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정
지명
선정
약속
명령
지시
지적
뉴스
"
지목
"(으)로 총 1,014건 검색되었습니다.
물과 기름, 초음파로 섞어 봤니?
2014.12.01
섞기 위해 계면활성제가 포함돼 있는데, 가려움이나 염증 등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지목
됐다. 천연계면활성제가 있지만 이 또한 화학공정을 거쳐야 한다는 점에서 유해 가능성이 남았다. 연구진은 기름 입자를 나노미터(nm, 1nm=10억분의 1m) 크기로 만들어 물과 기름을 섞는 데 성공했다. 지금까지 ... ...
출제위원 75%가 교수…“고교생 수준 몰라”
동아일보
l
2014.11.19
출제에 검토까지 부실 ‘단기간 내 합숙 출제’ 시스템은 부실 출제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
되고 있다. 올 수능도 10월부터 한 달 동안 교수와 교사 등 수능 출제위원 316명이 모처에서 합숙을 하며 출제 작업에 들어갔다. 수능을 약 한 달 남기고 문제를 만들기 시작한 것. 출제위원들은 이 기간에 ... ...
원료 넣고 펄펄 끓였더니 구멍이 숭숭
2014.11.18
학술 정보 서비스 기업 ‘톰슨로이터’가 올해 노벨 화학상 후보로 메조다공성물질을
지목
했다. 메조다공성물질은 지름 2~5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의 구멍인 ‘메조 기공’이 송송 뚫려있는 소재다. 크기에 따라 기공의 종류도 나뉜다. 지름 2nm 이하는 ‘마이크로 기공’, 지름 50nm 이상은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이동한 셈이니 엄청난 변화다. 블레이저 교수가 이런 변화의 원인으로 항생제를
지목
하는 건 이런 현상이 축산업계에서 오래 전부터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즉 항생제가 개발된 뒤 농민들은 전염병을 예방할 목적으로 가축이나 가금의 사료에 항생제를 소량 섞었는데 뜻밖에도 동물들이 빨리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내 똥배는 정말 밀가루 때문일까?
2014.10.26
이렇게 된 걸까. 저자는 20세기 중반부터 이뤄지기 시작한 유전적 변형이 그 원인이라고
지목
한다. 국제 옥수수 및 밀 육종 센터(IMWIC)가 멕시코의 식량 자급을 돕기 위해 1943년부터 생산성을 높인 밀을 육종하기 시작했고, 1980년대까지 수천 가지의 새로운 밀이 탄생했다.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 ...
첫 한국인 노벨 과학상 나올까
과학동아
l
2014.10.01
IBS) 나노물질 및 화학반응 연구단장(59, KAIST 화학과 특훈교수)을 노벨 화학상 후보로
지목
했다. 이 기관이 한국인을 후보로 선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생리의학상에서는 한국계 캐나다인 찰스 리(45) 미국 잭슨랩 유전체의학연구소장이 후보로 뽑혔다. 찰스 리 소장은 1969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 ...
톰슨로이터, 노벨과학상 수상후보 한국 과학자 첫
지목
2014.09.26
있다. 다만
지목
된 해가 아닌 그 이후에 수상한 경우까지 포함한 수치여서 후보자로
지목
받은 해에 바로 상을 받을 가능성은 더 낮아진다. 올해 노벨상 수상자는 10월 6일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7일 물리학상, 8일 화학상이 발표될 예정이다 ... ...
‘괜사’ 조인성 앓는 ‘조현병’ 원인 밝혀졌다
2014.09.16
않았다. 그런데 최근 미국 워싱턴대 의대 연구진이 조현병의 원인으로 유전자 묶음 8개를
지목
했다. 그간 학계에서는 조현병을 약 80% 정도의 확률로 부모에게서 유전되는 질환으로 인식해왔다. 하지만 어떤 유전자가 조현병을 일으키는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로버트 클로닝거 교수가 이끄는 ... ...
북극 얼음 좀 녹았을 뿐인데…
2014.09.03
퍼시픽 노스웨스트 국립연구소와 함께 겨울 한파의 원인으로 북극의 해빙 감소를
지목
했다. 이는 컴퓨터 모델링과 1979년부터 쌓아온 북극 해빙 관측 자료를 이용해 연구한 결과다. 북극의 해빙이 줄어들면 북극 소용돌이가 약해지게 된다. 이때 북극 소용돌이 속에 갇혀 있던 북극의 냉기가 ... ...
심부전증 원인 유전자 찾았다
2014.08.17
‘셀 리포트’ 14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NCOA6라는 특정 유전자를
지목
했다. 먼저 연구팀은 실험용 쥐의 심장에서만 NCOA6 유전자를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 NCOA6 유전자를 전신에서 제거하는 이전 실험에서는 태아가 발생 과정 중 사망했기 때문에 연구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