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방
전시
계방
개봉
상연
전람
공시
뉴스
"
공개
"(으)로 총 10,489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자레인지 원리로 나트륨 이온 전지 음극재 제조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공정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케미컬 엔지니어링 저널'에
공개
됐다. 나트륨 이온 전지는 현재 널리 쓰이는 리튬(Li) 이온을 나트륨 이온으로 대체한 전지다. 나트륨은 소금(NaCl)의 주성분으로 매장량이 리튬의 1000배 이상 많고 채굴·제련도 쉽다. 전지 내부에서 ... ...
눈과 얼음의 남극 풍경, 초록빛으로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6
빨라진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4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구과학'에
공개
했다. 남극은 대부분 눈이나 얼음, 바위로 이뤄졌다. 혹독한 기후 때문에 극히 일부 지역에서만 식물이 자란다. 연구팀은 1986년부터 2021년까지 남극을 촬영한 인공위성 사진을 분석해 기후변화에 따른 ... ...
세계 최초 하이브리드 양자 오류정정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0.06
아키텍처를 설계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 8월 2일 국제학술지 'PRX 퀀텀'에
공개
됐다. 범용 양자컴퓨터(Universal Quantum Computer)는 기존 컴퓨터처럼 특정 문제가 아닌 임의의 알고리즘으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다. 양자컴퓨터의 정보 단위인 큐비트는 외부 영향에 취약해 잡음이나 ... ...
"암흑물질 'DFSZ액시온' 연구 2팀 중 한 팀은 한국…발견만 하면 노벨상"
동아사이언스
l
2024.10.06
액시온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범위를 좁힌 연구 결과 2건을 최근 잇따라
공개
해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달 13일 대전 KAIST 문지캠퍼스에서 만난 윤성우 액시온및극한상호작용연구단 연구위원은 "전 세계에서 DFSZ 액시온을 탐색할 수 있는 연구단은 IBS를 포함한 2팀이 전부"라면서 “한국이 ... ...
[사이언스영상] 좀비 손처럼 떨어져 나온다
SEIZE
l
2024.10.06
EPFL) 연구팀이 '핸드 크롤러' 기술을 네덜란드 로테르담에서 열린 'ICRA@40' 콘퍼런스에서
공개
했다. 핸드 크롤러는 손만 떨어져 나와 목표물을 향해 걸어가는 분리형 로봇팔이다. 핸드 크롤러를 번역하면 '기어가는 손'이다. 로봇팔을 쭉 뻗어도 멀리 있는 물건에 닿지 않을 때 손만 분리되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초파리 뇌 전체 지도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24.10.05
뇌의 정보처리 과정들을 확인한 연구결과를 1일(현지시간) 네이처에 7편의 논문으로
공개
했다. 초파리는 신경세포의 수가 인간보다 100만 배 적지만 비행이나 사회적 상호작용 등 복잡하고 전교한 행동을 수행한다. 과학자들은 초파리 뇌 지도를 시작으로 다양한 생물에서 뇌의 메커니즘을 밝힐 수 ... ...
[과기원NOW] 로봇 제어 최적화 알고리즘에 인간이 필요하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04
힐로(HILO) 방법에 대한 '견해(Perspective)' 논문을 지난달 25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
했다고 4일 밝혔다. 공장의 협동 로봇이나 자율주행 자동차 등 인간과 로봇이 서로 복잡하게 상호작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로봇과 사람이 상호작용할 때는 로봇의 정밀도나 안정성을 확보하기 까다로워진다. ... ...
공룡 대멸종시킨 소행성 충돌 또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4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결과는 3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커뮤니케이션즈 지구&환경'에
공개
됐다. 6600만년 전인 백악기 말 지금의 멕시코 칙술루브(Chicxulub) 지역에 충돌한 폭 10~15km의 거대 소행성은 공룡을 포함한 지구 생명체 60%가 멸종한 '5번째 대멸종'을 일으킨 것으로 알려졌다. 충돌이 엄청난 ... ...
[동물do감] 반려견에게 느리게 말하면 더 잘 이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3
사실을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1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플로스 생물학(PLOS Biology)'에
공개
했다. 개는 인간의 언어를 쓰지 않지만 인간이 말하는 단어를 학습하고 인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인간과 개의 의사소통 방식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먼저 개 30마리의 발성 데이터를 모았다. 실험 ... ...
지구 번개구름, 더 오래 넓게 '방사선' 내뿜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3
방출 데이터를 수집·분석하고 연구결과를 2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각각
공개
했다. 1990년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초신성과 같은 우주의 천체에서 날아오는 고에너지 입자를 관측하기 위해 인공위성을 지구 궤도로 올렸다. 그런데 우주가 아닌 지구에서도 고에너지 감마선 방출이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