ...
[매드사이언티스트2021] 전투병은 전쟁 소모품 오명 벗나...병사 생존력 높이는 스텔스 기술 개발중
동아사이언스
l
2021.11.24
듣기 위해 여는 ‘매드 사이언티스트 콘퍼런스’를 모델로 삼고 있다. 2019년 첫 개최
이후
네 번째로 열린 이번 행사는 ‘미래전의 게임체인저를 주제로 진행돼 군 관계자와 연구자들 50여 명이 참석했다. 기존 육군 무기체계에서 스텔스 기술은 병사가 적의 눈에 띠지 않도록 하는 데 집중됐다. ... ...
신규확진 4116명 첫 4000명대...위중증환자도 최다 기록 경신
동아사이언스
l
2021.11.24
수가 처음으로 4000명대를 기록했다. 국내에서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나온 지난해 1월 20일
이후
674일만의 기록이다. 방역당국은 24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전날보다 4116명이 늘어 누적 확진자 수는 42만5065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달 1일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작하면서 지속적으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멀고 힘들 수밖에 없는 탄소중립의 길
2021.11.24
탄소 예산을 동나게 만든 책임을 선진국들에게 무겁게 물어야 한다는 것이다. 산업혁명
이후
인류가 배출한 온실가스의 25%를 미국이 배출했고, EU가 22%로 바짝 그 뒤를 따르고 있다. 중국도 12.7%나 되지만, 인도는 3.2%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현재의 온실가스 배출량의 격차도 심각하다. ... ...
[매드사이언티스트2021]2025년 목표 레이저 대공무기 개발 중…2030년대 탄도탄 요격 가능해
동아사이언스
l
2021.11.23
개발될 것이란 기대다. 레이저는 1972년 옛소련의 T62 전차의 거리측정기에 처음 활용된
이후
레이저 유도무기부터 레이저 자이로센서, 열추적 미사일 방어장비, 지뢰제거용 레이저 장비 등 다양한 전장 분야에 활용됐다. 최근에는 위성 추적기술을 통해 첩보위성의 존재와 궤도를 찾아내는 연구도 ... ...
코로나19 위중증 환자 549명 역대 최다…신규 확진 2699명
동아사이언스
l
2021.11.23
화요일 확진자 기준으로는 최다치를 기록했다. 이달 1일부터 단계적 일상회복 시행
이후
신규 확진자 증가와 함께 위중증 환자도 증가세를 보이며 23일 549명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정부는 22일 처음 내놓은 코로나19 위험도 평가에서 수도권을 위험도 최고단계인 ‘매우 높음’, 전국을 ... ...
신규확진 증가 재택치료 중환자 급증…전문가들 "방역강화가 해결책"
동아사이언스
l
2021.11.22
못해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한 채 악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날 0시 기준 확진 판정
이후
하루 이상 병상을 기다리는 대기자는 907명으로 집계됐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단계적 일상회복 전보다 코로나19 감염으로 악화된 중환자가 늘었다"며 "재택치료로 자택이나 ... ...
더 많은 알츠하이머 치료제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22
치료 전략인지에 대한 논란을 집중 보도했다. 지난 6월 FDA의 아두카누맙 승인
이후
FDA는 비판에 직면했다. 바이오젠이 2건의 임상3상 시험을 진행하다 2019년 3월 효능을 보이지 않는다며 개발 중단을 발표했지만 같은 해 10월 2건 중 1건을 재검토한 결과 효능이 있다고 발표하며 같은 데이터를 ... ...
한국형 인공태양 KSTAR 1억도 초고온 플라즈마 30초 운전 세계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11.22
위해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18년 핵융합 플라즈마 이온온도 1억도 도달에 성공했고
이후
매년 유지시간을 연장하고 있다. 2020년에는 20초 연속 운전에 성공하며 세계 핵융합 장치 중 최장 기록을 달성했다. 이번 실험을 통해 10초간 추가 연장에 성공하며 세계적 수준의 연구 성과를 이어가게 됐다.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