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편"(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악인의 승리 VS. 선인‘들’의 승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완벽하게 새로운 성과임을 내세우려는 듯이, 프라이스의 논문은 참고 문헌을 단 한 편도 인용하지 않은 희한한 논문이었다.+ 더 읽을거리Wilson, D. S. (2007). Evolution for everyone: How Darwin's theory can change the way we think about our lives. Delta, N ...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혈액종양내과 임상강사를 마쳤다. 서울대병원 근무 중 15편의 SCI 논문을 포함해 3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암연구학회 중 가장 저명한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Merit award를 받았고, 서울시의사회 젊은연구자상, 한국암재단장학금, 서울대병원 앙드레김 어워드 등을 받았다. 종양 유전체학과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미소를 되찾으며 말했다.“네가 아직 생각해내지 못한 질문까지 전부 답해줄게. 난 네 편이야. 이 유원지를 조금씩 매입하고 자이로드롭을 새로 만든것도 바로 이 순간 때문이었어. 이제 난 고향으로 돌아갈 수 없으니까 아마 너와 같이 떠돌이 생활을 해야겠지.”노마가 바닥에 주저앉으며 말했다 ... ...
- 최일규 KAIST 박사 후 연구원 일도 취미도 끝장 본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수학자의 삶은 실패의 연속이에요. 1년에 수학자가 논문을 몇 편이나 쓰겠어요. 많아야 1~2편이거든요. 결국 1년에 한두 번만 성공을 했다는 뜻이에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만이 수학을 잘 할 수 있어요.또 문제를 맞혔는지 틀렸는지 결과만 따지는데, 사실은 맞은 문제도 왜 맞았는지 아는 게 ... ...
- [에디터 노트] 에디터 토크 5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편 : (안심하며) 어떻게 동물이 똥 누는 속도를 파고들 생각을 했는지.우 : 보고 싶어서…편 : (흠칫) 뭐, 뭘? 설마 똥?우 : 안 보고 싶어?편 : 그, 그다지…우 : 기사를 안 봤구나… 전문만 봐도 이해할 수 있는 말인데.편 : (그제야 이해한다) 아무리 경쟁이 내면화된 사회지만, 독자들에게 이렇게 ...
- [과학뉴스] 고인류 호모 날레디, 현생 인류와 공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도구를 사용했을 가능성도 제시했다.연구 결과는 학술지 ‘이라이프’ 5월 9일자에 세 편의 논문으로 실렸다.doi:10.7554/eLife.24231, doi:10.7554/eLife.24232, doi:10.7554/eLife.2423 ... ...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역할을 하고 있다.1925년, 인도 출신의 물리학자 사티엔드라 나트 보스가 논문을 한 편 작성했다. 당시 기술로는 만들 수 없는, 상상과 방정식 속에 존재하는 신비로운 물질에 대한 것이었다. 그는 논문을 왕립학회에 제출했지만 거절 당했고, 다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에게 보냈다. 신의 한 수란 이런 ... ...
- 제19회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열풍의 다른 편에는 생활 데이터가 만드는 바람도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데이터 과학자로 일하는 김영진씨가 2015년 12월 꾸린 ‘생활데이터 모임’의 페이스북 그룹에는 지금까지 2400여명의 회원이 모였다. 주변의 문제를 통계로 푸는 모임이다. 한 회원은 당뇨병에 걸린 장모를 위해 통계적으로 ... ...
- [에디터 노트] 에디터 토크 4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웃음을 뚝 그치시더라?편 :최 : 집쟝님 때문이라고는 안 했는데.편 :최 : 야옹야옹.2 편 : 옙(YEP)은 어떤 프로그램?이영미 과장(이하 이) : ‘영 익스플로러(Young ExPlorer)의 약자로, 과학동아 독자들이 기사에서나 보던 현대 과학, 공학 연구 현장을 직접 방문하고 전문가의 설명을 듣는 프로그램. ...
- [Issue] 공중화장실이 두려운 그대… 뇌에 새겨진 스트레스, 강박증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가장 많이 하는 질환이 바로 강박증이다.인류가 살아남기 위한 강박적인 생존전략한편, 강박증을 인류 진화론적인 측면에서 보는 전문가들도 많다. 생존하기 위해서 오염이나 확인에 대한 강박적인 특성을 갖게 됐다는 주장이다. 예를 들면 항생제를 개발하기 전에는 세균에 감염돼 죽는 사람이 ... ...
이전92939495969798991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