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겹
켜
지층
계층
플로어
두께
층계
d라이브러리
"
층
"(으)로 총 2,020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한민국 육종학의 아버지 우장춘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화훼 품종을 개발할 수 있음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증명해보인 셈이다. 계단을 따라 2
층
으로 올라가니 기념관 한가운데에 이번엔 배추 모형이 자리 잡고 있다. 배추 역시 우 박사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이 있나 싶었다.“우 박사 시대엔 같은 종끼리만 교배가 가능하다는 게 육종학계의 ... ...
노벨상 수상자가 말하는 과학의 가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세르칸 지음 | 홍성민 옮김 | 윌북 | 215쪽 | 1만 2000원엘리베이터 꼭대기
층
버튼 위에 또 하나의 버튼 ‘우주’가 있다면 어떨까. 이 책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타는 엘리베이터를 일부‘변형’하면 우주로 끌어올릴 수 있다고 설명한다. 터키인 최초의 우주비행사 후보에 선발된 저자는 기발한 ... ...
품위 있게 죽을 권리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또 한 번은 6월 23일 인공호흡기를 뗀 뒤였다. 두 번의 만남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 9
층
내과 중환자실에서 처음 할머니를 봤을 때는 처음이자 마지막 만남이라고 생각했다. 대법원에서 이미 인공호흡기를 제거하라는 판결이 난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11월 법원의 1심 판결문에는 기대수명이 ... ...
조물조물~ 내 손으로 만드는 자연의 색!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물감이잖아? 역시 제대로 찾아왔다고 생각하던 찰나, 천연염색 전시장이 눈에 들어왔어. 2
층
으로 된 전시장에서는 염색의 역사와 천연염색 과정을 자세히 소개하고 있었단다. 지금부터 보여 줄게~.전통 쪽 염색 과정 자연에 마음도 물들다천연염색에 대해 알고 나니 아름다운 색을 만들고자 했던 ... ...
고체 거품 삶의 질 높인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소재라 불꽃이 닿아도 녹아내리지 않는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우주선이 대기
층
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열을 막는 단열재로 에어로젤을 썼다.최근 에어로젤 분말 양산 기술을 개발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안영수 박사는 “에어로젤은 단열성이 뛰어난 안전한 소재이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에 ... ...
땀 냄새족의 여름 탈출기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눈부신 태양빛이 내리쬐는 여름, 사람들은 민소매 티와 가벼운 옷차림으로 한껏 멋을 낸다. 하지만 한안나(가명) 양과 강암래(가명) 군은 여름 ... 방법도 있다”고 설명했다. 진피 피부의 가장 바깥
층
인 표피와 피하지방 사이에 있는
층
으로, 이 부분에 에크린땀샘과 아포크린땀샘이 있다 ... ...
아이스 에이지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눈이 쌓이면 그 무게에 눌려 눈이 얼음덩어리로 되는데, 이때 눈 결정체 사이의
층
에 공기막이 형성된다. 과학자들은 이 공기에서 화학성분을 뽑아내 과거의 기후를 추론해 낸다. 초기 지구의 기온은 매우 높았다. 그러나 점차 낮아지면서 35억년이 지난 후에는 온난기후가 전 지구적으로 나타났다. ... ...
딱총나무 세포에서 배우는 거품의 수학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길이가 같은 정육각형이어야 하기 때문이다.벌 은 뛰 어 난 수 학 자한편 양면, 즉 두
층
으로 된 벌집에서는 두 면의 벌집이 서로 만나는 중간 부분에서 효율적으로 공간을 분할해야 하는 문제가 생긴다. 벌들은 마름모 3개를 이용해 두 방을 나눴다. 그런데 1964년에 한 수학자는 벌집보다 0.1% 작은 ... ...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된 비둘기의 굴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종로구 탑골공원에 있는 원각사지 10
층
석탑. 국보 제2호인 이 석탑은 10년째 커다란 유리벽에 둘러싸여 있다.햇빛이 반사돼 보기 불편하고 사진도 잘 찍기 힘들다. 그래도 유리벽을 설치해 두는 이유는 산성비와 새 배설물로부터 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해서다. 문화재를 훼손하는 대표적인 새가 바로 ... ...
지구 광물 태반은 생명체 작품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만드는 법을 터득했다. 그 결과 지구 표면은 독특한 바이오광물로 이뤄진 두터운 퇴적
층
이 쌓이며 변모했다. 그리고 4억 년 전 식물이 처음 육지를 점령하기 시작하면서 표면의 바위가 깨져 점토 광물과 흙이 생겨나는 과정이 급속히 진행됐다. 40억 년 전 바위투성이 황무지였던 대륙은 우리가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